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어혹문(論語或問)
· 원문이미지

· MF이미지

· 기본정보 해제 xml

일반사항
· 자료명(한글) | 논어혹문 |
---|---|
· 자료명(한자) | 論語或問 |
· 사부분류 | 경부 |
· 작성시기 | 1700 |
· 청구기호 | K1-166 |
· 마이크로필름 | MF35-1373 |
· 기록시기 | 1700~1776年(肅宗末~英祖年間) |
· 소장정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
작성주체 - 인물
역할 | 인명 | 한글 | 한자 | 설명 | 생몰년 | 신분 |
---|---|---|---|---|---|---|
주희(朱熹)(송(宋)) 찬(撰) | 주희 | 朱熹 |
형태사항
· 크기(cm) | 32.9 X 21.5 |
---|---|
· 판본 | 금속활자본(金屬活字本)(현종실록자혼입목활자(顯宗實錄字混入木活字)) |
· 장정 | 선장(線裝) |
· 수량 | 20권(卷) 6책(冊) |
· 판식 | 반곽(半郭) 24.0×17.0cm |
· 인장 |
延安世家, 金載久印, 聖適氏, 李王家圖書之章
|
· 상세정보

내용
정의
주희가 『논어』의 각 장에 관한 여러 학자들의 설에 대해 문답식으로 논변한 책이다.서지사항
본문은 현종실록자로 인쇄되었다. 書眉의 頭註도 활자로 인쇄되었는데, 현종실록자는 아니다. 書眉에 첨지가 붙어있는 경우가 있으나 그 내용을 알 수 없다. 1책~6책의 표지 서명은 『논어혹문』 다음에 禮·樂·射·御·書·數 즉 大藝의 순서에 따라 6책의 冊次 표시하였다.체제 및 내용
20권 6책으로, 체제는 주희의 『大學或問』의 체제를 따랐다. 『논어』의 각 장을 한권으로 분리하여 모두 20권으로 편찬한 것이다. 1책은 권1 學而~권2 爲政, 2책은 권3 八佾~권5 公冶長, 3책은 권6 雍也~권7 述而, 4책은 권8 泰伯~ 권9 堯曰 으로 구성되어 있다. 서문과 발문이 없어 우리나라에서의 출간 연대는 정확히 알 수가 없다.주희의 『논어집주』에 대한 여러 학자들의 설에 대해 문답을 설정하여, 먼저 원문에 或問을 기재하고, 이어 答曰을 쓴 뒤 질문에 대한 해석을 하고 있다. 순서는 『논어』의 편장 순서를 그대로 따르고 있다. 답변 해석이 길어질 경우 행을 바꾸어 한 글자 낮추어서 서술하고 있다. 답변이 미비하면 선유들의 말을 인용하면서 누구의 말과 같다, 혹은 누구의 말과 비슷하다고 해설한 뒤 밑에 割注를 써서 인용한 사람의 말 전문을 기록하여 참고가 되도록 하였다. 또한, 상단 난외에 매 문항마다 관계되는 章名을 간결하게 표시하여 질문하는 출처를 찾아보기 편리하도록 배치하였고, 오자와 탈자가 생겼을 경우 상단 난외에 오탈자를 적어놓아 이해하기 쉽게 하였다. 인용된 先儒는 胡氏·蘇氏·李氏·洪氏·吳氏·曾氏·晁氏 등이다.
특성 및 가치
주자 스스로 문답 형식을 통해 다른 학자들의 설에 대해 답변한 것으로 주자 자신의 견해를 분명히 알 수 있는 책이다.집필자
박찬흥
범례
- ●인명
- ●관직명
- ●나라명
- ●건물명
- ●관청명
- ●지명
- ●연도
- ●문헌명
- ●기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