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url:./treeAjax?siteMode=prod}

악장가사(樂章歌詞)

자료명 악장가사(樂章歌詞) 저자 [編者未詳]
자료명(이칭) 저자(이칭)
청구기호 K4-6774 MF번호 MF35-1725
유형분류 고서/기타 주제분류 集部/詞曲類
수집분류 왕실/고서/한국본 자료제공처 전자도서관(SJ_LIB)
서지 전자도서관 해제 전자도서관
원문텍스트 이미지 장서각통합뷰어* 원문이미지 PDF

· 원문이미지

닫기

· PDF서비스

닫기

· 상세정보 해제 xml

닫기
자료제공처전자도서관
번호114559
서명樂章歌詞
저자[編者未詳]
판사항木版補寫本
간사사항[正祖 - 純祖年間 (1801 - 1834) 寫]
청구번호K4-6774
MF번호MF35-1725
형태사항線裝 1冊(38張):四周單雙混入邊, 半郭 23.3 × 19 cm, 有界, 半葉行, 字數不定, 註雙行, 黑口, 內向二葉花紋魚尾;34.5 × 22.8 cm
인기
안내정보
해제악장가사 樂章歌詞 편자와 편찬 연대 미상의 가집. 목활자본. 악장(樂章)과 속악(俗樂)을 모아 엮은 가집으로 〈국조사장 國朝詞章〉〈국조악장 國朝樂章〉〈속악가사 俗樂歌詞〉 등으로도 불린다. 양주동(梁柱東)은 중종 때 박준(朴浚)이 편찬하였다 하였고, 김지용(金智勇)은 〈속악가사 해제〉(국어국문학 36호)에서 이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내용은 속악가사 상(俗樂歌詞上)아악가사(雅樂歌詞)가사 상(歌詞上)의 3부로 나뉘어 있다. 제1부 속악가사 상에는 영신(迎神)에서 송신(送神)까지 28곡이 있는데 앞에 한문 구가 있고 그 옆에 한글음표기가 있으며, 비궁(〈비0x6470〉宮) 속악이 11곡, 어제(御製)가 3곡 있는데 본문은 순 한문의 4언 4구 또는 4언 8구, 4언 6구로 기사되었고, 필사인 점으로 보아 후대에 삽입된 것으로 보인다. 이어 아악가사 부분에는 〈풍운뇌우 風雲雷雨〉를 비롯한 네 가지 의식에 있어 각 순서에 따른 4언 8구의 순한문 노래가 있으며, 네 번째 〈우사전폐 雩祀奠幣〉 끝에는 〈납씨가 納氏歌〉〈정동방곡 靖東方曲〉〈대보단악장 大報壇樂章〉이 있다. 가사 상에는 〈여민락 與民樂〉〈감군은 感君恩〉 등을 비롯한 고려 조선 시대의 노래가 24편 수록되어 있다. 위의 가사 작품 중에서 〈정석가 鄭石歌〉〈청산별곡 靑山別曲〉〈사모곡 思母曲〉〈능엄찬 楞嚴讚〉〈영산회상 靈山會相〉〈쌍화점 雙花店〉〈이상곡 履霜曲〉〈가시리〉〈유림가 儒林歌〉〈신도가 新都歌〉〈만전춘별사 滿殿春別詞〉〈오륜가 五倫歌〉〈연형제곡 宴兄弟曲〉〈상대별곡 霜臺別曲〉 등 14편은 그 전문이 이 책에만 수록되어 있다.〈정석가〉〈청산별곡〉〈서경별곡〉〈사모곡〉〈쌍화점〉〈이상곡〉〈가시리〉〈풍입송 風入松〉〈야심사 夜深詞〉〈한림별곡 翰林別曲〉〈처용가 處容歌〉〈만전춘별사〉 등은 고려가요이고 그밖의 것은 조선 시대 작품들이다. 수록된 고려 시대 작품들을 가사 내용으로 보면 이별의 노래가 3편으로 〈서경별곡〉〈가시리〉는 이별의 아픔을 노래한 것이고 〈만전춘별사〉는 이별 없기를 바라는 노래이다.〈쌍화점〉과 〈이상곡〉은 남녀상열지사(男女相悅之詞)라 할 수 있고, 〈풍입송〉〈야심사〉는 성덕을 송축하고 태평을 즐기는 노래이고, 〈정석가〉는 송수의 노래이며, 〈사모곡〉은 효를, 〈한림별곡〉은 한림의 화려하고 유연한 생활을, 〈청산별곡〉은 도피 유랑(逃避流浪)의 호소를, 〈처용가〉는 무속을 말한 것으로 되어 있다. 이 작품들은 다 곡이 있어 고려 시대부터 널리 불렸던 것으로 〈악학궤범〉이나 〈시용향악보〉 또는 〈악장가사〉에 정착될 때 약간의 수정이 가해졌을 것으로 본다. 남은 작품은 조선시대 작품으로 그 중 〈어부가 漁夫歌〉는 고려 때부터 있었던 것으로 보아 고려 시대 작품으로 넣으려는 이도 있으나, 여기에 실린 〈어부가〉는 가사 내용으로 보아 이조 십이가사에 있는 〈어부가〉와 거의 같으므로 조선시대 작품으로 보아야 마땅하다. 조선시대 작품에서 〈능엄찬〉은 불찬가(佛讚歌)이며, 〈어부가〉는 유유자적하는 어부의 생활을 칭찬한 것으로 이 두편이 예외이고 〈오륜가〉와 〈연형제곡〉은 오륜과 형우제공(兄友弟恭)을 노래하였을 뿐 이 밖의 10편은 모두 조선조 건국과 발전을 찬양하고 임금의 은혜에 감사하며, 임금이 만대를 누리도록 축원한 내용들이다. 즉, 조선조 건국을 찬양한 〈납씨가〉〈정동방곡〉〈여민락〉 등이 있고, 군은에 감사하고 군수만세 (君壽萬歲)를 빈 〈감군은〉〈영산회상〉〈신도가〉 등이 있으며, 조선의 발전을 구가한 〈보허자 步虛子〉〈화산별곡 華山別曲〉 등이 있으며 의기로운 관가 생활과 과거출세상(科擧出世相)을 말한 〈유림가〉〈상대별곡〉 등이 있다. 그 가운데 〈여민락〉은 한문으로 된 〈용비어천가〉의 제1장에서 제4장 그리고 끝장인 제125장을 얹어 부르며, 궁중 악장의 대표로 축하 의식 때에 주창(奏唱)되었다. 규장각 도서와 장서각도서에 있다. 〈李泰極〉
청구번호_정렬01_K4-6774
자료분류고서 > 장서각 본도서 > 한국본 > 集部 > 詞曲類
CLASSCODEJAKDE
PDF책수
귀중본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