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어언해(론어언)
· 원문이미지

· MF이미지

· 기본정보 해제 xml

일반사항
· 자료명(한글) | 론어언 |
---|---|
· 사부분류 | 경부 |
· 작성시기 | 1820(순조 20년) |
· 청구기호 | K1-165 |
· 마이크로필름 | MF35-4712 |
· 소장정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
· 일반주기 | 同書八部 |
작성주체 - 인물
역할 | 인명 | 한글 | 한자 | 설명 | 생몰년 | 신분 |
---|---|---|---|---|---|---|
선조(宣祖) 명찬(命撰) | 선조 | 宣祖 |
형태사항
· 크기(cm) | 33.3 X 21.8 |
---|---|
· 판본 | 목판본(木板本) |
· 장정 | 선장(線裝) |
· 수량 | 4권(卷) 4책(冊) |
· 판식 | 반곽(半郭) 22.8×17.0cm |
· 인장 |
修學院印, 李王家圖書之章
|
· 상세정보

내용
체제 및 내용
K1-163 참조.국어학 해제
본 해체조서는 여느 『논어언해』와는 달리 버디[友]가 벗이로 나타나 일부 체언에서 나타나는 ㄷ〉ㅅ의 마찰음화의 양상을 보여 주고 있다(아니면 종성 표기를 ㅅ으로 표기하는 관습의 표현일 수도 있다). 다만 다른 양상은 다른 본과 차이가 거의 없다. 먼저, 띠니라(3ㄱ)과 빼(7ㄱ) 등과 같이 각자병서의 표기가 나타난다. 또, 友티 말오(4ㄴ) 와 같이 ㄱ-약화 현상이 나타나고, 나라흘과 같이 ㅎ-말음이 나타난다.참고문헌
「四書諺解解題」, 李崇寧, 『孟子諺解』, 漢陽大學校附設國學硏究院, 1974.RISS
집필자
박찬흥
범례
- ●인명
- ●관직명
- ●나라명
- ●건물명
- ●관청명
- ●지명
- ●연도
- ●문헌명
- ●기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