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url:./treeAjax?siteMode=prod}
홈으로 > 자료분류 > 수집분류/왕실/고서

국조고사(국됴고)

자료명 국조고사(국됴고) 저자 편자미상(編者未詳)
자료명(이칭) 국됴고사(國朝故事) , 국조고사(국됴고사(國朝故事)n1-5책) 저자(이칭) 저자 미상(著者未詳) , [著者未詳]
청구기호 K2-168 MF번호 MF35-1725
유형분류 고서/기타 주제분류 史部/雜史類
수집분류 왕실/고서/한국본 자료제공처 장서각(SJ_JSG)
서지 장서각 디지털아카이브 전자도서관 해제 장서각 디지털아카이브
원문텍스트 디지털아카이브 이미지 장서각통합뷰어* 원문이미지 디지털아카이브 PDF

· 원문이미지

닫기

· PDF서비스

닫기

· 기본정보 해제 xml

닫기

일반사항

· 사부분류 사부
· 작성시기 1675
· 청구기호 K2-168
· 마이크로필름 MF35-1725
· 기록시기 1675~1720年(肅宗年間)
· 소장정보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 가치정보 귀중본

작성주체 - 인물

역할 인명 설명 생몰년 신분
편자미상(編者未詳)

형태사항

· 크기(cm) 30.3 X 21.7
· 판본 필사본(筆寫本)
· 장정 선장(線裝)
· 수량 5권(卷) 5책(冊)
· 인장 藏書閣印

· 상세정보

닫기

내용

정의
조선시대 역대 왕의 諱, 在位, 生年, 卒年, 능묘 등 인적 사항과 이력 및 각 왕대에 일어났던 중요 사실을 뽑아 숙종(1661~1720) 연간에 한글로 언해한 편년체 역사서이다.
서지사항
無界, 無郭의 楮紙에 단정한 宮書體로 필사된 언해본이다. 表紙書名은 ‘國朝故事’이다. 권수제는 ‘국됴고’이다. 표지 서명 하단에는 冊次가 ‘一·二 ……五’로 표기되어 있다. 書腦 하단에 ‘共五’라는 기록이 있다. 책 좌측 상단에 蟲害가 있다. 筆寫記가 없어 정확한 필사 연대를 알 수 없다. 각 책 제1면 우측 상단에 ‘藏書閣印’이 날인되어 있다.
체제 및 내용
본서는 한글 필사본으로 저자와 편찬 연대가 밝혀져 있지 않고 목록·서문·발문 등도 없다. 내용을 보면 제1책에는 태조 이성계의 22대 조상인 始祖와 그의 부인으로부터 世系를 약술하고, 4대 조상인 穆祖부터 조선 창업의 기초가 되는 활동을 서술하였다. 이어서 태조 이성계의 개국 업적과 함께 상서로운 징조들을 서술하고 뒤이어 문종까지의 업적을 기록했다. 제2책에는 단종의 재위, 세조의 찬탈과 업적, 예종성종의 업적, 연산군의 패륜 행위, 중종의 반정, 인종까지의 왕업을 기술했다. 제3책에는 명종 즉위와 大尹, 小尹 사이의 갈등, 선조 즉위와 임진왜란의 경과를 적었다. 제4책에는 명나라의 원병과 의병, 관군의 활동, 난 뒤의 세태, 광해군의 패륜 등을 적었다. 제5책에는 인조반정, 두 차례의 호란과 그 경과, 강화 성립 이후 소현세자봉림대군의 볼모 생활, 소현세자의 죽음과 효종의 즉위, 현종의 즉위와 승하까지 기록하였다. 한편 본서는 숙종을 ‘今上’이라고 지칭하고 있는데, 이런 사실에서 본서의 저자는 숙종 연간 인물이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장서각에는 언해본 이외에도 한문본 『國朝故事』(K2-169)이 있는데, 한문본 역시 연대와 저자가 밝혀져 있지 않다. 다만 한문본은 영조를 ‘今上’이라 기록하고 있는 사실에서 필자가 영조 때 인물로 판단된다.
특성 및 가치
단정한 한글 서체로 작성된 『국됴고』는 왕실 여성들로 하여금 조선 역대 국왕과 정치에 관한 기본적인 사실들을 알게 하려는 필요에서 작성되었다.

집필자

신명호
범례
  • 인명
  • 관직명
  • 나라명
  • 건물명
  • 관청명
  • 지명
  • 연도
  • 문헌명
  • 기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