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url:./treeAjax?siteMode=prod}
홈으로 > 자료분류 > 수집분류/왕실/고서

이재선사건(李載先事件)

자료명 이재선사건(李載先事件) 저자 이왕직(李王職)
자료명(이칭) 李載先事件 , 이재선사건(李載先事件) 저자(이칭) 李王職 抄
청구기호 K2-246 MF번호 MF35-698
유형분류 고서/기타 주제분류 史部/雜史類
수집분류 왕실/고서/한국본 자료제공처 장서각(SJ_JSG)
서지 장서각 디지털아카이브 전자도서관 해제 장서각 디지털아카이브
원문텍스트 이미지 장서각통합뷰어* 원문이미지 MF-PDF

· 원문이미지

닫기

· MF이미지

닫기

· 기본정보 해제 xml

닫기

일반사항

· 자료명(한글) 이재선사건
· 자료명(한자) 李載先事件
· 사부분류 사부
· 작성시기 [1911]
· 청구기호 K2-246
· 마이크로필름 MF35-698
· 기록시기 [1911~1940年]
· 소장정보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작성주체 - 인물

역할 인명 한글 한자 설명 생몰년 신분
이왕직(李王職) 초출(抄出) 이왕직 李王職

형태사항

· 크기(cm) 26.2 X 19.1
· 판본 필사본(筆寫本)
· 장정 선장(線裝)
· 수량 1책(冊)
· 인장 藏書閣印

· 상세정보

닫기

내용

정의
1881년(고종 18)大院君 庶子 李載先 이 연루된 역모 사건의 추국 내용을 기록한 문서이다.
서지사항
‘李王職’이 판각된 주색 단면 원고지를 사용하여 필사하였다. 첫 장의 ‘李載先事件’이라는 內題 하단부에 ‘朝鮮史抄出’이라고 적혀 있다. 글씨체는 한문 楷書와 가타카나를 병용해서 기재하였다. 처음부터 끝까지 전장 배접되어 있으며, 하단이 불에 타 일부 결락되었다. 본래 표지를 그대로 둔 채 그 위에 改裝하였다. 제1면 우측 상단에 ‘藏書閣印’이 날인되어 있다.
체제 및 내용
이재선사건』은 날짜순으로 사건 전모를 抄錄한 것이다. 제1장은 ‘辛巳八月二十九日’로 시작되며, 왕이 義禁府 堂上官을 불러서 이 사건의 시급함을 듣고 命하여 前承旨 安驥泳 , 權鼎鎬, 蔡東述 를 격식을 갖추어 잡아들이고, 죽일 죄인을 가두던 의금부의 남쪽 감옥인 南間에 가둔다는 내용이다. 제2장은 1881년 8월 31일과 9월 3일의 내용이다. 8월 31의 내용은 推鞫을 위해 鞠廳을 의금부에 설치하고 죄인 안기영 , 권정호, 채동술 을 심문하는 것이다. 9월 3일의 내용은 국청에서 草記를 작성하기 위해 大院君 庶子인 別軍職 이재선 을 불러 원통함이 있는지 여부를 捧招를 통해 묻고, 前中軍 趙中鎬, 進士 彺哲鎬 등과 安驥泳 등 국초에 나오는 인물에 대해 士籍과 儒籍을 판결하는 것이다.
제3장은 9월 4일과 9월 5일의 내용이다. 9월 4일은 죄인 안기영 과 告變人 李豊耒를 부르고, 捕廳罪人 李鍾海를 다시 불러 面質한 후에 刑罰을 정하는 내용이다. 9월 5일은 의금부 죄인 이재선 을 남간으로 예를 갖추어 옮긴 것과 ‘鞫廳議啓’에 관한 설명이다. 제4장은 9월 6일과 9월 7일 자로 이재선 의 鞫招 내용과 이재선 을 남간에서 서쪽 감옥인 西間으로 옮긴다는 내용이다.
제5장은 10월 10일, 제6장은 10월 14일, 제7장은 10월 23일과 10월 閏5일, 제8장은 10월 閏6일의 내용이다.
특성 및 가치
장서각본이 유일하며, 의금부 국청에서 ‘推鞫’의 내용을 簡略日記抄 형식에 맞추어 날짜순으로 일목요연하게 정리한 것이다. 조선 말기에 행해진 추국 내용을 알 수 있는 자료이다.

참고문헌

經國大典
高宗實錄 URL

집필자

이민원
범례
  • 인명
  • 관직명
  • 나라명
  • 건물명
  • 관청명
  • 지명
  • 연도
  • 문헌명
  • 기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