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url:./treeAjax?siteMode=prod}
홈으로 > 자료분류 > 수집분류/왕실/고서

자휘(字彙)

자료명 자휘(字彙) 저자 매정조(명)(梅鼎祚(明)) 음석(音釋)
자료명(이칭) 字彙 저자(이칭) 梅膺祚(明) 音釋
청구기호 K1-182 MF번호 MF35-1135~6
유형분류 고서/기타 주제분류 經部/小學類/字書
수집분류 왕실/고서/한국본 자료제공처 장서각(SJ_JSG)
서지 장서각 전자도서관 해제 장서각
원문텍스트 이미지 장서각통합뷰어 원문이미지 PDF

· 원문이미지

닫기

· PDF서비스

닫기

· 기본정보 해제 xml

닫기

일반사항

· 사부분류 경부
· 작성시기 1675
· 청구기호 K1-182
· 마이크로필름 MF35-1135~6
· 기록시기 1675~1720年(肅宗年間)
· 소장정보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작성주체 - 인물

역할 인명 설명 생몰년 신분
매정조(梅鼎祚)(명(明)) 음석(音釋)

형태사항

· 크기(cm) 29.2 X 19.0
· 판본 목판본(木板本)
· 장정 선장(線裝)
· 수량 14집(集) 14책(冊)
· 판식 반곽(半郭) 20.5×15.0cm
· 인장 李王家圖書之章

· 상세정보

닫기

내용

정의
1615년(明 萬曆 43) 중국 明나라梅膺祚가 편찬한 字典으로 1675년 이후 인쇄된 것으로 추정된다.
체제 및 내용
字彙』는 首卷과 末卷의 사이에 子集부터 亥集까지 12集이 있어 모두 14集으로 구성되어 있다. 전체적인 체제는 字彙序, 字彙凡例, 字彙目錄, 本文으로 되어 있다. 수록된 한자는 모두 33,179자이다. 字彙序는 편찬자인 梅膺祚의 從兄인 梅鼎祚가 썼다. 서문에서 이 자서는 종래 사용되던 『說文解字』나 『玉篇』, 『爾雅』등의 사용하기에 불편한을 개선하기 위하여 편찬되었음을 밝히고 있다. 字彙凡例는 22항으로 되어 있고 字彙目錄에는 각 권에 수록된 부수와 부수별 한자의 숫자를 밝히고 있다. 이 책에 사용된 部首는 모두 214개이다. 本文에는 수록된 한자의 아래에 反切로 음을 달고 뜻풀이를 하였다. 수록된 한자는 經書에 사용된 한자는 물론 이들 한자의 古文이나 異體 등과 아울러 通俗字, 僻字 까지도 수록하여 당대 한자의 전반적인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卷末에는 梅膺祚가 편찬한 「韻法橫圖」와 「韻法直圖」가 첨부되어 있고, 제7冊 褙接紙의 간기로 보아 1675(淸 康熙 13) 이후 인쇄된 것으로 보인다.
특성 및 가치
본 도서의 가장 중요한 가치는 종래 자서의 배열 방식을 획기적으로 개선한 점이다. 본 도서는 『說文解字』 이래의 部首를 정리하여 214개로 축소하여 현재 사용되는 옥편의 기틀을 이루었다. 部首는 물론 부수에 속한 한자의 배열도 畵順으로 하고, 檢字 항을 두어 자형의 판별이 혼란스러운 경우 부수 판독을 용이하게 하도록 하여 전체적으로 독자의 편의를 증진한 점에서 後代 字書의 모범이 되는, 중국 字書史上 매우 중요한 서적이다.

참고문헌

劉葉秋, 『中國字典史略』, 源流文化事業有限公司, 1984. URL
何九盈, 『中國古代語言學史』, 廣東敎育出版社, 2000.RISS

집필자

정경일
범례
  • 인명
  • 관직명
  • 나라명
  • 건물명
  • 관청명
  • 지명
  • 연도
  • 문헌명
  • 기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