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계록(壬癸錄)
· 원문이미지

· MF이미지

· 기본정보 해제 xml

일반사항
· 자료명(한글) | 임계록 |
---|---|
· 자료명(한자) | 壬癸錄 |
· 사부분류 | 사부 |
· 작성시기 | 사년미상(寫年未詳) |
· 청구기호 | K2-270 |
· 마이크로필름 | MF35-1298 |
· 소장정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
작성주체 - 인물
역할 | 인명 | 한글 | 한자 | 설명 | 생몰년 | 신분 |
---|---|---|---|---|---|---|
편자미상(編者未詳) |
형태사항
· 크기(cm) | 29.8 X 21.0 |
---|---|
· 판본 | 필사본(筆寫本) |
· 장정 | 선장(線裝) |
· 수량 | 1책(冊) |
· 인장 |
李王家圖書之章
|
· 상세정보

내용
서지사항
表紙書名, 書根題는 모두 ‘壬癸錄’이다. 본문은 괘선이 없는 종이에 필사되었는데, 도할하고 종이를 덧붙여 수정한 부분도 있다. 제1면 우측 상단에는 ‘李王家圖書之章’이 날인되어 있다.체제 및 내용
제명은 김익훈
고변 사건이 일어난 임술년(1682)과 이듬해인 계해년에서 인용하여 작성하였다. 서·발문과 목차 등이 없다. 본문 처음은 1680년(숙종 6) 庚申換局 2년 후에 김익훈
이 남인의 잔존 세력을 소탕하기 위해 올린 이른바 ‘兒房密啓’이다. 밀계는 김환
의 고변으로 시작하는데, 고변에 의하면 전익대
, 유명견
등이 모역했다는 내용이다. 이어 관련자 김환
, 전익대
, 유명견
, 이천우 등의 공초와 그들에 대한 판결이 나온다. 사건은 1682년(숙종 8) 12월 김익훈
이 무고했다고 조지겸
이 상소하여 새로운 국면이 야기되었다. 이듬해 김익훈
을 비판하는 소장파의 상소와 적당한 선에서 무마시키는 노력이 엇갈렸고, 서인은 노론과 소론으로 분기하였다. 김익훈
은 1689년(숙종 15) 己巳換局 후에 장살되었다. 숙종
후반기에는 소론과 노론의 정국 주도권에 따라 김익훈
에 대한 처리가 달라진다. 갑술환국 후 소론 주도기에는 노론의 상소가 별로 없다가, 1718년(숙종 44) 노론이 주도하는 정국에서 김익훈
의 손자 김진상
이 상소하여 김익훈
을 변호하였다. 경종
대에는 김진상
과 소론의 韓某라는 인사의 공박이 이어졌다. 1725년(영조 1)에도 김진상
과 한모, 정수기 등의 공방이 지속되었다.집필자
이경구
범례
- ●인명
- ●관직명
- ●나라명
- ●건물명
- ●관청명
- ●지명
- ●연도
- ●문헌명
- ●기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