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url:./treeAjax?siteMode=prod}

소암선생문집(所菴先生文集)

자료명 소암선생문집(所菴先生文集) 저자 李秉遠(朝鮮) 撰
자료명(이칭) 저자(이칭) 이병원(조선)찬(李秉遠(朝鮮)撰)
청구기호 K4-6169 MF번호 MF16-407
유형분류 고서/기타 주제분류 集部/別集類/詩文
수집분류 왕실/고서/한국본 자료제공처 전자도서관(SJ_LIB)
서지 디지털아카이브 전자도서관 해제 전자도서관
원문텍스트 이미지 장서각통합뷰어* 원문이미지 디지털아카이브 PDF

· 원문이미지

닫기

· PDF서비스

닫기

· 상세정보 해제 xml

닫기
자료제공처전자도서관
번호113891
서명所菴先生文集
저자李秉遠(朝鮮) 撰
판사항倣整理字木活字版
간사사항光武8(1904)
청구번호K4-6169
MF번호MF16-407
형태사항線裝 20卷 10冊:四周雙邊, 半郭 22.1 × 15.9 cm, 有界, 半葉 × 10行 20字, 註雙行, 內向二葉花紋魚尾;32.4 × 21.5 cm
인기印 : 李王家圖書之章
안내정보
해제~ 12-1762 * 소암문집<3> (所菴文集) 조선 후기의 학자 이병원(李秉遠)의 시문집. 20권 10책. 목활자본. 1904년(광무 8)에 증손 찬도(贊燾)가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김도화(金道和)의 서문이 있고, 발문은 없다. 권1에 시 156수, 권2∼12에 서(書) 291편, 권13·14에 잡저 34편, 권15∼20에 서(序) 9편, 기 19편, 발 14편, 명 3편, 상량문 2편, 뇌사 (<뢰0x5E68>詞) 1편, 축문 9편, 제문 41편, 묘지명 11편, 묘갈명 9편, 행장 12편 등이 수록되어 있다. 이 중 서는 이 책의 반 이상을 차지하는 분량으로 내용은 대부분 안부에 관한 것이나, 학문 문답도 있다. 편지의 별지에서는 예설에 관한 의견을 교환하기도 하였는데, 이 중 〈호곡유장범휴문 壺谷柳丈範休文〉에서는 도학을 논하면서 근래의 학자 중 이론(異論)을 세워 신기한 것을 찾는 사람이 많으니 혼자서만 학문을 쌓을 것이 아니라 다른 사람을 계발시키고 이치를 변증하여 참고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면서 하루 속히 강소에 나가 후배들을 교육시킬 것을 권하고 있다.〈답김선서 答金瑄誓〉의 별지에서는 고산서당(高山書堂)에서 《중용》을 강의한 내용을 상세히 수록하여 학문의 길을 깨우치고 있다. 잡저의 〈계몽기의 啓蒙記疑〉는 《주역》에 관한 광범위한 논설을 싣고 그것의 의문점을 지적, 해설한 것으로, 〈선궁도 旋宮圖〉·〈육기도 六氣圖〉·〈하도수 河圖數〉·〈황극내편 皇極內篇〉·〈전의 傳疑〉·〈질위소장도 迭爲消長圖〉·〈계몽의의 啓蒙疑義〉·〈괘배절후도 卦配節候圖〉·〈명시책 明策〉에 관한 내용이 실려 있다.〈시아배 示兒輩〉는 자식의 교육을 위하여 행동강령을 지시한 것으로, 신흥(晨興)·과수(課受)·작자(作字)·독서·야매(夜寐)·출입·언행·응대·교제 등의 내용을 담고 있다.〈체용설 體用說〉에서는 총론체용(總論體用)·이체용(理體用)·이체사용(理體事用)·사체이용(事體理用)·성체도용(性體道用)·도자유체용 (道自有體用)·성자유체용(性自有體用)·비은체용(費隱體用)·도체용(道體用)·태극체용 (太極體用)·심체용(心體用)·충서체용(忠恕體用)·사덕체용(四德體用)·이부체용 (二夫體用) 등으로 구분하여 체용을 설명하고 있다.〈고산강회록 高山講會錄〉은 1811년(순조 11) 8월 24일 고산서당에서 강회를 열었던 배경과 내용을 적은 글로서 〈솔성지위도설 率性之謂道說〉·〈성구사덕설 性具四德說〉·〈심무출입설 心無出入說〉 등의 강제(講題)가 소개되고 있다. 이밖에도 자기반성의 목표로 삼은 〈자성록 自省錄〉과 예(禮)에 대한 의문을 문답식으로 풀이한 〈예의문답 禮疑問答〉 등이 있다. 국립중앙도서관과 장서각도서에 있다. 〈權五虎〉 @ ^
청구번호_정렬01_K4-6169
자료분류고서 > 장서각 본도서 > 한국본 > 集部 > 別集類 > 詩文
CLASSCODEJAKDBB
PDF책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