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url:./treeAjax?siteMode=prod}

형향록(馨香錄)

자료명 형향록(馨香錄) 저자 윤태준(尹泰駿) 편(編)
자료명(이칭) 馨香錄 , 형향록(馨香錄) 저자(이칭) 尹泰駿(朝鮮) 編 , 윤태준(조선)편(尹泰駿(朝鮮) 編)
청구기호 K3-642 MF번호 MF35-133, 450
유형분류 고서/기타 주제분류 子部/隨錄類
수집분류 왕실/고서/한국본 자료제공처 장서각(SJ_JSG)
서지 장서각 디지털아카이브 전자도서관 해제 장서각
원문텍스트 이미지 장서각통합뷰어* 원문이미지 디지털아카이브

· 원문이미지

닫기

· 기본정보 해제 xml

닫기

일반사항

· 사부분류 자부
· 작성시기 1869(고종 5년)
· 청구기호 K3-642
· 마이크로필름 MF35-133, 450
· 소장정보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 가치정보 귀중본

작성주체 - 인물

역할 인명 설명 생몰년 신분
윤태준(尹泰駿) 편(編)

형태사항

· 크기(cm) 27.5 X 19.5
· 판본 필사본(筆寫本)
· 장정 선장(線裝)
· 수량 1책(冊)(49장(張))
· 인장 石汀, 坡平, 尹泰駿印, 李王家圖書之章

· 상세정보

닫기

내용

정의
尹泰駿(1839~1884)이 각종 경전 등에서 다스림과 관계된 어구를 초록하여 주제별로 엮은 책이다.
체제 및 내용
‘馨香錄’이라는 서명은 『書經』 「君陳」의 “至治馨香”에서 따온 것이다. 권두에 저자의 自序가 있다. 자서에 따르면 말은 몸의 精華요, 글은 道를 싣는 그릇이다. 三代에는 임금이 ·과 같고 신하가 ·과 같아 그 다스림이 향기로웠으나, 후대로 내려오면서 다스림이 쇠퇴하여 말을 실천하지 않고 글은 수식이 우세하게 되었다. 우리나라는 역대 국왕이 문치를 이룩하여 말이 진실하고 글은 文質을 겸비하였다. 저자는 西湖에 流落하여 3년간 태평성대를 송축하며 이 책을 엮었다고 하였다. 서문의 말미에 “己巳孟夏之一日石汀拜序”라고 되어 있으므로, 본 도서의 편찬연대는 1869년이다.
자서에 이어 목록이 있다. 이 책은 上下 2편으로 구성되어 있다. 上篇은 御極(附規勉), 元子誕降, 入學, 冠禮(附冊儲), 嘉禮, 聖壽, 垂簾, 撤簾, 尊號(附追上), 上候平復, 國哀, 因山, 哀冊, 祔廟, 遷奉, 殿閣上樑, 宗廟祭文, 陵園, 祈穀, 祈雨, 祈晴, 關王廟, 廟庭配享, 文廟從祀, 額院, 忠祠, 大官賜祭, 賜几杖, 致仕, 璿派, 戚里, 儒賢敦諭, 大臣敦勉이다. 下篇은 大臣奏疏, 嘗藥, 錫馬, 一品, 正卿, 吏判(附次堂), 戶判(附惠堂), 禮判, 兵判, 刑判, 工判, 文衡, 文任, 將任(附行陣露布), 亞卿, 副學, 閣臣, 泮長, 諫官, 使臣, 試官, 祭官, 監司, 留守(附乞郡), 引年, 闋制, 總辭職, 雷異, 臺論, 匡救이다.
본문의 내용은 각종 경전, 사서, 문집 등에서 주제와 관련된 어구를 초록한 것이다. 규장각에 필사본 2책의 이본이 소장되어 있는데, 본 도서와는 체재가 다소 다르다. 그러나 印記로 보건대 본 도서는 원본에 가까운 듯하다.
특성 및 가치
본 도서는 국가의 대사 및 관원의 업무에 관련된 글을 지을 때 인용하려는 목적에서 편찬된 것으로 보인다.

집필자

장유승
범례
  • 인명
  • 관직명
  • 나라명
  • 건물명
  • 관청명
  • 지명
  • 연도
  • 문헌명
  • 기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