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url:./treeAjax?siteMode=prod}
홈으로 > 자료분류 > 수집분류/왕실/고서

삼경사서정문(三經四書正文)

자료명 삼경사서정문(三經四書正文) 저자 정조(正祖) 편(編)
자료명(이칭) 三經四書正文 저자(이칭) 正祖(朝鮮) 編
청구기호 K1-5 MF번호 MF35-1186
유형분류 고서/기타 주제분류 經部/總經類
수집분류 왕실/고서/한국본 자료제공처 장서각(SJ_JSG)
서지 장서각 전자도서관 해제 장서각
원문텍스트 이미지 장서각통합뷰어 원문이미지 PDF

· 원문이미지

닫기

· PDF서비스

닫기

· 기본정보 해제 xml

닫기

일반사항

· 사부분류 경부
· 작성시기 1820(순조 20년)
· 청구기호 K1-5
· 마이크로필름 MF35-1186
· 소장정보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 일반주기 表題: 經書正文
· 내용주기 卷1-2. 周易 -- 卷3-4. 書傳 -- 卷5-6. 詩傳 -- 卷7. 大學 -- 卷8. 中庸 -- 卷9. 論語 -- 卷10. 孟子

작성주체 - 인물

역할 인명 설명 생몰년 신분
정조(正祖) 편(編)

형태사항

· 크기(cm) 33.1 X 22.2
· 판본 목판본(木板本)
· 장정 선장(線裝)
· 수량 10권(卷) 5책(冊)
· 판식 반곽(半郭) 24.8×17.0cm
· 인장 李王家圖書之章

· 상세정보

닫기

내용

정의
1775년(영조 51) 당시 世孫으로 있던 正祖(1752~1800)가 三經과 四書의 본문만을 활자본으로 간행한 것을 1820년(순조 20)에 내용을 일부 수정하여 다시 간행한 책이다.
서지사항
表紙書名은 ‘經書正文’이나 卷首題는 ‘三經四書正文’이다. 본래 活字本을 內閣藏版으로 그대로 번각한 책이다. 版心 부분에는 書名과 卷次, 편명, 張次가 기재되어 있다. 권1부터 권5까지 구결이 필사되어 있다. 卷末에는 乙未年(1775)의 跋文과 庚辰年(1820)의 刊記가 있다.
체제 및 내용
경학에 대해 깊은 관심이 있었던 정조는 『四書五經大全』의 주석에 대해 적지 않은 의문을 가졌다. 그는 경문의 旨義에 대해 직접 파악할 것을 요구하여 이 『삼경사서정문』 10권을 편찬하였다.
권1, 2는 程頤의 序와 함께 『주역』이, 권3, 4는 蔡沈의 서와 함께 『서전』이, 권5, 6에는 朱熹의 서와 함께 『시전』이 수록되어 있다. 권7과 8에는 주희의 서와 함께 『대학』과 『중용』이 수록되어 있으며, 권9와 10은 『논어』와 『맹자』의 본문이 각각 전재되어 있다. 그리고 정조의 발문이 말미에 수록되어 있는데, 1775년에 간행된 활자본에는 三經四書正文跋로 수록되어 있으나, 이 책에는 正廟御製經書正文跋로 수록되어 있다.
발문에서 정조는 “삼경사서에 대하여 제가의 箋注를 집성하여 『대전』으로 만든 것이 51책이다. 내가 늘 이것을 연구하려 하였으나, 그 편질이 하도 커서 이해하기 어려워 병통으로 여겼다”고 지적하고, “본문만 취하여 1질로 합하니 모두 다섯 책이다. 51책에서 5책으로 되었으므로 축약하였다고 말할 수 있으나, 마음은 하나라는 점에서 5책을 본다면 역시 넓다.”고 하여 본서 간행에 대한 입장을 밝혔다. 그리고 “본문을 반복해서 익히고 난 다음에 그 뜻을 상세히 궁구하고자 할 때에는 『대전』을 참고하라.”고 당부하였다. 이러한 정조의 견해는 경학의 연구가 현실 학문인 경세학으로 발전해야 하며, 이를 위해서는 단시간에 경학의 핵심을 파악할 수 있는 요약본이 필요함을 은연중에 강조한 것이다.

참고문헌

正祖의 經學類 書籍 御定ㆍ御命撰과 經學思想」, 심경호, 『서지학보』 21, 한국서지학회, 1998. URL
정조의 경학 연구 방법에 관한 규견」, 심경호, 『태동고전연구』 21, 태동고전연구소, 2005. URL

집필자

박학래
범례
  • 인명
  • 관직명
  • 나라명
  • 건물명
  • 관청명
  • 지명
  • 연도
  • 문헌명
  • 기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