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url:./treeAjax?siteMode=prod}

홍재전서(弘齋全書)

자료명 홍재전서(弘齋全書) 저자 正祖(朝鮮王, 1752 - 1800) 撰
자료명(이칭) 저자(이칭)
청구기호 K4-5702 MF번호
유형분류 고서/기타 주제분류 集部/別集類/御製
수집분류 왕실/고서/한국본 자료제공처 전자도서관(SJ_LIB)
서지 전자도서관 해제 전자도서관
원문텍스트 이미지 장서각통합뷰어 원문이미지
키워드 成都伯餞席口占, 贐原任直閣金載瓚出宰成川(弘齋全書卷5), 贐閣臣出宰成川乙酉○原任直閣金載瓚

· 원문이미지

닫기

· 상세정보 해제 xml

닫기

자료제공처전자도서관
번호113377
서명弘齋全書
저자正祖(朝鮮王, 1752 - 1800) 撰
판사항寫本
간사사항[寫年未詳]
청구번호K4-5702
MF번호
형태사항線裝 35冊存:四周雙邊, 半郭24.4 × 14.5 ㎝, 烏絲欄, 半葉10行20字, 註雙行, 上黑, 內向一葉花紋魚尾;32.3 × 19.3 ㎝
인기印 : 藏書閣印
안내정보
해제 홍재전서(弘齋全書)

〈정의〉
조선시대 정조의 시문집.


〈서지사항〉
184권 100책. 활자본.

이 책은 어제시문(御製詩文)을 규장각에서 편찬한 것인데, 두 차례에 걸쳐 이루어졌다.

1차 편찬은 1799년(정조 23) 규장각직제학(奎章閣直提學) 서호수(徐浩修)가 주가 되어 어제회수법(御製會粹法)을 정하고 의례(儀例)를 세우고 편차(編次)를 나누어 이만수(李晩秀)·김조순(金祖淳)·이재수(李在秀) 등과 함께 편찬하였다. 편찬 도중 서호수가 사망하자 서영보(徐榮輔)에게 잇게 하여, 총 190편을 완성하였다.
2차 편찬은 1800년 정조가 죽을 때까지 약 반년 간의 저술을 덧붙여 1801년(순조 1) 12월에 심상규(沈象奎)가 주가 되어 184편을 편찬하였다. 이것을 1814년 정리자판(整理字版)으로 출간하였다.

1차 편찬 시의 것은 정조의 동궁(東宮) 시절부터 재위 23년까지의 어제를 30항으로 나누어 시 5편, 서(書) 1편, 서인(序引) 4편, 기(記) 3편, 비(碑) 3편, 지(誌) 1편, 행록(行錄) 1편, 행장(行狀) 1편, 제문(祭文) 8편, 윤음(綸音) 4편, 교(敎) 7편, 돈유(敦諭) 3편, 유서(諭書) 3편, 봉서(封書) 3편, 비(批) 5편, 판(判) 3편, 책문(策問) 5편, 설(說)·행장·논(論)·잠(箴) 각 1편, 찬(贊) 2편, 명(銘) 4편, 송(頌) 1편, 잡저(雜著) 7편, 강의(講義) 56편, 유의평례(類義評例) 2편, 고식(故寔) 6편, 심리록(審理錄) 25편, 일득록(日得錄) 19편, 군서표기(群書標記) 5편 등 모두 190편으로 되어 있다.
2차에 편찬된 것은 1차 편찬 시의 것과 비교하면, 각 항목의 편수가 서로 다르며, 1차 편찬 시에 있던 서(書)·논·잠·송이 빠져 있고, 그 대신 추서춘기(鄒書春記) 2편, 노론하전(魯論夏箋) 4편, 증전추록(曾傳秋錄) 1편이 추가되어 있으며 총 편수도 184편으로 줄어들었다.

정조대에 편찬된 것은 2부를 정서하여 대내(大內)에 1부, 이문원(璃文院:규장각신의 집무소)에 1부를 보관하였는데 현재에는 장서각에 《홍재전서삼집 弘齋全書三集》 29책으로 전하여지고 있다. 한편, 순조대에 편찬된 것은 궁중의 비각(祕閣)과 사고(史庫)·규장각·홍문관·세자시강원에 보관하였다.


