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url:./treeAjax?siteMode=prod}
홈으로 > 자료분류 > 수집분류/왕실/고서

삼경통의(三經通義)

자료명 삼경통의(三經通義) 저자 백봉래(白鳳來) 찬(撰)
자료명(이칭) 三經通義 저자(이칭) [白鳳來(朝鮮) 撰]
청구기호 K1-7 MF번호 MF35-148~9
유형분류 고서/기타 주제분류 經部/總經類
수집분류 왕실/고서/한국본 자료제공처 장서각(SJ_JSG)
서지 장서각 전자도서관 해제 장서각
원문텍스트 이미지 장서각통합뷰어 원문이미지 PDF

· 원문이미지

닫기

· PDF서비스

닫기

· 기본정보 해제 xml

닫기

일반사항

· 사부분류 경부
· 작성시기 1893(고종 30년)
· 청구기호 K1-7
· 마이크로필름 MF35-148~9
· 기록시기 1893年(高宗 30)頃
· 소장정보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 일반주기 總冊: 共二
· 내용주기 卷1-2. 易傳 -- 卷3. 書傳 -- 卷1-2. 詩傳

작성주체 - 인물

역할 인명 설명 생몰년 신분
백봉래(白鳳來) 찬(撰)

형태사항

· 크기(cm) 32.8 X 22.5
· 판본 목활자본(木活字本)
· 장정 선장(線裝)
· 수량 5권(卷) 2책(冊)
· 판식 반곽(半郭) 25.0×18.3cm
· 인장 李聖熙章, 李王家圖書之章 外 1種

· 상세정보

닫기

내용

정의
白鳳來(1717~1799)가 『역전』·『시전』·『서전』을 대상으로 그 관계와 내용을 그림으로 밝히고 설명한 책이다.
서지사항
冊次가 第乾, 第坤으로 표기된 2책의 木活字板本으로 表紙書名은 三經通義이다. 表紙褙接紙는 『九龍齋文集』 목활자본이다. 권수 상단과 하단에 각각 ‘李王家圖書之章’과 ‘李聖熙章’이 날인되어 있는데, 乾冊의 권수 하단에 판독불가의 도장이 ‘李聖熙章’과 겹쳐져 하나 더 날인되어 있다. 건책과 곤책에 각각 先後天克生配合圖와 詩傳體易之圖 외에 여러 삽도가 실려 있다.
체제 및 내용
18세기 영남의 학자인 백봉래가 그의 문집인 『九龍齋集』에 수록되어 있던 글을 별도로 편집하여 5권 2책(乾·坤)으로 간행한 것이다. 백봉래의 자는 來伯이고, 호는 九龍齋이다. 세거지인 영남 고성에서 후진 양성에 몰두하여 300명의 문인을 배출하였으며, 학문 연구에 몰두하여 『九龍齋文集』 3권을 비롯하여 『歷代通運』(8권), 『四書通理』(4권), 『序易』(2권) 등 을 남겼다.
건책의 『역전』 권1에는 先後天克生配合圖를 비롯하여 河圖洛書互相經緯圖, 八卦九章互相表裏圖 등 24개의 그림과 해설이 실려 있다. 권2에서는 上下經互相經緯之圖, 剝復爲陰陽消息之圖 등 12개의 그림을 도해하여 설명하고 있다. 『서전』 권3에는 六體四維相須體易之圖, 四書爲帝王曆敍綱領之圖 등 16개의 도해가 수록되어 있다. 곤책의 『시전』 권1에 詩傳體易之圖, 詩大全體易之圖 등 15개의 그림, 권2에 小雅流形之圖, 鹿嗚爲始小雅之圖 등 18개의 그림이 각각 실려 있다. 백봉래는 선현의 遺敎 및 餘訓을 참작하여 그림을 그리고 설명을 하고 있으며, 자신의 견해를 밝힐 때에는 조심스러운 태도를 취하였다.
이 책의 총 86개의 그림과 해설을 통해 저자는 삼경의 本末과 體用, 그리고 性情關係가 하나의 이치로 歸一하며, 서로 뗄 수 없는 깊은 관련성이 있음을 설명하고 있다. 특히 그는 조선 성리학의 圖像學의 전통을 계승하여 경서의 釋義에서 벗어나 通義에 주목한 특징적인 면모를 보인다.

참고문헌

白鳳來, 『九龍齋集』.KNL

집필자

박학래
범례
  • 인명
  • 관직명
  • 나라명
  • 건물명
  • 관청명
  • 지명
  • 연도
  • 문헌명
  • 기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