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왕직일기(李王職日記)
· 원문이미지

· MF이미지

· 기본정보 해제 xml

일반사항
· 자료명(한글) | 이왕직일기 |
---|---|
· 자료명(한자) | 李王職日記 |
· 사부분류 | 사부 |
· 작성시기 | [1915] |
· 청구기호 | K2-245 |
· 마이크로필름 | MF16-286 |
· 기록시기 | [1915~1920年] |
· 소장정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
작성주체 - 인물
역할 | 인명 | 한글 | 한자 | 설명 | 생몰년 | 신분 |
---|---|---|---|---|---|---|
이왕직(李王職) 편(編) | 이왕직 | 李王職 |
형태사항
· 크기(cm) | 25.0~27.0 X 18.2~19.2 |
---|---|
· 판본 | 필사본(筆寫本) |
· 장정 | 선장(線裝) |
· 수량 | 8책(冊) |
· 인장 |
藏書閣印
|
· 상세정보

내용
정의
일제강점기인 1915년부터 1920년 초까지 李王職에서 조선 왕실의 일상과 관련 사실을 기록한 일기이다.서지사항
제1~2책의 表紙書名은 ‘李王職日記’, 제3~8책의 表紙書名은 ‘李王職日記抄出’이다. 일본어와 한문을 혼용한 필사본으로, ‘李王職’이 판각된 주색 단면 8행 24자 원고지를 사용하였다. 제1~2책의 뒤표지 面紙에는 서기 1972년 7월, 제3~8책의 뒤표지 면지에는 1972년 9월에 再裝한다는 기록이 있다. 각 책 제1면 우측 상단에 ‘藏書閣印’이 날인되어 있다.체제 및 내용
이왕직은 기존 황실 업무를 담당하던 宮內府를 계승하여 설치되었으며, 조선총독부가 아닌 일본의 宮內省에 소속된 기구였다. 이왕직에서 조선 왕실의 일상을 전담한 사실과 진행 과정에 대해 시기별로 작성한 일기이다. 조선 왕실의 제사 거행에 관한 것과 일본 황실과 연관된 사실이 많다. 일기와 함께 1915년부터 일기를 抄出한 별책이 8책에 포함되었다.특성 및 가치
일제강점기 이왕직이 조선 왕실을 관리하고 보좌한 방법 및 진행 사실을 보여준다. 조선 왕실의 주요 일상과 조선 왕실 사람들의 활동을 엿볼 수 있다.참고문헌
집필자
이왕무
범례
- ●인명
- ●관직명
- ●나라명
- ●건물명
- ●관청명
- ●지명
- ●연도
- ●문헌명
- ●기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