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아신임(二我辛壬)
· 원문이미지

· MF이미지

· 기본정보 해제 xml

일반사항
· 자료명(한글) | 이아신임 |
---|---|
· 자료명(한자) | 二我辛壬 |
· 사부분류 | 사부 |
· 작성시기 | 편년미상(編年未詳) |
· 청구기호 | K2-244 |
· 마이크로필름 | MF35-1298 |
· 소장정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
작성주체 - 인물
역할 | 인명 | 한글 | 한자 | 설명 | 생몰년 | 신분 |
---|---|---|---|---|---|---|
윤수백(尹守伯) 저(著) | 윤수백 | 尹守伯 |
형태사항
· 크기(cm) | 28.2 X 18.9 |
---|---|
· 판본 | 목판본(木版本) |
· 장정 | 선장(線裝) |
· 수량 | 1책(冊) |
· 판식 | 반곽(半郭) 19.4×15.2cm |
· 인장 |
李王家圖書之章
|
· 상세정보

내용
서지사항
表紙書名은 ‘二我卞誣錄’, 版心題는 ‘二我辛壬’이다. 卷首 空隔紙에는 坡平 尹守伯이 쓴 글이 필사되어 있는데, 본 도서의 오류를 교정하고 누락된 내용을 보충하였으니 마땅한 사람이 아니면 이 책을 전하지 말라고 당부하는 내용이다. 제35張 등에 실제로 別紙를 부착하여 일부 내용을 가린 것을 볼 수 있다. 제1면 우측 상단에 ‘李王家圖書之章’이 날인되어 있다.체제 및 내용
본서는 권두의 짧은 서문과 본문으로 구성되었다. 서문에서는 영조
가 받은 무고를 해명하고 訛言이나 빠진 점을 개정하거나 보충하기 위해 본서를 지었다고 밝혔다.본문은 의문을 제기하고 그에 대해 견해를 밝히는 문답 형식으로 구성되었다. 첫 물음은 책을 편찬하는 의의에 대해서이다. 인생에서 의리가 가장 중요한데 의리는 충역의 구분일 따름이므로 君父의 무고를 밝히는 일이 예의의 대종이라고 하였다. 붕당의 화가 경종 연간 辛壬士禍에서 극에 달했는데 그 이후 의리가 크게 정해졌는데도, 일부 무리들이 잘못된 말을 전하여 영조 가 받은 무함이 아직도 씻기지 않아 이를 밝히기 위해 책을 펴낸다고 하였다. 이어 숙종 이 1701년(숙종 27)과 1716년(숙종 42)에 내린 처분의 정당함, 경종 연간 노론이 建儲代理를 청한 일은 국본을 위한 것임, 김일경 ·유봉휘 등의 무리가 왕세제인 영조 를 무함하고 사화를 일으켜 충역을 뒤집었음, 1721년(경종 1) 8월 이정소 가 상소하여 건저를 청한 일로부터 신축사화가 전개되고 이듬해 임인옥사가 전개됨, 영조 가 즉위한 후 신임사화를 주도했던 김일경 과 목호룡 을 주살하고 소론 준론을 축출하고 노론 4대신을 신원함, 1727년(영조 3)에 전주·남원 등지에서 영조 를 무함하는 괘서 사건이 발생하고, 이듬해 이인좌 의 난이 일어나 오명항 이 이를 진압한 내용 등을 서술하였다.
집필자
이경구
범례
- ●인명
- ●관직명
- ●나라명
- ●건물명
- ●관청명
- ●지명
- ●연도
- ●문헌명
- ●기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