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문(易問)
· 원문이미지
· MF이미지
· 기본정보 해제 xml
일반사항
· 자료명(한글) | 역문 |
---|---|
· 자료명(한자) | 易問 |
· 사부분류 | 경부 |
· 작성시기 | 1847(헌종 13년) |
· 청구기호 | K1-14 |
· 마이크로필름 | MF35-1066 |
· 소장정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
· 일반주기 | 冊次: 全 |
· 내용주기 | 卷9. 易問上(自序, 太極問, 河洛問, 七變問, 二天問, 倒卦問, 像卦問, 動爻問, 互體問, 環卦問, 先變問, 後變問, 序卦問, 雜卦問) -- 卷10. 易問下(月卦問, 大衍問, 方圓問, 筮例問, 附九疇問) |
작성주체 - 인물
역할 | 인명 | 한글 | 한자 | 설명 | 생몰년 | 신분 |
---|---|---|---|---|---|---|
조진관(趙鎭寬) 찬(撰) | 조진관 | 趙鎭寬 |
형태사항
· 크기(cm) | 31.5 X 20.3 |
---|---|
· 판본 | 금속활자본(金屬活字本)(전사자(全史字)) |
· 장정 | 선장(線裝) |
· 수량 | 2권(卷) 1책(冊) |
· 판식 | 반곽(半郭) 21.4× 14.9cm |
· 인장 |
李王家圖書之章
|
· 상세정보
내용
서지사항
趙鎭寬
의 『柯汀遺稿』 권9~10을 별도로 독립시켜 ‘易問’이라는 書題를 붙였다. 板心題는 ‘柯汀遺稿’이다. 테두리가 인쇄된 종이 題僉紙를 사용하였는데, 표지서명 바로 밑에 흑색 펜으로 自序라고 적었다. 본문에 赤色 펜으로 批點을 찍고, 적색과 靑色 펜으로 書眉에는 공부한 내용을 적어 놓았다. 그 중 書眉에 漢字를 기재한 뒤, 이를 한글로 한자음을 표기해 놓은 것도 있다. 본문에 太極圖를 비롯하여 여러 그림이 삽입되었다.체제 및 내용
趙鎭寬
이 周公의 後天卦를 중심으로 질문 형식을 위하여 저술한 『주역』 연구서이다. 원래 그의 문집인 『柯汀遺稿』 권9와 권10에 수록되어 있는 것을 한 책으로 엮은 것이다.본서의 첫머리에는 저자의 易問自序가 있고, 끝에는 이 책을 간행한 아들 趙寅永 의 발문이 있다. 총 20개 항목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권에는 太極問, 河圖問, 七變問, 二天問, 倒卦問, 像卦問, 動爻問, 互體問, 環卦問, 先變問, 後變問, 序卦問, 雜卦問이 수록되어 있고, 하권은 月卦問上, 月卦問下, 大衍問, 方圓問, 筮例問, 九疇問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太極圖, 河洛相交圖, 先後天圖 등 13개의 그림을 제시하고 있다. 아울러 선천 복희팔괘와 후천 문왕팔괘와의 관계를 체계적으로 논술하였고, 기존 역학에서 소홀히 다루었던 序卦傳과 雜卦傳의 卦序에 대하여 자세히 언급하고 있다는 점에서 특징적 면모를 보인다.
이 책을 간행한 趙寅永 은 발문을 통해 序雜之配二天과 河圖之協月卦와 蓍法之用右卦 등에 관한 문제는 기왕의 역학자들이 흔히 언급하지 않은 것을 발명해놓은 것으로 그 가치가 자못 특수하다고 하였다.
참고문헌
성균관대 대동문화연구원, 『한국경학자료집성』 107(易經 21), 성균관대학교출판부, 1996.RISS
집필자
박학래
범례
- ●인명
- ●관직명
- ●나라명
- ●건물명
- ●관청명
- ●지명
- ●연도
- ●문헌명
- ●기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