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81년 정종에게 가상시호(加上諡號)를 정한 망단(望單)
자료명 | 1681년 정종에게 가상시호(加上諡號)를 정한 망단(望單) | 저자 | |||
---|---|---|---|---|---|
자료명(이칭) | 1681년정종가상시호망단자(1681年加上諡號望單子) , 1681년 정종 가상시호망단자(1681年 加上諡號望單子) , 1681년 정종 가상시호망단자(加上諡號望單子) , 1680년 정종대왕가상시호(1680年 定宗大王加上諡號) | 저자(이칭) | 미상(未詳) , 국왕:숙종 | ||
청구기호 | RD00523 | MF번호 | MF35-4655 | ||
유형분류 | 고문서/단망류/시호망(諡號望) | 주제분류 | 국왕·왕실/의례 | ||
수집분류 | 왕실/고문서 | 자료제공처 | 장서각(SJ_JSG) | ||
서지 | 장서각 고문서자료관 장서각기록유산 디지털아카이브 | 해제 | 장서각 | ||
원문텍스트 | 장서각 장서각기록유산 | 이미지 | 장서각통합뷰어* 원문이미지 고문서자료관 장서각기록유산 디지털아카이브 |
· 원문이미지

· 기본정보 해제 xml

일반사항
· 유형분류 | 단망류(單望類)-시호망(諡號望) |
---|---|
· 주제분류 | 국왕·왕실-의례 |
· 서비스분류 | 왕실고문서 |
· 작성시기 | 1681(肅宗 7)(康熙二十年九月十八日) |
· 청구기호 | RD00523 |
· 마이크로필름 | MF35-4655 |
· 소장정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
형태사항
· 크기(cm) | 50.1 X 70.8 |
---|---|
· 수량 | 1 |
· 인장 |
4.2×4.2cm, 啓字印
|
· 상세정보

내용
정의
1681년 9월 18일 빈청에서 정종에게 가상시호를 의정하기 위해 올린 시호 망단자이다.서지사항
체제 및 내용
이 망단에서 의정한 가상시호는 ‘懿文莊武’ 네 글자이며, 이 글자를 종전의 시호인 ‘온인순효(溫仁順孝)’에 덧붙여서 단망의 형태로 써 올리고 숙종의 계하(啓下)를 받았다. 가상시호 네 글자 각각의 의미를 풀이하여 현주하였다. 승정원에서는 이 망단의 말미에 ‘계(啓)’자 도장을 찍고 ‘강희 20년(1681) 9월 18일 계’라는 주기를 달았다. 정종에게는 ‘온인순효’라는 시호가 있었는데, 숙종 대에 이르러 이 망단으로 ‘의문장무’ 네 글자를 가상한 것이다. 본문 중 시호 맨 앞의 ‘공정(恭靖)’ 두 글자는 명나라에서 내려준 시호이다. 『숙종실록』 같은 날 기사에 ‘정종(定宗)’이라는 묘호도 함께 의정하였다. 망단 모두(冒頭)의 ‘정종대왕가상시호(定宗大王加上諡號)’라는 작은 글씨는 나중에 부기한 것이다.
출처: 숙종실록 7년 9월 18일 / 장서각소장 고문서대관2특성 및 가치
범례
- ●인명
- ●관직명
- ●나라명
- ●건물명
- ●관청명
- ●지명
- ●연도
- ●문헌명
- ●기관
· 원문텍스트

[원문:RD00523_001]
定宗大王加上謚號恭靖溫仁順孝大王加上謚號
懿文莊武溫仁順孝大王
柔克有光曰懿
慈惠愛民曰文
履正志和曰莊
保大定功曰武
啓
康煕二十年九月十八日
啓