• {url:./treeAjax?siteMode=prod}
홈으로 > 자료분류 > 수집분류/왕실/고서

천의소감언해(闡義昭鑑諺解)

자료명 천의소감언해(闡義昭鑑諺解) 저자 영조(英祖), 김재로(金在魯), 남유용(南有容)
자료명(이칭) 진쳔의쇼감젼(進闡義昭鑑箋) 저자(이칭) [英祖(朝鮮王, 1694-1776) 命編]
청구기호 K2-294 MF번호 MF35-1564
유형분류 고서/기타 주제분류 史部/雜史類
수집분류 왕실/고서/한국본 자료제공처 장서각(SJ_JSG)
서지 장서각 전자도서관 해제 장서각
원문텍스트 이미지 장서각통합뷰어* 원문이미지 MF-PDF

· 원문이미지

닫기

· MF이미지

닫기

· 기본정보 해제 xml

닫기

일반사항

· 자료명(한글) 천의소감언해
· 자료명(한자) 闡義昭鑑諺解
· 사부분류 사부
· 작성시기 1756(영조 32년)
· 청구기호 K2-294
· 마이크로필름 MF35-1564
· 소장정보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작성주체 - 인물

역할 인명 한글 한자 설명 생몰년 신분
영조(英祖) 명편(命編) 영조 英祖

형태사항

· 크기(cm) 33.5 X 22.3
· 판본 목판본(木版本)(무신자(戊申字))
· 장정 선장(線裝)
· 수량 1책(冊)
· 판식 반곽(半郭) 24.6×17.0cm
· 인장 弘文館, 藏書閣印

· 상세정보

닫기

내용

정의
英祖 의 명에 의해 金在魯 (1682~1759) 등이 편찬한 『闡義昭鑑』 중 일부 자료를 언해한 책이다.
서지사항
권수에 수록된 御製와 綸音, 箚子, 箋, 凡例, 그리고 권말에 수록되는 跋文의 언해만을 엮은 책으로, 1756년(영조 32)에 간행한 戊申字 한글 활자의 飜刻本이다. 앞표지에 표지 서명과 冊次 ‘三’, 총 책 수 ‘共四’가 필사되어 있다. 제1책 우측 상단에 ‘弘文館’이 날인되어 있어 홍문관 소장본이었음을 알 수 있다.
체제 및 내용
경종 연잉군 의 왕세제 책봉, 영조 의 즉위, 영조 초 무신란의 진압, 1755년(영조 31) 乙亥獄事 처리 등의 정당함을 천명한 본서는 『천의소감』 권두의 문서 몇 종과 권말의 跋에 대한 언해이다. 『천의소감』 가운데 권두의 「手書箚批」, 본문, 권말의 수찬대신 명단은 언해되지 않았다.
권두는 「어제유찬슈제신」이다. 皇兄[경종 ]을 칭송하고, 자신[영조 ]과 경종 이 일체임을 강조하며, 김일경 이천해의 흉언, 무신란의 역적들과 을사년에 흉언으로 처형된 신치운 이 동일한 역적이라고 규정하였다. 「뉸음」은 30년 이상 이어진 영조 에 대한 의심을 없애고 역적의 죄상을 밝혀 의리를 천명하기 위해 본 책을 편찬하였다고 하였다. 이어지는 「진쳔의쇼감차(F1FC)」, 「진쳔의소감젼」은 영중추부사 김재로 등이 『천의소감』을 바칠 때 올린 차자와 箋文이다. 「쳔의쇼감범녜」는 범례 7조이다. 筵敎, 『승정원일기』 등을 기초로 하고, 일부 문서는 영조 의 재가를 받았으며, 論을 달아 의리를 밝혔고, 중요한 기사는 따로 綱을 만들고 간지를 달았다는 내용 등이다. 권말은 남유용 이 지은 「쳔의쇼감발」이다. 난적을 징계하고 강상윤리를 바르게 하기 위해 지었다고 하였다.
특성 및 가치
천의소감』 일부 문서에 대한 언해본이므로 전체를 언해한 판본과의 검토가 필요하다. 목판본과 활자본의 용례 대조를 통해 중세 국어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집필자

이경구
범례
  • 인명
  • 관직명
  • 나라명
  • 건물명
  • 관청명
  • 지명
  • 연도
  • 문헌명
  • 기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