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url:./treeAjax?siteMode=prod}

1798년 정조(正祖) 화성부별유유지(華城府別諭有旨)

자료명 1798년 정조(正祖) 화성부별유유지(華城府別諭有旨) 저자
자료명(이칭) 별유유지(졸성부)(別諭有旨(卒城府)) , 별유유지(졸성부)(무오)(別諭有旨(卒城府)(戊午)) 저자(이칭) 미상(未詳) , 국왕:정조
청구기호 RD00169 MF번호 MF35-4653
유형분류 고문서/조령류/별유(別諭) 주제분류 국왕·왕실/교령/윤음
수집분류 왕실/고문서 자료제공처 장서각(SJ_JSG)
서지 장서각 고문서자료관 장서각기록유산 디지털아카이브 해제 장서각
원문텍스트 장서각 장서각기록유산 이미지 장서각통합뷰어* 원문이미지 고문서자료관 장서각기록유산 디지털아카이브

· 원문이미지

닫기

· 기본정보 해제 xml

닫기

일반사항

· 유형분류 조령류(詔令類)-별유(別諭)
· 주제분류 국왕·왕실-교령-윤음
· 서비스분류 왕실고문서
· 작성시기 1798(正祖 22)(戊午六月初七日)
· 청구기호 RD00169
· 마이크로필름 MF35-4653
· 소장정보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형태사항

· 크기(cm) 36.2 X 35.4
· 수량 1

· 상세정보

닫기

내용

정의
1798년에 정조가 화성부에 내린 별유문서이다.
서지사항
체제 및 내용
1798년(정조 22)에 대용식물로 메밀[大麥]을 심도록 특별히 내린 문서이다. 문서에는 제목 아래에 '戊午六月初七日'이라는 날짜 표시가 되어 있으나, 《정조실록》에는 6월 5일 기사로 실려있고, 《승정원일기》에는 6월 7일 기사로 되어 있어 시간적 차이를 보인다. 내용은 자연재해로 시기가 지났지만 농지나 불모지에 나중에 심어도 일찍 수확되는 작물인 메밀을 심어서 백성들의 식량을 풍족하게 하라는 것이다. 또한 메밀의 습성상 주로 산간 지방에서 활용할 것이며 전야를 개간하는 방도로 사용하라는 것이다.
특성 및 가치
 
범례
  • 인명
  • 관직명
  • 나라명
  • 건물명
  • 관청명
  • 지명
  • 연도
  • 문헌명
  • 기관

· 원문텍스트

닫기
[원문:RD00169_001]
 代播事華城府別諭有旨 戊午六月初七日
農者律天時相土宜盡人力三者
無失然後可獲有秋穀有經四節
而食者經三節而食者經二節而食
者又有宜於野而不宜於山者宜於
旱而不宜於水者時之早晩土之原
隰百穀不一其種而苞栗汚萊係乎
人力之盡不盡焉耳予雖未讀農
政全書而百千萬事不出於分數
二字木麥之最宜代播以其後種
而先熟也後種先熟曰穋已自豳
詩著詠周公豈欺我哉夫所謂
代播云者水旱爲灾節序過愆野
多未移之秧田乏可降之種則乃於
百穀之中必取後種先熟者代而
播之俾裕民食之謂而其間首尾優
免霜信可以爲不托可以當雕胡其
療飢捄荒之功頓勝於西之蹲鴟
南之甘蔗惟木麥爲良此予所以
或値秧節之愆期必勸木麥之代
播者也昨見廟堂草記以木麥外亦
多宜播之穀爲言種菽之易爲力
次於木麥而土性田功不幷以南圻
湖節候雖似各異根耕之過期與
移秧一般以用於根耕者用於代
播而諸路之一齊食實固未可必稷
雖就濕之性播之距穫費却百日
內外而寒露入節隔在八十餘日則
未及成熟如執左契至於晩稷之種
[원문:RD00169_002]
其貴如金倉無糶糴村無盖藏將
覓來何處可以派及乎今於木麥代
播之令畿內守令民人之言不便者輒
云水田沮洳雨洽則當消融朝家之所
勸播者非此之謂也亶在於高燥未
移之處而又於邱隴阡陌不稅不毛之
地俾用鋤農耒耕之法則沮洳消融
之患初非可論木麥種子之自巖邑
移沿郡也東風送帆無脛而至可謂
天公會事發况又官給其種公蠲其
稅諸凡易簡便當之策靡所不用其
極無論所收之多少贏縮一切委之於
民人粒粒皆我充膓飽腹之惟意則
此豈非回咷爲笑反歉如稔以人功奪
造化之一大關捩而亦足謂之藏富
於民君孰與不足乎外此不言所利
之美利指不勝摟而下民蚩蚩不可與
之謀始之俗且懶於農作避一時
深耕之苦捨將來必食之功年年應
爲之農工猶忽服勤之意則惟今代
播之令却顧而睥睨將進而趑趄特
其勢耳身爲田畯之官者出謀發
慮策懶警惰乃職之宜而反爲隨
衆雷同棼棼聒聒專昧克敏之方認
作難從之事抑何故也令出惟行不
惟反朝令之頒下久矣廟堂但當堅
守董責時加考察如其不率令者
[원문:RD00169_003]
先從方伯而糾之正之則守令與民
人自當奔走趨事野無曠土土無
閒畒書曰曷敢不終朕畒旣始之便
不啚終顧何異於農夫之耕而不播
播而不耘乎以時則可以穀則宜何
苦而不勸何憚而不爲王畿四方之
標準先從畿邑之議論携貳處
專精費力篤信奉行使湖嶺觀
感影從秧不移而有粟秋則熟而
無稅和以稻粱之味替作饘粥之
需則博哉之利可爲萬歲法程
奚但止於一年捄荒之資而已哉
烹阿非但貪也卽田野不闢則朝
令之下跡不緣畒而一任其荒穢不
治者顧其罪欲逭阿大夫已施之
典得乎昔朱夫子之知南康也日日
勞農山間車徒至及於星子之小
縣僻壤則今之長吏是何人乃敢
偃卧鈴閣太不識分憂之義寧不
痛惋華城湯沐邑也又爲標準
於王畿先自本府悉心對颺雖
側趾盈掌之地及時播厥俾爲
之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