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url:./treeAjax?siteMode=prod}

세자궁 병풍고간 발기

자료명 세자궁 병풍고간 발기 저자
자료명(이칭) 세자궁병풍고간 발기(世子宮屛風庫間件記) , 세자궁병풍고간발기(世子宮屛風庫間件記) , 세자궁병풍고간발기(셰궁병풍고간긔) 저자(이칭) 미상(未詳)
청구기호 RD01711 MF번호 35-004663
유형분류 고문서/의례류/발기(發記)/문구·병풍발기(文具·屛風發記) 주제분류 국왕·왕실/의례/발기
수집분류 왕실/고문서 자료제공처 장서각(SJ_JSG)
서지 장서각 고문서자료관 장서각기록유산 디지털아카이브 해제 장서각
원문텍스트 장서각 장서각기록유산 이미지 장서각통합뷰어* 원문이미지 고문서자료관 장서각기록유산 디지털아카이브

· 원문이미지

닫기

· 기본정보 해제 xml

닫기

일반사항

· 유형분류 의례류(儀禮類)-발기(發記)-문구·병풍발기(文具·屛風發記)
· 주제분류 국왕·왕실-의례-발기
· 서비스분류 왕실고문서
· 작성시기 ()(發給時期 未詳)
· 청구기호 RD01711
· 마이크로필름 35-004663
· 기록시기 1879~1811년 12월 이전
· 소장정보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형태사항

· 크기(cm) 28.0 X 95.0
· 수량 1

· 상세정보

닫기

내용

정의
1875~1881년 12월 이전까지 세자궁(世子宮)에 수장되어 있던 병풍의 목록을 정리한 발기이다.
서지사항
체제 및 내용
1875~1879년까지 世子宮에 수장되어 있던 병풍의 목록을 정리한 발기이다. 이 발기에는 세자궁 부속 병풍고에 비치되어 있던 병풍 총 26점의 제목과 헌상 기관명이 적혀 있다. 아울러 을해계병, 정축계병, 進上, 기묘계병 등 네 가지 항목으로 구분되어 있다. 여기서 을해, 정축, 기묘는 각각 1875년, 1877년, 1879년을 의미하는 것으로 보인다. 1875년은 순종의 세자 책봉례를 올린 해로 을해계병 4좌는 순종의 책례를 기념했을 개연성이 높다. 1877년의 정축계병 6좌는 신정왕후 칠순 기념 계병으로 보인다. 기묘 계병은 1879년 순종이 천연두에 걸렸다가 회복된 것을 기념한 것으로 보인다. 기묘년에는 병풍의 수가 예년보다 증가하여 총 12좌의 계병이 꾸며져 행사의 경중에 따라 병풍의 주문 수량도 차이를 보인다. 1877년 신정왕후의 칠순을 기념한 정축계병에는 강남춘, 왕회도, 화기, 효자도, 행락도, 해학반도 등 6좌이고, 대전에 진상된 것은 백수백복, 홍백수백복, 영모 등 4좌를 진상하였다. 1875년 순종의 책례를 기념한 을해계병은 흑색 비단 바탕에 금니로 그린 매화, 요지연, 화기[기명도], 효자도를 주제로 4좌, 1879년 순종의 천연두 회복을 기념하여 제작한 기묘계병은 행락도, 장생도, 백접도, 칠월편, 효자도, 군선도, 왕회도, 서원아집도, 경직도 등 총 12좌가 제작되었다. 발기의 목록을 시대 순이 아닌 대왕대비전, 대전, 동궁의 순서로 작성한 점도 주목된다. 대전에 병풍을 진상한 시기는 명시되지 않았으나, 기묘계병의 발의 기관 중 무위소가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보아 무위소가 武衛營으로 개칭되는 1881년 12월 이전에 작성되었을 것이다. 김수진, 「19세기 궁중 병풍의 제작과 진상-장서각 소장 발기의 검토를 중심으로-」, 장서각 40, 2018.
특성 및 가치
 
범례
  • 인명
  • 관직명
  • 나라명
  • 건물명
  • 관청명
  • 지명
  • 연도
  • 문헌명
  • 기관

· 원문텍스트

닫기
[원문:RD01711_001]
졍튝 계병
 강남츈대병 일┓
 왕회도듕병 일┛ 각
 화긔대병 일 ┓
 효도듕병 일┛ 츈방
 낙도대병 일 ┓
 학반도듕병 일┛ 계방
진샹
 슈복대듕병 일
 홍슈복대듕병 일
 영모대듕병 일
 슈복듕병 일오시니
을년 계병
 흑단금화대병 일
 요지연대병 일
 화기듕병 일
 효도듕병 일
긔묘 계병
 칠월편대병┓
 효도듕병┛ 츈방
 문방우대병┓
 군션도듕병 ┛ 계방
 경직도대병┓
 화긔듕병 ┛ 무위소
 낙도대병 ┓
 학반도듕병┛ 각
 댱도대병┓
 뎝도듕병┛ 약방
 왕회도대병 ┓
 셔원아집듕병┛ 졍원
[원문:RD01711_002]
셰궁 병풍 고간 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