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url:./treeAjax?siteMode=prod}
홈으로 > 자료분류 > 수집분류/왕실/고서

매산선생예설(梅山先生禮說)

자료명 매산선생예설(梅山先生禮說) 저자 홍직필(洪直弼) 찬(撰)
자료명(이칭) 梅山先生禮說 저자(이칭) 洪直弼(朝鮮) 撰
청구기호 K1-47 MF번호 MF25-1275
유형분류 고서/기타 주제분류 經部/禮類
수집분류 왕실/고서/한국본 자료제공처 장서각(SJ_JSG)
서지 장서각 전자도서관 해제 장서각
원문텍스트 이미지 장서각통합뷰어 원문이미지 MF-PDF

· 원문이미지

닫기

· MF이미지

닫기

· 기본정보 해제 xml

닫기

일반사항

· 자료명(한글) 매산선생예설
· 자료명(한자) 梅山先生禮說
· 사부분류 경부
· 작성시기 1893(고종 30년)
· 청구기호 K1-47
· 마이크로필름 MF25-1275
· 소장정보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 일반주기 表題: 梅山禮說
· 내용주기 梅山先生禮說序, 梅山先生禮說凡例, 梅山先生禮說總目 -- 卷1. 冠昏禮, 通禮 -- 卷2. 通禮 -- 卷3-5. 喪禮 -- 卷6. 喪禮, 祭禮 -- 卷7. 國禮

작성주체 - 인물

역할 인명 한글 한자 설명 생몰년 신분
홍직필(洪直弼) 찬(撰) 홍직필 洪直弼

형태사항

· 크기(cm) 31.0 X 19.8
· 판본 목활자본(木活字本)
· 장정 선장(線裝)
· 수량 7권(卷) 4책(冊)
· 판식 반곽(半郭) 21.4×15.0cm
· 인장 李王家圖書之章

· 상세정보

닫기

내용

정의
梅山  洪直弼 (1776~1852)의 문인인 李鎭玉·田愚 가 스승의 문집 등에서 예설을 모아 편집하여 1893년(고종 30) 간행한 예서이다.
서지사항
表紙書名을 필사한 아래에 元, 亨, 利, 貞으로 冊次가 매겨져 있고, 표지의 우측 상단에는 목차를 기재하였다. 목활자 인쇄본이다.
체제 및 내용
이 책은 序, 凡例, 總目, 목록, 본문, 跋文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서문은 1891년(고종 28)金洛鉉이 쓴 것으로, 이 책의 편찬배경과 과정 및 의의가 잘 나타나 있다.凡 例는 10조이다. 본문의 내용은 매산 의 全 書 중 1866년의 印本(27책)과 李鎭玉1858년에 편찬한 續集(5책)에 수록된 서간 중에서 예설에 대한 문답과 어록을 초출하여 편집한 것이다. 김장생 의 『疑禮問解』와 송시열 의 『經禮問答』의 차례를 모방하여 편목을 분류하였다.
總目에는 권1 冠婚禮, 권2 通禮, 권3~권6 喪禮, 권6 祭禮, 권7 國禮 등 의 순서를 밝히고 조목수를 기재했다. 총목 다음에는 목록을 수록하였는데, 항목별 조목수를 역시 수록했다. 이에 의거하면 모두 76항목 939조이다. 본문은 조목마다 매산 의 답서를 기록하고 끝에 질문자의 성명을 기록했다.
跋文은 1893년이진옥이 쓴 것으로, 이 책의 편찬과정이 기록되어 있다. 매산 이 사망한지 20년이 지나서 문인들이 만든 초록본을 15년 후에 5책으로 했다가, 기축년(1889) 봄부터 田愚 와 함께 이를 교정· 산삭하여 임진년(1892) 겨울에 4책으로 완성하였다.
특성 및 가치
조선 말기 국내외의 환경이 급격히 변화해 가는 시기에 가례와 국례의 중요성이 강조된 예서로서 가치가 있다.

집필자

임민혁
범례
  • 인명
  • 관직명
  • 나라명
  • 건물명
  • 관청명
  • 지명
  • 연도
  • 문헌명
  • 기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