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url:./treeAjax?siteMode=prod}

유서필지(儒胥必知)

자료명 유서필지(儒胥必知) 저자 편자미상(編者未詳)
자료명(이칭) 저자(이칭) , [편자미상]([編者未詳])
청구기호 K3-680 MF번호 MF16-330
유형분류 고서/기타 주제분류 子部/類書類
수집분류 왕실/고서/한국본 자료제공처 장서각(SJ_JSG)
서지 장서각 디지털아카이브 디지털아카이브 전자도서관 해제 장서각 디지털아카이브
원문텍스트 디지털아카이브 이미지 장서각통합뷰어* 원문이미지 디지털아카이브 디지털아카이브 PDF

· 원문이미지

닫기

· PDF서비스

닫기

· 기본정보 해제 xml

닫기

일반사항

· 사부분류 자부
· 작성시기 1864
· 청구기호 K3-680
· 마이크로필름 MF16-330
· 기록시기 1864~1906年(高宗年間)
· 소장정보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작성주체 - 인물

역할 인명 설명 생몰년 신분
편자미상(編者未詳)

형태사항

· 크기(cm) 28.2 X 20.4
· 판본 목판본(木板本)
· 장정 선장(線裝)
· 수량 1권(卷) 1책(冊)
· 판식 반곽(半郭) 22.4×14.6cm
· 인장 李王家圖書之章

· 상세정보

닫기

내용

정의
지방 수령 및 서리, 일반 백성들이 행정 업무 및 일상 생활에 필요한 여러 문서의 형식 및 용례를 수록한 일종의 공문서식 例規集이다.
체제 및 내용
본 도서는 서문, 발문이 없어 편찬자와 간행연대를 정확하게 알 수 없다. 다만 철종 연간에 처음 간행된 것으로 보이며, 고종 연간에 重刊된 판본도 다양하게 남아 있다. 서명은 儒者와 胥吏들이 반드시 알아야 할 사항을 엮어 놓았다는 의미로, 목록과 범례, 본문 및 부록인 吏頭彙編으로 구성되어 있는 1권 1책의 목판본이다.
본 도서에 수록된 문서 형식 및 용례를 보면, 국왕에게 직접 청원하는 상언 12종, 국왕이 거둥할 때 직접 징이나 북을 치며 올리는 격쟁원정 4종, 지방 수령에게 올리는 소장인 소지 24종, 제수나 부의를 전할 때 함께 보내는 단자 3종, 서리와 같은 아전이 수령 등에게 올리는 고목 8종, 거래계약서인 문권 6종, 어떤 사실을 알리는 통문 1종 등 모두 7개 형식, 58종이 수록되어 있다. 위의 7가지 서식을 사용할 다양한 경우에 있어서의 문투를 소개하고 문투 중에서 변화를 가할 수 있는 곳, 비확정적인 곳 등은 본문보다 작은 글자로 표시하였고, 본문 중의 이두도 다른 글자보다 작게 써서 구별하였다. 부록으로 수록된 吏讀 彙編에서는 이두의 어휘 244개를 一字類에서 七字類까지 분류하여 수록하였다.
특성 및 가치
본 도서는 조선시대 후기의 행정체계와 고문서를 연구함에 있어 매우 중요한 자료이다. 또한 제시된 다양한 예를 통해 당시 사회생활의 단면을 엿볼 수 있어 역사학적으로도 가치가 있다. 다양한 吏讀의 형태 및 실제 용례를 수록하여 국어학 분야에서도 중요한 자료이다.

집필자

김근태
범례
  • 인명
  • 관직명
  • 나라명
  • 건물명
  • 관청명
  • 지명
  • 연도
  • 문헌명
  • 기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