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url:./treeAjax?siteMode=prod}

명주보월빙(명듀보월빙(明珠寶月聘))

자료명 명주보월빙(명듀보월빙(明珠寶月聘)) 저자 [作者未詳]
자료명(이칭) 저자(이칭)
청구기호 K4-6803 MF번호 MF35-61~67
유형분류 고서/기타 주제분류 集部/小說類/國文
수집분류 왕실/고서/한국본 자료제공처 장서각(SJ_JSG)
서지 장서각 전자도서관 해제 장서각 전자도서관
원문텍스트 이미지 장서각통합뷰어* 원문이미지 PDF

· 원문이미지

닫기

· PDF서비스

닫기

· 기본정보 해제 xml

닫기

일반사항

· 사부분류 集部/小說類/國文
· 유형분류 고서/기타
· 주제분류
· 수집분류 왕실/고서/한국본
· 청구기호 K4-6803
· 마이크로필름 MF35-61~67
· 소장정보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 가치정보 귀중본

작성주체 - 인물

역할 인명 설명 생몰년 신분
[作者未詳]

형태사항

· 판본 寫本
· 간사사항 [寫年未詳]
· 인기 印 : 藏書閣印
· 형태정보 線裝 100卷99冊:無郭, 無絲欄, 半葉 10行 20字, 無版題;33 × 22.1 cm

· 상세정보

닫기

내용

정의
<명주보월빙>은 조선 후기 국문 장편소설이다.
서지사항
체제 및 내용
<명주보월빙>은 100권 100책으로, 장서각본과 36권 36책의 박순호본이 있다. <윤하정삼문취록>, <엄씨효문청행록>과 연작으로 구성된 조선후기 대장편 한글소설이다. <명주보월빙>은 윤부의 소개와 위부인과 유부인이 가권을 획득하기 위한 내용으로 시작한다. 윤현, 정공, 하공이 적룡에게서 명주 네 알과 보월패를 받고, 이것을 신물로 삼아 자녀들의 혼약을 서로 맺는다. 이후 윤·하·정 세 가문의 인물 군이 혼사를 통하여 서로 결합되고 ‘진・장・양・이・소・엄・조부’ 등 주변가문들의 서사를 부연함으로써 더욱 복잡해지고 다채로워진다. <명주보월빙>연작에서 윤·하·정 세 가문이 서로 연대하면서도 독립적인 서사를 구축하는데 윤부는 충효의 실현을 통한 이념적 상징을 부각하고, 하부는 정치적 부침과 신원의 서사가 강조된다. 또한 정부는 조력자로서 友道를 실천하여 나가는 등 세 가문이 혼인을 통해 유대 관계를 다지는 과정이 조화롭게 나타난다.
특성 및 가치
한글장편소설에서는 중심이 되는 주요 가문이 등장하여 서사가 전개되나 이 작품에서는 윤·하·정 세 가문이 모두 중심가문으로서의 비중을 지니며 대등한 위상을 지닌다. 작품에 나타난 사건담이나 삽화들은 시간의 순서에 따른 진행이 아닌 한 사건이 발생하자마자 또 다른 사건들이 연이어 발생하거나 다시 그 전의 사건담으로 돌아가는 구조를 보여준다. 즉, 이 작품에는 복수 인물담, 복수 계열의 사건담이 동시에 병렬적으로 이루어져 이야기가 다소 복잡한 양상을 나타낸다. 이 안에는 이들 가문이 겹사돈을 맺음으로써 가문의 연대의식을 굳건히 하고 동시에 시가와 처가의 입장을 모두 대변하는 모습을 보인다. 인물 면에서는 각 가문의 남성들이 모두 영웅호걸 성현군자로 묘사되고, 남성에게 강조되는 삶의 윤리는 ‘효’와 ‘충’, ‘우애’ 그리고 ‘신의’이다. 또한, 가문의 여성들에게는 부자관계에서의 ‘효’, 부부관계에서의 ‘열’과 처첩 관계에서의 화목을 강조하는데 대체로 한 남성이 다수의 처와 첩을 거느리면서 보여주는 갈등에서 가정의 질서와 화평을 유지하는 필수적인 요소로 여성의 윤리를 강조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이 작품은 유교적 윤리이념의 실천을 중심으로 남성 인물들은 입신양명하여 부귀를 누리고, 여성 인물들은 재상 가문의 부인으로 복록을 누리는 삶을 보여준다고 할 수 있다.

참고문헌

한국정신문화연구원(현 한국학중앙연구원) 편, 󰡔장서각고소설해제󰡕, 1999.
최길용, 「明珠寶月聘 連作小說 硏究」, , 전북대학교 석사논문, 1984.
이상택, 「「明珠寶月聘」의 작품세계」, , 『한국학』, 1981.
유인선, 「<명주보월빙> 연작 연구 : 운명관과 초월계의 성격을 중심으로」, , 서울대학교 박사논문, 2021.

집필자

강문종
범례
  • 인명
  • 관직명
  • 나라명
  • 건물명
  • 관청명
  • 지명
  • 연도
  • 문헌명
  • 기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