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url:./treeAjax?siteMode=prod}
홈으로 > 자료분류 > 수집분류/왕실/고서

경서변의(經書辨疑)

자료명 경서변의(經書辨疑) 저자 김장생(金長生) 찬(撰)
자료명(이칭) 經書辨疑 저자(이칭) 金長生(朝鮮, 1548-1631) 撰
청구기호 K1-2 MF번호 MF35-1223
유형분류 고서/기타 주제분류 經部/總經類
수집분류 왕실/고서/한국본 자료제공처 장서각(SJ_JSG)
서지 장서각 전자도서관 해제 장서각
원문텍스트 이미지 장서각통합뷰어 원문이미지 MF-PDF

· 원문이미지

닫기

· MF이미지

닫기

· 기본정보 해제 xml

닫기

일반사항

· 자료명(한글) 경서변의
· 자료명(한자) 經書辨疑
· 사부분류 경부
· 작성시기 1666(현종 7년)
· 청구기호 K1-2
· 마이크로필름 MF35-1223
· 소장정보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 일반주기 總冊: 共二
· 내용주기 卷1. 小學 -- 卷2. 大學 -- 卷3. 論語 -- 卷4. 孟字 -- 卷5. 中庸 -- 卷6. 書傳 -- 卷7. 禮記

작성주체 - 인물

역할 인명 한글 한자 설명 생몰년 신분
김장생(金長生) 찬(撰) 김장생 金長生

형태사항

· 크기(cm) 26.5 X 18.8
· 판본 목판본(木板本)
· 장정 선장(線裝)
· 수량 7권(卷) 2책(冊)
· 판식 반곽(半郭) 20.0×14.0cm
· 인장 安東世家, 金壽恒, 李王家圖書之章

· 상세정보

닫기

내용

정의
沙溪  金長生 (1548~1631)이 성리학 관련 기본 서적들을 종합적으로 주석한 책이다.
서지사항
表紙書名은 ‘經書辨疑’이다. 표지서명 아래 冊次가 乾·坤으로 표기되어 있다. 두 책 표지의 우측 상단에는 각각 小學·大學·論語·孟子, 中庸·書傳·禮記로 편명이 기재되어 있다. 書根에는 서명이 표기되어 있다. 版心에는 각 장의 제목이 표기되어 있다. 金長生 (1548~1631)이 戊午年에 쓴 序, 張維 (1587~1638)와 宋時烈 (1607~1689)이 쓴 跋文이 있다. 序에 ‘安東世家’, 卷首題에 ‘金壽恒’의 印章이 있고, 卷末에도 印章이 있다. 중간에 삽도가 있고 魚尾가 혼재되어 있다.
체제 및 내용
김장생 이 71세 되던 해인 1618년에 완성했다. 이 책은 현재 2종의 異本이 전해지고 있다. 첫째는 1666년 김장생 의 제자 송시열 의 주도 아래 간행된 7권 3책의 단행본이며, 다른 하나는 『沙溪全書』에 포함되어 있는 6권 분량의 「經書辨疑」이다. 후자는 전자에 비해 周易이 추가되었을 뿐 다른 내용은 큰 차이가 없다. 김장생 의 『經書辨疑』에서 제기하고 있는 여러 논변들은 愚伏  鄭經世 와의 질정을 통해 이루어졌으며, 정경세 김장생 과 문답한 내용은 정경세 의 문집에 「金沙溪經書疑問辨論」으로 남아 있다.
전체 구성은 1책 序文·跋·小學·大學·論語·孟子, 2책 中庸·書傳·禮記로 구성되어 있다. 각 항이 한 권이며 모두 7권으로 되어 있다. 경서 가운데 문제점이 있으면, 大文·朱子註·小註·諺解를 모두 추출하되, 각 경서의 원문 순서를 지켰다. 그리고 문제가 되는 구절의 발췌문 뒤에 한 칸 낮게 본문을 시작하였으며, 退溪曰 栗谷曰 등으로 근거를 밝혔다. 자신의 견해일 경우 愚按 또는 按으로 시작하였으며, 전거가 있는 경우에는 『語類』·『左傳』·『史記』 등 원자료를 밝혔다.
특성 및 가치
이 책은 비록 『詩傳』과 관련된 내용이 누락된 한계를 지니고 있지만, 『說文解字』·『史記索隱』·『白虎通』·『水經註』 등 다양한 종류의 중국 서적을 인용해 문물제도에 대한 해박한 지식을 보여주고 있다. 아울러 大全本 小註에 수록된 ·明代 이전 중국 학자들의 설은 물론, 權近 ·李滉 ·李珥 ·鄭經世 ·宋翼弼 ·柳希春 조선조 유학자들의 설까지도 두루 망라하여 수록하고 있다. 따라서 이 책으로 17세기 중엽 이전의 경서 해석에 대한 논란을 전반적으로 검토할 수 있다.

참고문헌

金長生의 經學思想」, 우경섭, 『한국학보』 27권 2호(103호), 일지사, 2001. URL
「『경서변의』·『대학』을 통해 본 사계 김장생의 경학사상」, 이영호, 『인문과학』 30, 성균관대 인문과학연구소, 2000. URL
沙溪 김장생의 경학사상-『經書辨疑』를 중심으로」, 오석원, 『동양철학연구』 10, 동양철학연구회, 1980.RISS

집필자

전재동
범례
  • 인명
  • 관직명
  • 나라명
  • 건물명
  • 관청명
  • 지명
  • 연도
  • 문헌명
  • 기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