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url:./treeAjax?siteMode=prod}
홈으로 > 자료분류 > 수집분류/왕실/고서

견첩록(見睫錄)

자료명 견첩록(見睫錄) 저자 편자미상(編者未詳)
자료명(이칭) 견첩록(見睫錄n1-4책) , 見睫錄 저자(이칭) [編者未詳] , 미상(未詳)
청구기호 K2-162 MF번호 MF35-1295
유형분류 고서/기타 주제분류 史部/雜史類
수집분류 왕실/고서/한국본 자료제공처 장서각(SJ_JSG)
서지 장서각 디지털아카이브 전자도서관 해제 장서각 디지털아카이브 전자도서관
원문텍스트 디지털아카이브 이미지 장서각통합뷰어* 원문이미지 디지털아카이브 PDF

· 원문이미지

닫기

· PDF서비스

닫기

· 기본정보 해제 xml

닫기

일반사항

· 사부분류 사부
· 작성시기 1777
· 청구기호 K2-162
· 마이크로필름 MF35-1295
· 기록시기 1777~1800年(正祖年間) 以後
· 소장정보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작성주체 - 인물

역할 인명 설명 생몰년 신분
편자미상(編者未詳)

형태사항

· 크기(cm) 26.7 X 19.0
· 판본 필사본(筆寫本)
· 장정 선장(線裝)
· 수량 4권(卷) 4책(冊)(전(全) 7권(卷) 4책(冊))
· 인장 昌寧曺氏, 曺秉昌印, 藏書閣圖書印 外 2顆

· 상세정보

닫기

내용

정의
역대 왕조의 창업 과정을 정리한 稟毓 및 符瑞를 비롯해 山川, 都邑 등으로 편목을 나누어 관련 사실을 각종 서적에서 초록해서 정리하여 간행한 책이다.
서지사항
繼線이 없는 楮紙에 필사하였다. 권1·3·4·7만 남아 있는 零本이다. 表紙書名 하단에는 冊次가 ‘元·亨·利·貞’으로 표기되어 있는데, 후대에 기재한 것으로 보인다. 앞표지 우측 하단에 편목이 기재되어 있다. 서·발문 및 筆寫記가 없어 정확한 필사 연대를 알 수 없다.
각 책 제1면 우측 상단에는 ‘藏書閣圖書印’이, 우측 하단에는 ‘昌寧曺氏’, ‘曺秉昌印’이 黑色으로 날인되어 있다.
체제 및 내용
본서는 본래 4권 7책으로 구성되었으나 현재는 권2, 5, 6은 확인되지 않는다. 권1은 단군 이래 고려조까지의 역사를 정리한 稟毓을 비롯해 조선의 창업 과정을 기록한 符瑞, 백두산 두만강부터 한라산까지 우리나라 자연 경관을 정리한 산천과 도읍·陵墓·制作·仁德·聖學 등으로 구성되었다. 이 중 「제작」 조는 신문고나 집현전의 설치를 위시하여 1746년(영조 22) 『속대전』 편찬 등 제도 정비 과정을 수록하였고, 「인덕」 조는 조선조 제왕들의 덕행을 소개하였다.
권3은 士禍·朋黨을 비롯해 국가적인 의례를 정리하면서 현종 대 예송까지 정리한 邦禮, 鄭夢周(1337~1392) 이하 성리학자를 정리한 儒林 등으로 구성되었다. 「유림」 조의 내용 중 張顯光(1554~1637)과 朴知誡(1573~1635)는 항목만 설정되고 내용은 없이 공백으로 처리되었다. 「방례」 조에서는 사대부 예법인 「私禮」가 함께 정리되었다. 「유림」 조 뒤에는 「數學」과 「校院」이 부록으로 함께 수록되었다. 「수학」 조를 별도로 부기한 것이 주목되는데 고려 말 金慶趾를 비롯해 수학과 관련된 鄭希良(1469~?)·鄭磏(1505~1549)·南師古 등을 소개하였다.
권4는 孝行·忠節·貞烈과 관련된 인물들을 정리하는 한편 주요 인물들의 학통을 정리한 師弟, 주요 가문의 家法, 결혼과 관련된 일화를 정리한 혼인 및 窮達과 壽夭 등으로 구성되었다. 「정렬」 조에는 「婦德」과 「妬忌」가, 「사제」 조에는 「붕우」가 부기되었다. 마지막 권7에는 일상생활과 관련된 氣義·誠實·廉儉 등을 비롯해 형벌 및 獄事의 처리와 관련된 刑獄과 도참설과 관련된 일화를 정리한 讖驗 등으로 구성되었다.
본서와 동명의 서적으로 현재 4종의 판본이 전한다. 규장각고려대학교 도서관 소장본은 6권 6책이고, 장서각 소장본은 7권 4책이며, 국립중앙도서관 소장본은 8권 8책으로 되어 있다. 각 판본별로 권별 구성이 차이가 있는데, 장서각규장각 소장본을 비교하면 아래와 같다. 두 기관 소장본의 편목을 비교해 보면, 장서각 소장본으로 현전하지 않는 결본의 대체적인 내용이 파악된다.
권차장서각 소장본(7권 4책)규장각 소장본(6권 6책)
권1稟毓·符瑞·山川·都邑·陵廟·制作·仁德·聖學稟毓·符瑞·山川·都邑·陵廟·制作·仁德·聖學·風俗·軍兵·田賦
권2결락災祥·兵革·事變·士禍·朋黨·邦禮
권3士禍·朋黨·邦禮·儒林(附 數學·校院)儒林·校院·孝行·忠節·貞烈·師弟
권4孝行·忠節·貞烈·師弟·家法·婚姻·窮達·壽夭家法·婚姻·窮達·壽夭·科擧·用人·官職·宰相·諫臣·守牧·將帥·功勳
권5결락文章·詩歌·聰敏·獎詡·鑑識·正直·德望·恬雅·義氣·誠實·廉儉·貪侈·魯莽
권6결락諧謔·報應·刑獄·寃枉·讖驗·技藝·器用·酒食·夢寐·死亡·.墓·靈異·仙道·僧佛·娼妓·鬼神·禽獸·草木·外國
권7義氣·誠實·廉儉·貪侈·魯莽·諧謔·報應·刑獄·寃枉·讖驗
특성 및 가치
본서는 각종 공·사 문적을 방대하게 참고하였다. 일연의 『삼국유사』를 비롯해 관찬인 『신증동국여지승람』·『국조보감』·『西征錄』 등과 영조 초 왕명으로 조현명 등이 편찬한 『祖鑑』 등이 참고되었다. 사찬 자료로서는 역사서인 이종휘의 『東史』를 비롯하여, 야사인 서거정의 『필원잡기』나 『죽창한화』 및 개인 문집인 이황의 『퇴계집』, 이식의 『택당집』, 남구만의 『약천집』, 허목의 『미수기언』, 김주신의 『수곡집』 등이 활용되었다. 따라서 각종 국가 제도나 典故를 종합하는 類書의 한 유형으로, 역대 관련 사실이나 전고를 파악하는 데 유용하다.

집필자

이근호
범례
  • 인명
  • 관직명
  • 나라명
  • 건물명
  • 관청명
  • 지명
  • 연도
  • 문헌명
  • 기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