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url:./treeAjax?siteMode=prod}
홈으로 > 자료분류 > 수집분류/왕실/고서

고종실기원고(高宗實紀原稿)

자료명 고종실기원고(高宗實紀原稿) 저자 이왕직실록편찬실(李王職實錄編纂室) 편(編)
자료명(이칭) 高宗實記原稿 , 고종실기원고(高宗實記原稿) 저자(이칭) 이왕직실록편회(李王職實錄編會) , 李王職實錄編會 編
청구기호 K2-13 MF번호 MF35-999, 1100~1101
유형분류 고서/기타 주제분류 史部/編年類
수집분류 왕실/고서/한국본 자료제공처 장서각(SJ_JSG)
서지 장서각 디지털아카이브 전자도서관 해제 장서각 디지털아카이브
원문텍스트 이미지 장서각통합뷰어 원문이미지 PDF

· 원문이미지

닫기

· PDF서비스

닫기

· 기본정보 해제 xml

닫기

일반사항

· 사부분류 사부
· 작성시기 1927
· 청구기호 K2-13
· 마이크로필름 MF35-999, 1100~1101
· 기록시기 1927~1935年
· 소장정보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 가치정보 유일본

작성주체 - 기관단체

역할 단체/기관명 담당자 구분
이왕직실록편찬실(李王職實錄編纂室) 편(編)

형태사항

· 크기(cm) 26.9 X 19.5
· 판본 필사본(筆寫本)
· 장정 선장(線裝)
· 수량 불분권(不分卷) 14책(冊)

· 상세정보

닫기

내용

정의
李王職 實錄編纂室에서 1866년(高宗 3)부터 1877년(고종 14)까지의 실록 기사를 1927년부터 1935년에 걸쳐 필사한 초고이다.
서지사항
8행 24자의 주색 단면 원고지에 남색 잉크로 필사하였다. 원고지의 紙質은 洋紙이며, 西紀·露曆·陰曆·陽曆 등의 공란이 있는 李王職編輯用紙이다. 서명은 表紙書名에 근거하였다. 內題는 ‘實錄成案’이며, 그 하단에는 각 책에 해당하는 해의 간지와 월이 기록되어 있다. 書腦 하단에 ‘共十四’라는 기록이 있다. 다음 격지에는 ‘實錄成案 自○○月 至○○月’이라는 기록이 있다.
체제 및 내용
高宗實紀原稿』의 첫 장에는 ‘實錄成案’이라 쓰여 있고, 그 아래에 해당 干支와 月이 기재되어 있다. 다음 장부터는 기사 내용이 가로 여덟 줄, 세로 24줄의 괘선이 그어진 李王職纂輯用紙의 원고지에 기록되어 있다. 앞 칸에는 年月日을 표시하는 부분이 있다. 그 칸에는 西紀를 비롯하여 음력과 양력을 모두 표시하게 되어 있는데, 눈에 띄는 것은 露曆, 즉 러시아의 책력을 기재하는 칸이 별도로 있다는 것이다. 그리고 1冊에는 1866년(고종 3) 1월 11일부터 날짜별로 기사 내용이 기록되어 있다. 날짜를 기입하는 칸에는 ‘慶應(日本 年號), 高宗 3年, 同治 5年’이 함께 기재되어 있다. 14冊에는 1866년부터 1877년(고종 14)까지의 내용이 실려 있다.
본 자료는 삭제하거나 교정한 수정 사항이 고스란히 남아 있는 원고 상태이다. 본 자료를 통해서 주목할 점은 고종·순종실록의 초고가 원래 일본어로 작성되었다는 것이다. 고종·순종실록이 漢文을 기본으로 하면서 한글로 吐가 달려 있는 이유가 일본어의 영향에서 나온 것임을 알 수 있다.
고종·순종실록 편찬은 1926년 4월 순종이 승하하고, 國喪이 끝난 1927년 李王職 주관하에 착수하였다. 고종·순종실록 편찬 사업이 진행되는 과정에서 여러 초고 등이 작성되었다. 이왕직 주관하에 고종·순종실록을 편찬하기 위해 이용한 자료 및 그 결과로 작성된 초고 자료, 실록 편찬 업무와 관련된 각종 공문서는 대개 장서각에 소장되어 있는데, 이 자료 역시 그중 하나이다.
특성 및 가치
高宗實紀原稿』는 장서각 소장본이 유일본으로, 『고종실록』과 『순종실록』이 어떤 과정에서 편찬되었는가를 생생히 보여주는 자료이다. 장서각 소장 『高宗實錄資料原簿』(K2-4633), 『高宗實錄目錄』(K2-4677) 등과 문헌학.역사학.정치학 측면에서 상호 비교할 수 있다.

참고문헌

朝鮮史編修會事業硏究』, 朝鮮總督府朝鮮史編修會, 1938.

집필자

이민원
범례
  • 인명
  • 관직명
  • 나라명
  • 건물명
  • 관청명
  • 지명
  • 연도
  • 문헌명
  • 기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