죽하일록(竹下日錄)
· MF이미지

· 기본정보 해제 xml

일반사항
· 자료명(한글) | 죽하일록 |
---|---|
· 자료명(한자) | 竹下日錄 |
· 사부분류 | 사부 |
· 작성시기 | 사년미상(寫年未詳) |
· 청구기호 | K2-293 |
· 마이크로필름 | MF35-1493 |
· 소장정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
작성주체 - 인물
역할 | 인명 | 한글 | 한자 | 설명 | 생몰년 | 신분 |
---|---|---|---|---|---|---|
김익(金熤) 찬(撰) | 김익 | 金熤 |
형태사항
· 크기(cm) | 29.8 X 19.5 |
---|---|
· 판본 | 필사본(筆寫本) |
· 장정 | 선장(線裝) |
· 수량 | 9권(卷) 9책(冊) |
· 판식 | 반곽(半郭) 22.8×15.9cm |
· 인장 |
藏書閣圖書印
|
· 상세정보

내용
서지사항
필사한 인찰공책지를 사용하였으며 앞표지에 표지 서명 ‘竹下日錄’과 책차, 篇目, 총 책 수가 필사되어 있다. 본문은 誤字를 刀割한 후 다른 종이를 덧대어 수정한 흔적 등이 있다. 제3, 5~7책 앞표지 면지 좌측 상단에 ‘二卷’ 등 각 책의 卷次가 기재된 籤紙가 부착되어 있다. 書根題는 ‘日記’이며, 각 책 제2면 目錄에 ‘藏書閣圖書印’이 날인되어 있다.체제 및 내용
표제는 ‘竹下日錄’으로 모두 9권 9책이다. 본서 각 권의 서술 시기는 다음의 표와 같다.권차 | 自 | 至 |
권1 | 癸未(1763) | 癸巳(1773) |
권2 | 甲午(1774) | 己亥上(1779) |
권3 | 己亥下(1779) | 壬寅上(1782) |
권4 | 壬寅下(1782) | 癸卯上(1783) |
권5 | 癸卯下(1783) | 甲辰上(1784) |
권6 | 甲辰下(1784) | 乙巳(1785) |
권7 | 丙午上(1786) | |
권8 | 丙午下(1786) | 戊申上(1788) |
권9 | 戊申下(1788) | 庚戌(1790) |
권1의 시작에 앞서 찬자가 역임한 관직과 횟수를 열거하였다. 본문의 서술 방식은 일자를 먼저 적기하고, 해당 일자에 있었던 일을 기록하였다. 본문의 내용은 영조 가 70세를 기념하여 大增廣試를 시행하여 40여 명을 취한 것부터 시작되는데, 이 시기는 찬자가 과거에 급제한 시기이다. 이후 서술은 찬자의 관직 이력을 비롯해 본인이 제출한 상소의 전문, 경연에 참석해서 논의했던 내용, 국왕 및 조정의 동정 등을 수록하고 있다.
이력과 관련해서는 관직 제수 시에 해당 정사를 주관했던 이조의 판서와 참의 명단을 기록한 것은 물론이고, 파직이나 遞差 혹은 譴罰 등이 있을 때는 그 배경을 세주로 자세하게 기록하였다. 이 밖에도 작성하였으나 登徹되지 않는 1764년(영조 40) 4월 28일 조와 1772년(영조 48) 10월 9일 조의 상소 전문을 수록하였다. 특히 등철되지 않는 상소의 내용을 통해서 그의 정치적 성향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1772년 10월 9일 조에 기록된 상소에는 소론의 李光佐 ·趙泰耉 ·崔錫恒 의 복관을 비난하는 내용을 싣고 있어 노론으로서 정치 활동을 살필 수가 있다.
집필자
이근호
범례
- ●인명
- ●관직명
- ●나라명
- ●건물명
- ●관청명
- ●지명
- ●연도
- ●문헌명
- ●기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