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례유찬(經禮類纂)
· 원문이미지

· MF이미지

· 기본정보 해제 xml

일반사항
· 자료명(한글) | 경례유찬 |
---|---|
· 자료명(한자) | 經禮類纂 |
· 사부분류 | 경부 |
· 작성시기 | 1882(고종 19년) |
· 청구기호 | K1-44 |
· 마이크로필름 | MF35-794, MF1377 |
· 소장정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
· 일반주기 | 總冊: 共四 |
· 내용주기 | 經禮類纂序, 經禮類纂目錄 -- 卷1-4. 喪禮 -- 卷5. 祭禮 -- 經禮類纂跋 |
작성주체 - 인물
역할 | 인명 | 한글 | 한자 | 설명 | 생몰년 | 신분 |
---|---|---|---|---|---|---|
허목(許穆) 찬(撰) | 허목 | 許穆 |
형태사항
· 크기(cm) | 27.8 X 18.1 |
---|---|
· 판본 | 목판본(木板本) |
· 장정 | 선장(線裝) |
· 수량 | 5권(卷) 4책(冊) |
· 판식 | 반곽(半郭) 19.8×14.4cm |
· 인장 |
藏書閣圖書印
|
· 상세정보

내용
서지사항
표지는 흰색 종이로 장정하였고, 종이 題籤을 사용하였다. 목판본이며 판식은 上下內向二葉花紋魚尾다.권말에 ‘是歲季夏宜寧新刊’이라는 간기가 수록되어 있다.
체제 및 내용
이 책은 서와 목록, 본문, 발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서문은 許傳
이 고종 18년에 쓴 것으로, 이 책의 편찬배경과 목적 등을 적었다. 이 책은 원래 許穆
이 숙종
때 만들고 이름을 지은 것이다. 그 후 이백여 년 동안 藁本으로 남아 있다가 9대손 許憲이 유생 權泰榮과 함께 한 부를 抄出하였다. 耆老들이 이 소식을 듣고 간행을 늦출 수 없다고 하고 허전
에게 서문을 청하였다. 跋文은 1882년(고종 19)에 허헌이 쓴 것이며, 권말 간기를 통해 이 해 6월에 의령에서 간행되었음을 알 수 있다.본문은 권1부터 권4까지가 상례이며, 권5는 제례이다. 이 내용들은 정해진 항목에 따라 중국 고대의 三禮書인 『儀禮』, 『周禮』, 『禮記』에서 관련 사항을 초출하여 정리한 것이다. 상례는 『주자가례』의 체제에 준하고 있으나, 時俗과 변례, 제후의 예 등을 포함하고 있다. 제례는 제사의 종류와 절차를 설명해 놓은 것이 아니라, 「掌事」라고 하여 『주례』 체제를 모방해서 제사를 담당하는 職人을 중심으로 정리해 놓았다.
집필자
임민혁
범례
- ●인명
- ●관직명
- ●나라명
- ●건물명
- ●관청명
- ●지명
- ●연도
- ●문헌명
- ●기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