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url:./treeAjax?siteMode=prod}
홈으로 > 자료분류 > 수집분류/왕실/고서

계한서(季漢書)

자료명 계한서(季漢書) 저자 사폐(謝陛)
자료명(이칭) 季漢書 저자(이칭) 謝陛(明) 撰
청구기호 K2-145 MF번호 MF35-1334~1336
유형분류 고서/기타 주제분류 史部/別史類
수집분류 왕실/고서/한국본 자료제공처 장서각(SJ_JSG)
서지 장서각 전자도서관 해제 장서각
원문텍스트 이미지 장서각통합뷰어* 원문이미지 PDF

· 원문이미지

닫기

· PDF서비스

닫기

· 기본정보 해제 xml

닫기

일반사항

· 사부분류 사부
· 작성시기 1683(숙종 9년)
· 청구기호 K2-145
· 마이크로필름 MF35-1334~1336
· 소장정보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작성주체 - 인물

역할 인명 설명 생몰년 신분
사폐(謝陛)(명(明)) 찬(撰)

형태사항

· 크기(cm) 29.2 X 18.6
· 판본 목판본(木版本)
· 장정 선장(線裝)
· 수량 일록(日錄) 1권(卷), 정론(正論) 1권(卷), 본기(本紀) 3권(卷), 세가(世家) 6권(卷), 내전(內傳) 17권(卷), 외전(外傳) 30권(卷), 재기(載紀) 3권(卷), 잡전(雜傳) 1권(卷), 문답(問答) 1권(卷), 합(合) 20책(冊)
· 판식 반곽(半郭) 20.8×14.1cm
· 인장 崔守誠章, 李王家圖書印

· 상세정보

닫기

내용

정의
明代 학자인 謝陛·· 三國의 역사를 기록한 책으로, 朝鮮에서 重刊한 것이다.
서지사항
表紙書名, 版心題는 ‘季漢書’이다. 표지 서명 하단에는 冊次가, 앞표지 우측 상단에는 편명이, 書腦 하단에는 ‘共二十’이라는 기록이 있다. 제17~20책 권수제 하단에는 ‘崔守誠章’이 날인되어 있으나, 제1~16책에서는 해당 인장이 도할되었다. 최수성(1708~?)은 本貫이 全州, 字는 君實이며, 1740년(영조 16)에 增廣試에서 생원 1등 2위로 입격하였다. 본서는 고려대학교 도서관 소장본(육당 B3 A2 1)에 기록된 “康熙二十二年八月初五日 / 內賜領敦寧府事金萬基季漢書 / 一件 / 命除謝恩 / 右承旨臣李[手決]”와 明齋硏究所 소장본에 기재된 “康熙二十二年八月初五日 / 內賜漢城府右尹尹拯季漢書 / 一件 / 命除謝恩 / 右承旨臣李[手決]”의 內賜記를 통해 볼 때 늦어도 1683년(숙종 9)에 간행된 것을 알 수 있다. 본서는 다양한 魚尾가 혼재되어 있다.
체제 및 내용
사폐가 『資治通鑑綱目』의 史觀에 따라 ·는 世家로 처리하고 蜀漢昭烈帝 劉備를 정통으로 삼아 ··의 역사를 기록한 책이다. 서문은 鐘人傑, 李維楨명대 인물이 지은 것만 실려 있고, 발문이나 刊記가 없어 조선에서 간행된 시기는 정확히 알 수 없다. 다만 1683년金萬基(1633~1687)와 尹拯(1629~1714)에게 內賜한 기록을 통해 볼 때 늦어도 이 무렵에는 간행되었을 것으로 보인다.
제1책 卷首에는 서문 6편과 目錄, 凡例四十四條, 正論이 실려 있다. 본문의 체제는 本紀(3권)·內傳(17권)·世家·外傳·載記·雜傳·問答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2책은 본기, 제3책은 내전 권1~3, 제4책은 내전 권4~6, 제5책은 내전 권7~10, 제6책은 내전 권11~14, 제7책은 내전 권15~17, 제8책은 세가 권1~3, 제9책은 세가 권4~6, 제10책은 외전 권1~3, 제11책은 외전 권4~6, 제12책은 외전 권7~10, 제13책은 외전 권11~13, 제14책은 외전 권14~16, 제15책은 외전 권17~20, 제16책은 외전 권21~24, 제17책은 외전 권25~27, 제18책은 외전 권28~30, 제19책은 재기 권1~3, 제20책은 잡전 및 문답이 실려 있다. 本紀 3권과 內傳 17권은 蜀漢의 三帝와 諸臣에 대한 내용이며, 世家 6권과 外傳 30권은 ·의 列帝와 諸臣이 수록되어 있다. 載記 3권과 雜傳 1권은 기타 인물들에 관한 내용이다. 권말에 부록된 問答 22則에는 의문점과 답변을 기술하고 있다.

집필자

김소희
범례
  • 인명
  • 관직명
  • 나라명
  • 건물명
  • 관청명
  • 지명
  • 연도
  • 문헌명
  • 기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