맹자정음(孟子正音)
· 원문이미지

· MF이미지

· 기본정보 해제 xml

일반사항
· 자료명(한글) | 맹자정음 |
---|---|
· 자료명(한자) | 孟子正音 |
· 사부분류 | 경부 |
· 작성시기 | 1784 |
· 청구기호 | K1-171 |
· 마이크로필름 | MF35-1388 |
· 기록시기 | 1777~1800年(正祖年間) 以後 |
· 소장정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
작성주체 - 인물
역할 | 인명 | 한글 | 한자 | 설명 | 생몰년 | 신분 |
---|---|---|---|---|---|---|
편자미상(編者未詳) |
형태사항
· 크기(cm) | 33.6 X 21.8 |
---|---|
· 판본 | 목판본(木板本) |
· 장정 | 선장(線裝) |
· 수량 | 6권(卷) 3책(冊) |
· 판식 | 반곽(半郭) 24.5×16.6cm |
· 인장 |
李王家圖書之章
|
· 상세정보

내용
정의
『맹자』의 원문에 중국어의 正音과 俗音 두 가지 발음을 훈민정음으로 표기한 책이다.체제 및 내용
『周易正音』·『書傳正音』·『詩傳正音』·『春秋正音』·『大學正音』·『論語正音』과 함께 『經書正音』의 일부이다. 『논어정음』과 『대학정음』이 1735년(영조 11)에 간행되었음을 고려하면, 『맹자정음』도 첫 간행은 1735년이었을 가능성이 크다.본 도서는 6권 3책으로 구성되었는데, 1책은 권1 梁,惠王 上·양혜왕 하, 권2 公孫丑 上~滕文公 上으로, 2책은 권3 등문공 하 ~离婁 下, 권4 萬章 上·만장 하로, 3책은 권5 告子 上·고자 하, 권6 盡心 上·진심 하로 각각 이루어졌다.
원문 각 한자 아래에 두 가지 중국어음을 훈민정음으로 표시하는 관습은 16세기부터 19세기 말까지 간행된 『老乞大諺解』·『朴通事諺解』 등 모든 언해본 한학서에서 공통적으로 발견되는 특징이다. 이 두 가지 중국어음 가운데 왼쪽은 正音 즉 이상적인 중국어음으로, 오른쪽은 俗音 즉 당시 북방 중국어의 현실음이라고 알려져 왔다. 오른쪽 음이 당시 중국어음을 전사한 것이라는 해석에는 이론이 없으나, 왼쪽 음 즉 통칭 정음의 명확한 성격과 그것을 계속 표시한 목적에 관해서는 아직까지 확실한 이론이 제시되지 않았다. 오른쪽 음은 17, 18세기에 간행된 언해본 한학서들의 오른쪽 음과 대체로 일치한다.
참고문헌
「經書正音字攷」, 尹炳泰, 『도협월보』 16-1, 한국도서관협회, 1974.
URL
집필자
박찬흥
범례
- ●인명
- ●관직명
- ●나라명
- ●건물명
- ●관청명
- ●지명
- ●연도
- ●문헌명
- ●기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