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례수초(讀禮隨鈔)
· 원문이미지
· MF이미지
· 기본정보 해제 xml
일반사항
· 자료명(한글) | 독례수초 |
---|---|
· 자료명(한자) | 讀禮隨鈔 |
· 사부분류 | 경부 |
· 작성시기 | 1618(광해군 10년) |
· 청구기호 | K1-46 |
· 마이크로필름 | MF35-843 |
· 기록시기 | 1618年(光海君 10) 以後 |
· 소장정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
· 일반주기 | 總冊: 共四 |
· 내용주기 | 讀禮隨鈔序 -- 卷1. 曲禮上, 曲禮下, 檀弓上, 檀弓下 -- 卷2. 王制, 曾子問, 禮運, 禮器, 郊特牲, 玉藻, 明堂位, 喪服小記, 大傳, 小儀, 學記 -- 卷3. 樂記, 雜記上, 雜記下, 喪大記, 祭法, 祭義 -- 卷 |
작성주체 - 인물
역할 | 인명 | 한글 | 한자 | 설명 | 생몰년 | 신분 |
---|---|---|---|---|---|---|
김상헌(金尙憲) 찬(撰) | 김상헌 | 金尙憲 |
형태사항
· 크기(cm) | 29.6 X 19.8 |
---|---|
· 판본 | 목판본(木板本) |
· 장정 | 선장(線裝) |
· 수량 | 4권(卷) 4책(冊) |
· 판식 | 반곽(半郭) 20.3×15.7cm |
· 인장 |
李王家圖書之章
|
· 상세정보
내용
정의
淸陰
金尙憲
(1570~1652)이 『小學』에 인용된 구절을 제외한 『禮記』의 원문 가운데 반드시 알아야 할 부분을 초출하고 注疏를 인용하여 붙여 편찬한 예서이다.서지사항
表紙書名을 필사한 아래쪽에 元, 亨, 利, 貞으로 冊次를 썼다. 표지의 우측 상단에는 목차를 기재하였다. 목판본이며 1책에는 먹으로 일일이 吐를 달았으나 그 이후는 吐가 달려있지 않다.체제 및 내용
이 책은 서문과 본문으로 구성되어 있다. 서문은 찬자인 淸陰金尙憲
이 쓴 것으로 이 책의 편찬배경과 의의가 잘 나타나 있다. 김상헌
은 字가 叔度
, 호가 淸陰
또는 石室山人
이며, 본관은 安東이다. 尹根壽
의 문인이다.이 책의 편찬은 김상헌 이 1618년(광해 10)에 생부 金克孝 의 상을 당한 후 예의 중요성을 깨닫고서 예를 기록한 모든 책을 찾아보게 된 것이 계기가 되었다. 迷亂失省日久라 하였으니, 편찬 시기는 3년상을 치른 그 이후로 여겨지나 불분명하다.
그는 어린 시절에 『소학』을 읽으면서 『예기』에서 인용한 要語를 암송하는 것 외에는 『예기』를 익히지 못했다고 한다. 그리하여 그는 『소학』에 인용되지 않은 『예기』 내용 중 꼭 알아야 할 것을 초록하되, 喪記 여러 편은 가례 중의 去就와 古今의 마땅함이 다른 것을 논하지 않고 조금이라도 보태서 참고할 목차를 갖추었으니, 이를 『독례수초』라 한다고 하였다.
따라서 본문에는 『소학』에서 인용된 구절을 제외한 『예기』의 나머지 부분에서 반드시 알아야 할 원문을 초출하고 注疏를 인용하여 붙였다. 차례는 『예기』 49편의 순서에 따랐다. 이 판본에는 권1의 원문에만 구결을 달아놓았다.
집필자
임민혁
범례
- ●인명
- ●관직명
- ●나라명
- ●건물명
- ●관청명
- ●지명
- ●연도
- ●문헌명
- ●기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