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용장구상설(中庸章句詳說)
· 원문이미지

· MF이미지

· 기본정보 해제 xml

일반사항
· 자료명(한글) | 중용장구상설 |
---|---|
· 자료명(한자) | 中庸章句詳說 |
· 사부분류 | 경부 |
· 작성시기 | 1921 |
· 청구기호 | K1-154 |
· 마이크로필름 | MF35-1392 |
· 소장정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
작성주체 - 인물
역할 | 인명 | 한글 | 한자 | 설명 | 생몰년 | 신분 |
---|---|---|---|---|---|---|
박문호(朴文鎬) 저(著) | 박문호 | 朴文鎬 |
형태사항
· 크기(cm) | 30.3 X 20.2 |
---|---|
· 판본 | 목활자본(木活字本) |
· 장정 | 선장(線裝) |
· 수량 | 1책(冊) |
· 판식 | 반곽(半郭) 23.1×16.3cm |
· 인장 |
李王家圖書之章
|
· 상세정보

내용
체제 및 내용
본 도서의 찬자인 박문호
의 字는 景模
이고 號는 壺山
혹은 楓山
이다. 기호 계열의 李象秀
에게 수학하였으며, 평생을 경학 연구에 몰두하여 본 도서를 비롯하여 『論語集註詳說』·『孟子集註詳說』·『詩集傳詳說』·『書集傳詳說』·『周易本義詳說』 등 七書詳說을 남겼다. 이 밖에도 『楓山記聞錄』·『中東古今人家希有錄』·『女小學』 등 방대한 저술과 함께 문집 『壺山集』 78卷을 남겼다.본 도서는 『中庸章句大全』에 수록된 중국 학자들의 주석 가운데 중요한 것을 선별하여 수록하고, 여기에 李珥 ·金長生 ·宋時烈 ·朴世采 ·金昌協 ·李柬 ·韓元震 등 기호학계 학자들의 주석을 보충하여 편집하였다. 중간마다 필요한 곳에는 按說을 부가하여 先儒들의 여러 학설에 대한 견해 및 자신의 독창적인 해석을 더하여 설명하고 있다.
본 도서가 가지는 특징적인 면모 중 하나는 찬자의 『중용』에 대한 해석이 18세기 이래 기호학계의 최대 쟁점인 인성물성동이논쟁과 결부되어 있다는 점이다. 그는 인성과 물성의 같음을 주장하는 낙론의 입론 근거가 되는 『중용』의 주요 구절을 호론의 입장에서 재해석하는 등 호락논쟁의 연장선에서 『중용』을 파악하고 있다. 따라서 본 도서는 한말 기호학계 내에서 제기된 호락논쟁의 주요 주제에 대한 입장을 확인하는 데 자료가 된다.
특성 및 가치
조선 후기 성리학자의 경학관을 확인할 수 있는 자료이다.참고문헌
집필자
박학래
범례
- ●인명
- ●관직명
- ●나라명
- ●건물명
- ●관청명
- ●지명
- ●연도
- ●문헌명
- ●기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