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57년 인원왕후(仁元王后) 시호(諡號) 등 망단자(望單子)
자료명 | 1757년 인원왕후(仁元王后) 시호(諡號) 등 망단자(望單子) | 저자 | |||
---|---|---|---|---|---|
자료명(이칭) | 1757년 인원왕후(仁元王后) 시호망단자(諡號望單子) , 1757년 인원왕후시호휘호전호(1757年 仁元王后諡號徽號殿號) , 1757년인원왕후시호망단자(1757年仁元王后諡號望單子) , 1757년 인원왕후 시호망단자(1757年 仁元王后 諡號望單子) | 저자(이칭) | 국왕:영조 , 미상(未詳) | ||
청구기호 | RD00537 | MF번호 | MF35-4655 | ||
유형분류 | 고문서/단망류/시호망(諡號望) | 주제분류 | 국왕·왕실/보고 | ||
수집분류 | 왕실/고문서 | 자료제공처 | 장서각(SJ_JSG) | ||
서지 | 장서각 고문서자료관 장서각기록유산 디지털아카이브 | 해제 | 장서각 | ||
원문텍스트 | 장서각 장서각기록유산 | 이미지 | 장서각통합뷰어* 원문이미지 고문서자료관 장서각기록유산 디지털아카이브 |
· 원문이미지

· 기본정보 해제 xml

일반사항
· 유형분류 | 단망류(單望類)-시호망(諡號望) |
---|---|
· 주제분류 | 국왕·왕실-보고 |
· 서비스분류 | 왕실고문서 |
· 작성시기 | 1757(英祖 33)(乾隆二十二年四月初二日) |
· 청구기호 | RD00537 |
· 마이크로필름 | MF35-4655 |
· 소장정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
형태사항
· 크기(cm) | 58.4 X 87.7 |
---|---|
· 수량 | 1 |
· 인장 |
4.2×4.2cm, 啓字印
|
· 상세정보

내용
정의
숙종의 제2 계비 경주김씨가 승하한 뒤 그 시호와 휘호·전호를 의정하기 위해 1757년(영조 33) 4월 빈청에서 영조의 계하를 바라며 올린 대행왕대비시호등 망단이다.서지사항
체제 및 내용
숙종의 제2 계비 경주김씨가 승하한 뒤 그 시호와 휘호·전호를 의정하기 위해 1757년(영조 33) 4월 빈청에서 영조의 계하를 바라며 올린 대행왕대비시호등 망단이다. 이 망단은 시호로 ‘仁元’을, 휘호로 ‘定懿章穆’을, 전호로 ‘孝昭’를 의정하고 각각 단망의 형식으로 써 올린 것인데, 시호의 두 글자 및 휘호의 네 글자에 대해서는 각각 네 글자의 한자로 뜻을 풀이하여 현주(懸註)하였다. 망단의 말미에는 승정원에서 ‘계(啓)’ 자 도장을 찍고 ‘건륭 22년(1757) 4월 2일, 공경히 따르 다’라는 주기를 달았다. 『영조실록』에 의하면 능호 ‘明陵’도 같은 날 의정되었다. 모두(冒頭)의 ‘인원왕후시호휘호전호(仁 元王后諡號徽號殿號)’라는 작은 글자는 나중에 써놓은 것이다. 피봉에는 '庚辰十一月初七日封審更封, 20封 臣謹封'이라고 씌여있으며, 크기는 세로*가로(7.5*87.8cm)이다. 출처: 고문서대관 2, 2011, 73쪽.특성 및 가치
범례
- ●인명
- ●관직명
- ●나라명
- ●건물명
- ●관청명
- ●지명
- ●연도
- ●문헌명
- ●기관
· 원문텍스트

[원문:RD00537_001]
仁元王后 謚號 徽號 殿號大行大王大妃謚號
仁元
施仁服義曰仁
主義行德曰元
徽號
定懿章穆
安民大慮曰定
溫柔聖善曰懿
敬愼高明曰章
布德執義曰穆
殿號
孝昭
啓
乾隆二十二年四月初二日
敬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