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url:./treeAjax?siteMode=prod}

재물보(才物譜)

자료명 재물보(才物譜) 저자 이만영(李晩永) 편(編)
자료명(이칭) 才物譜 저자(이칭) [編者未詳]
청구기호 K3-682 MF번호 MF35-1649~50
유형분류 고서/기타 주제분류 子部/類書類
수집분류 왕실/고서/한국본 자료제공처 장서각(SJ_JSG)
서지 장서각 전자도서관 해제 장서각 전자도서관
원문텍스트 이미지 장서각통합뷰어* 원문이미지

· 원문이미지

닫기

· 기본정보 해제 xml

닫기

일반사항

· 사부분류 자부
· 작성시기 1835
· 청구기호 K3-682
· 마이크로필름 MF35-1649~50
· 기록시기 1835~1849年(憲宗年間)
· 소장정보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작성주체 - 인물

역할 인명 설명 생몰년 신분
이만영(李晩永) 편(編)

형태사항

· 크기(cm) 33.3 X 21.8
· 판본 필사본(筆寫本)
· 장정 선장(線裝)
· 수량 1책(冊)

· 상세정보

닫기

내용

정의
1798년(정조 22)李晩永(1604~1672)이 편찬한 백과전서류의 책을 기본으로 후대 사항을 보충하여 헌종 연간에 간행한 유서이다.
서지사항
표지서명은 ‘萬物譜’이며 그 하단에 冊次가 ‘春·夏·秋·冬’으로 기재되어 있다. 표지서명 우측에 小字로 ‘才物譜’가 추가 기재되어 있다. 제1책 卷首에는 「考據諸書」가 실려 있는데, 1字로 축약된 전거명 혹은 撰者를 4단으로 기재하고 그 하단에 소자로 풀이를 필사하였다.
체제 및 내용
본 도서는 春夏秋冬 4책으로 구성되어 있는 필사본이다. 표제는 ‘萬物草’이다. 원래 본 도서는 李晩永이 편찬하였으나, 간행된 이후의 사항들이 추가되어 있다. 國忌에 순조까지 기재되어 있는 점으로 미루어 보아 헌종 연간에 필사된 것으로 파악된다.
책의 체제는 인용서적, 목록, 본문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 도서에서 인용한 서적은 유교경전을 비롯하여 제자백가서 및 각종 史書, 類書, 중국 여러 문인들의 문집뿐만 아니라 『類苑叢寶』, 『農家集成』, 『東醫寶鑑』 등 우리나라의 서적이 망라되어 있다. 본문은 天地人 三才를 중심으로 天譜, 地譜, 人譜, 物譜로 나누어 萬物의 옛 이름 및 별칭, 한자명, 속명, 우리나라의 역대 문물제도, 지리 등에 대해 각종 문헌에서 발췌하여 수록하였다. 특히 朝鮮摠圖, 八道附圖, 八道路程表, 都城圖 등 우리나라와 관련된 사항이 많다. 동물, 식물, 광물 등에 관한 기사도 상당히 수록되어 있어 박물학 사전의 성격을 지닌다.
특성 및 가치
본 도서는 우리나라 역대 제도 및 문물 등을 다룬 부분이 다른 유서에 비해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사물의 漢字名, 別名, 俗名, 西域名, 梵名 등이 한글과 함께 수록되어 있어 物名考的인 성격을 지니는 점이 특징이다. 따라서 조선후기 고증학적 학풍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된다. 특히 名詞의 음과 뜻이 한글로 표기되어 있어 조선후기 한글 어휘를 살펴볼 수 있기에 국어학 분야에서도 상당히 중요한 의의를 지닌다.
국어학 해제
본 도서는 각각의 사항에 대해 각주가 붙어 있고, 각기 한자명, 별명, 속명, 서역명, 범어명 등이 붙어 있고, 간간이 그에 대한 고유어 등이 한글로 제시되어 있다. 그러므로 해당 어휘를 파악하기 용이하게 구성되어 있다. ‘바람, 은하슈, 노을’ 등과 같은 어형이 그 예이다. 한편, 여기에는 이두도 제시되어 있는바, ‘同(오인), 不喩(아닌지), 幷只(다모기), 一一(낫낫치), 爲有如乎(잇다온), 爲白有在果(옯이견과), 敎是臥乎在亦(이시누온견이여)’ 등이 그 예이다. 특히 이두는 1자류로부터 6자류로까지 분류 수록되어 있다. 제시된 고유어 등과 이두는 국어사 연구에 기초 자료로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

집필자

김근태
범례
  • 인명
  • 관직명
  • 나라명
  • 건물명
  • 관청명
  • 지명
  • 연도
  • 문헌명
  • 기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