〈체제 및 내용〉
이 책의 내용을 살펴보면, 책머리에는 총목록이 수록되어 있어서 전체적인 이해에 도움을 주며, 권1∼4는 춘저록(春邸錄)으로서, 주로 정조의 동궁시절의 작품이 수록되었다.
권1은 시 108수, 권2는 시 88수, 권3은 춘저록서(春邸錄書) 27편, 권4는 서인(序引) 4편, 기 3편, 제문 1편, 논 2편, 찬 3편, 잠 4편, 명 7편, 송 2편, 잡저 11편 등으로 되어 있다. 특히, 권4는 경학사상(經學思想)을 피력하고 있다.
권5∼7은 시로서, 각각 47수·67수·74수가 있고, 권7의 부록으로 악장(樂章) 2편, 치사(致詞) 1편이 있다.
권8∼13은 서인으로서, 권8의 서인 19편은 정조의 문예사상을 보여주고, 권9의 서인 19편에는 운서(韻書)·전법·군사훈련·강역 등에 관한 글이 실려 있으며, 권10의 서인 8편, 권11∼13의 서인 61편은 홍봉한(洪鳳漢)의 주(奏)를 모아서 거기에 정조의 견해를 피력한 내용이다.
권14는 기 7편, 권15는 비문(碑文) 24편, 권16은 지 1편, 권17은 행록 1편, 권18은 행장 1편이다.
그리고 권19∼25는 제문으로서, 각각 32편·45편·99편·77편·62편·79편·31편 등으로 되어 있다.
권26∼29까지는 윤음으로서, 각각 18편·11편·34편·18편 등을 수록하고 있다.
또 권30∼36까지는 교로서, 각각 42편·33편·36편·35편·42편·28편·47편으로 되어 있으며,
권37은 돈유 37편, 권38은 유서 20편을 싣고 있다.
권39∼41까지는 봉서로서, 각각 6편·14편·8편 등이다.
권42∼46까지는 비로서, 각각 43편·34편·45편·46편·34편으로 되어 있고, 권47은 판 25편을 싣고 있다.
권48∼52는 책문으로서, 대체로 과시장(科試場)에서 정조가 책제(策題)에 맞추어 직접 작성한 것들인데, 각각 14편·20편·20편·18편·6편 등이 있다.
권53은 설 3편, 찬 1편, 명 6편을 실었다.
권54∼63은 잡저로서, 권59에 20편 그밖에 각 권 1편씩 실려 있다.
권64∼119는 ‘경사강의(經史講義)’라는 제명으로 되어 있는데, 정조와 신하들간에 경서를 강한 내용이 수록되어 있다.
즉, 권64∼65는 《근사록 近思錄》에 대한 문답, 권66은 《심경 心經》의 강의, 권67∼70은 《대학》의 강의, 권71∼75는 《논어》의 강의, 권76∼79는 《맹자》의 강의, 권80∼83은 《중용》의 강의, 권84∼92는 《시경》의 강의, 권93∼100은 《서경》의 강의, 권101∼105는 《역경》의 강의, 권106∼109는 경서 전반에 관한 의문점의 문답, 권110∼119는 《강목 綱目》의 강의와 관학유생(館學儒生)들과 함께 문답한 내용 등인데, 이 부분은 정조의 학예사상과 아울러 당시의 유학사·사상사의 연구에 중요한 자료이다.
한편, 권120∼121은 〈추서춘기〉로서 《맹자》의 학설을 연구한 것이다.
권122∼125는 〈노론하전〉으로서 《논어》에 주(註)를 한 것이다.
권126은 〈증전추록〉(中庸의 연구) 15편을 수록하고 있고, 권127∼128은 〈유의평례〉를 싣고 있다. 이것도 정조가 신하들과 대학유의(大學類義)에 관하여 토론한 내용이다.
그리고 권129∼134는 〈고식〉으로 정조가 신하들과 함께 《대학》·《주자대전 朱子大全》·《국조고사 國朝故事》에 관하여 토론한 내용을 수록하였다.
권135∼160은 〈심리록〉으로 전국 각지의 죄수들의 옥사에 관하여 정조가 판(判)한 내용이다. 당시의 사회사 연구에 중요한 자료이다.
권161∼178은 〈일득록〉으로 정조의 어록(語錄)을 수록한 것이다. 즉, 권161∼165는 문학편, 권166∼170은 정사편, 권171∼173은 인물편, 권174∼178은 훈어편(訓語篇)이다.
권179∼184는 〈군서표기〉 등으로 되어 있다. 정조 자신이 지은 서책과 신하들에게 명하여 찬하게 된 서책 등에 관하여 출간경위나 서책의 내용 등을 해설해 놓은 것이다.


〈소장현황〉
이 책이 현전하는 것으로는 1814년에 간행한 인본(印本) 184권 100책이 규장각도서로 6부가 있고, 장서각도서로 2부가 있다.

그리고 1801년에 편찬된 것은 사본(寫本)으로서 장서각에 전질이 있고 서울대학교에 초집 2권, 2집, 61권 등 모두 38책이 보관되어 있다.

이밖에도 장서각에는 4책의 홍재고(弘齋稿)가 있는데, 이 중 3책은 정조즉위∼3년 사이의 윤음·돈유·제문·비문·시책·비답 등을 수록하고 있으며, 나머지 1책은 정조의 윤음집(綸音集)이다.

그리고 최근에 장서각의 사본을 저본으로 태학사(太學社)에서 1978년에 영인한 《홍재전서》가 있다. 여기에는 군서표기·유기(遺記)·비·행장·제문·윤음·교·판·책문·잡저 등을 추가한 보유편이 덧붙여 있다.


〈특성 및 가치〉
이 책은 정조의 사상에 관해서나 당시의 사상풍토, 사회의 전반적인 이해를 위해서 중요한 자료이다.


〈참고문헌〉
奎章閣圖書韓國本總目錄
藏書閣圖書韓國版總目錄
弘齋全書解題(申奭鎬, 太學社, 1978)


〈집필자〉
崔承熙

청구번호_정렬01_K4-5702
자료분류고서 > 장서각 본도서 > 한국본 > 集部 > 別集類 > 御製
CLASSCODEJAKDBA
PDF책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