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url:./treeAjax?siteMode=prod}

하정집(荷亭集)

자료명 하정집(荷亭集) 저자 呂圭亨(朝鮮. 1849 - 1922) 著
자료명(이칭) 저자(이칭) 여규형(조선.1849-1922)저(呂圭亨(朝鮮.1849-1922)著)
청구기호 K4-6635 MF번호 MF16-490
유형분류 고서/기타 주제분류 集部/別集類/詩文
수집분류 왕실/고서/한국본 자료제공처 전자도서관(SJ_LIB)
서지 디지털아카이브 전자도서관 해제 전자도서관
원문텍스트 이미지 장서각통합뷰어* 원문이미지 디지털아카이브 PDF

· 원문이미지

닫기

· PDF서비스

닫기

· 상세정보 해제 xml

닫기
자료제공처전자도서관
번호114406
서명荷 亭 集
저자呂圭亨(朝鮮. 1849 - 1922) 著
판사항新鉛活字版
간사사항1923
청구번호K4-6635
MF번호MF16-490
형태사항線裝 4卷 1冊:四周雙邊, 半郭 16.9 × 11.4 cm, 無界, 11 行 23 字, 註雙行, 上黑魚尾, ;25.4 × 15.2 cm
인기印 : 李王家圖書之章
안내정보
해제~ 23-1515 조선 말기의 문신·학자 여규형(呂圭亨)의 시문집. 4권 1책. 신연활자본. 1923년 정인서(鄭寅書)가 편집, 간행하였다. 서문이나 발문은 없고, 권1·2에 만사(輓詞) 1수를 포함한 시 112수와, 권3·4에 논(論) 2편, 설(說) 1편, 서(序) 4편, 발(跋) 3편, 전(傳) 1편, 비문(碑文) 9편, 기(記) 1편, 명(銘) 1편, 찬(贊) 1편, 제문(祭文) 1편, 서(書) 1편, 어록(語錄) 1편 등의 순서로 수록되어 대체로 일반문집의 체재를 따르고 있다. 시 중에는 당시 문장으로 이름을 떨친 이건창(李建昌)을 상대로 지은 것이 많아 그들의 문교(文交)의 깊이를 알게 하였고, 특히 〈논시 論詩〉를 통하여 김정희(金正喜)와 신위(申緯)의 시에 대한 품평을 가하였는가 하면, 이덕무(李德懋)·유득공(柳得恭)·박제가(朴齊家)·이서구(李書九) 등의 이른바 사가시(四家詩)에 이르러서는 그들의 시체 및 시집의 간행사실과 중국인의 비평동기 등 많은 내용들을 오언시로 잘 구사하였으며 일개 역관출신으로서 서곤체(西崑體)에 능하여 섬세하고 화려한 시를 남긴 이상적(李尙迪)에 대한 논평도 빼놓지 않았다. 그리고 변계량(卞季良)이 과체시(科體詩)를 창시하고 강백(姜栢)에 이어 신광수(申光洙)가 그를 발전, 미화시킨 사실과 아울러 거업(擧業)의 육체(六體:詩·賦·表·策·論·疑)를 권면하는 내용을 포함하여 설명하고, 끝으로 청조(淸朝)에서 사신을 보내와 우리의 시를 채집해간 사실도 논하고 있다. 또한, 민영환(閔泳煥)의 우국충정을 기린 장편의 〈민충정공만 閔忠正公輓〉이나 풍경과 사적을 담아 오율(五律)로 읊은 〈박연폭포시 朴淵瀑布詩〉 등은 그의 시 솜씨를 원만히 발휘한 것이라 하겠다. 문(文) 중에는 〈중간소요선사시집서 重刊逍遙禪師詩集序〉·〈아암화상집서 兒庵和尙集序〉·〈경운선사수사화엄경서 擎雲禪師手寫華巖經序〉·〈간성건봉사사적비명 杆城乾鳳寺事蹟碑銘〉·〈불아탑비 佛牙塔碑〉·〈함명선사비명 函溟禪師碑銘〉·〈기봉선사비명 奇峰禪師碑銘〉·〈벽오선사비명 碧傲禪師碑銘〉·〈지퇴어록 紙堆語錄〉 등 불가(佛家)에 대한 것이 많은 분량을 차지하여 그가 불서(佛書)에 깊은 조예가 있었음을 엿볼 수 있게 하며, 특히 〈지퇴어록〉에서는 유불선 삼교를 비교하여 각각의 특징을 잘 설명하고 있다. 이 문에서도 불가의 기록 다음으로 이건창에 대한 것이 5편이나 된다. 자화상찬(自〈화0x7BD0〉像贊)인 〈묵좌도자제진찬 默坐圖自題眞贊〉 또한 저자의 문장이나 생애를 연구하는 데 도움이 되는 자료이다. 이상의 시문을 통하여 당시 그를 시·서화·불경에 능통한, 곧 살아있는 〈사문유취 事文類聚〉라 일컬었음이 입증된다. 장서각도서에 있다. 〈참고문헌〉 燃#室記述. 〈金東柱〉
청구번호_정렬01_K4-6635
자료분류고서 > 장서각 본도서 > 한국본 > 集部 > 別集類 > 詩文
CLASSCODEJAKDBB
PDF책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