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url:./treeAjax?siteMode=prod}

설계수록(雪溪隨錄)

자료명 설계수록(雪溪隨錄) 저자 박치화(朴致和) 편(編)
자료명(이칭) 설계수록(雪溪隨錄) , 雪溪隨錄 저자(이칭) 朴致遠(朝鮮) 編 , 박치원(조선)편(朴致遠(朝鮮)編)
청구기호 K3-621 MF번호 MF35-162~163, 848~849
유형분류 고서/기타 주제분류 子部/隨錄類
수집분류 왕실/고서/한국본 자료제공처 장서각(SJ_JSG)
서지 장서각 디지털아카이브 전자도서관 해제 장서각 디지털아카이브 전자도서관
원문텍스트 이미지 장서각통합뷰어* 원문이미지 디지털아카이브 PDF

· 원문이미지

닫기

· PDF서비스

닫기

· 기본정보 해제 xml

닫기

일반사항

· 사부분류 자부
· 작성시기 1886
· 청구기호 K3-621
· 마이크로필름 MF35-162~163, 848~849
· 기록시기 1886~1900年(高宗末) 頃
· 소장정보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 가치정보 귀중본

작성주체 - 인물

역할 인명 설명 생몰년 신분
박치화(朴致和) 편(編)

형태사항

· 크기(cm) 29.2 X 20.4
· 판본 필사본(筆寫本)
· 장정 선장(線裝)
· 수량 2권(卷) 11책(冊)
· 인장 李王家圖書之章

· 상세정보

닫기

내용

정의
朴致和(1732~1783)의 문집이다.
서지사항
표지의 우측 상단에 흰색 첨지를 붙여 枚數를 필사하였다. 書根題는 ‘隨錄’이다.
체제 및 내용
朴致和는 본관이 密陽, 자가 近甫, 호가 雪川, 雪溪이다. 초명은 致遠이며, 宋明欽, 宋能相에게 수학하였다. 박치화가 세상을 떠난 뒤 愼敦恒이 남은 시문을 수습하여 편집하였으나 탈고하지 못하였다. 결국 손자 朴龍赫이 아전에게 淨寫하게 하여 1질을 집안에 보관하였다. 훗날 徐配修가 2질을 필사하여 하나는 本孫에게 주고 하나는 자신이 열람할 목적으로 소장하였는데, 그 뒤 洪用觀이 또 열람을 청하며 1질을 추가로 필사하였다. 이 무렵 5대손 朴永壽가 간행을 도모하였으나 결국 뜻을 이루지 못한 것으로 보인다. 본 도서의 필사본이 규장각에도 소장되어 있는데, 당시 필사된 3종 가운데 하나로 보인다.
본 도서는 권두에 宋煥箕의 서문과 無聲窩序, 安筞의 행장, 安光直의 識文, 趙命夏의 발문, 徐有英의 後序가 차례로 실려 있다. 권1~6은 『周禮』, 권7~9는 『春秋』, 권10~11은 『儀禮』, 권12~13은 『禮記』, 권14는 『周易繫辭』, 권15는 『易學啓蒙』, 권16은 『家禮』, 『綱目』, 권17은 『律呂新書』, 권18은 『皇極經世書』, 『洪範皇極內篇』, 『黃帝素問』, 『八陣圖說解』, 권19는 詩, 贊, 祝文, 祭文, 書, 권20~27은 雜識이며, 부록으로 祭文, 誄辭, 贈詩가 실려 있다. 권1~18은 경전의 주요 부분을 요약하거나 부연한 것으로, 자못 독창적인 내용이 있고, 雜識는 經學, 史學, 曆法, 律呂, 軍政, 田政 등 다양한 분야에 대한 저자의 의견을 개진한 것이다. 訓民正音에 대한 언급도 보인다. 시는 117제에 달하며 서간의 수신자는 대부분 미상이다. 말미에 5대손 朴永壽의 발문이 있다.
특성 및 가치
본 도서는 박치화의 미간행 문집이다. 우리나라 제도의 유래와 실상, 문제점과 개선안을 기술한 부분은 주목할 만하다.

참고문헌

「『설계수록』의 국어학사적 고찰」, 김현, 『애산학보』 30집, 애산학회, 2004.

집필자

장유승
범례
  • 인명
  • 관직명
  • 나라명
  • 건물명
  • 관청명
  • 지명
  • 연도
  • 문헌명
  • 기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