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url:./treeAjax?siteMode=prod}

공과신격(功過新格)

자료명 공과신격(功過新格) 저자 권중현(權重顯) 편(編)
자료명(이칭) 功過新格 저자(이칭) 權重顯(朝鮮) 編 , 권중현(조선)편(權重顯(朝鮮)編)
청구기호 K3-609 MF번호 MF35-2174
유형분류 고서/기타 주제분류 子部/隨錄類
수집분류 왕실/고서/한국본 자료제공처 장서각(SJ_JSG)
서지 장서각 디지털아카이브 전자도서관 해제 장서각 디지털아카이브 전자도서관
원문텍스트 이미지 장서각통합뷰어* 원문이미지 디지털아카이브 PDF

· 원문이미지

닫기

· PDF서비스

닫기

· 기본정보 해제 xml

닫기

일반사항

· 사부분류 자부
· 작성시기 1905(광무 9년)
· 청구기호 K3-609
· 마이크로필름 MF35-2174
· 소장정보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작성주체 - 인물

역할 인명 설명 생몰년 신분
권중현(權重顯) 편(編)

형태사항

· 크기(cm) 27.8 X 18.0
· 판본 목판본(木板本)
· 장정 선장(線裝)
· 수량 3권(卷) 1책(冊)
· 판식 반곽(半郭) 19.5×13.2cm
· 인장 李王家圖書之章

· 상세정보

닫기

내용

정의
1905년(光武 9) 權重顯(1854~1934)이 呂洞賓의 『功過格』을 바탕으로 편찬한 도교적 성격의 勸善書이다.
체제 및 내용
본 도서는 상·중·하 3권으로 구성되어 있다. 권두에 金炳淳, 金重培, 李承日의 서문, 그리고 저자의 自序가 있다. 이어서 목록과 범례가 있다. 범례에 따르면 본 도서는 呂洞賓의 저술로 알려진 『功過格』의 내용을 가감하여 편찬한 것이다. 『공과격』의 내용은 일상생활에서 실천 가능한 수많은 선행과 악행을 功과 過로 계량하여 환산한 것이다. 저자는 『공과격』 외에도 四書 및 性理書, 그리고 『玉定金科』, 『覺世八鑑』 등의 도교서를 참조하여 본 도서를 편찬하였다.
본 도서의 권상에 수록된 報應必驗論, 功過打算例, 行賞定式, 行罰定式, 賞罰總論, 爲善捷徑, 袁了凡立命編 등은 일상생활에서 본 도서를 이용하는 방법을 알려주는 총론에 해당한다. 권중에 事親, 兄弟, 家室, 臨卑, 御下, 事上, 治心, 持身, 出言, 應事, 권하에 接人, 事神, 處官, 推恩, 惜字, 戒色 등 총 16章으로 구성되어 있다. 각 장은 功例와 過例로 구분되어 있는 데, 일상생활에서 행하는 선행과 악행을 각기 1부터 1000에 이르는 공과 과로 환산하여 독자 스스로 계량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본 도서를 언해한 『공과신격언해』도 별본으로 전한다.
특성 및 가치
본 도서와 같은 『功過格』類의 勸善書는 권선징악을 통해 일상생활의 규범을 제시하고 도덕적 수양과 반성의 바탕으로 삼으려는 목적에서 편찬되었다. 이러한 책을 바탕으로 한 공과격 신앙은 明淸代에 크게 유행하였으며 우리나라에서는 19세기 무렵부터 널리 전파되었다. 崔漢綺는 『人政』에서 『공과격』 류의 유행에 대해 우려를 표하였는데, 본 도서는 19세기 민간에 유행한 도교신앙의 성격을 잘 보여준다.

참고문헌

經農 權重顯의 『功過神格』과 道敎倫理」, 양은용, 『韓國宗敎史硏究』 6, 한국종교사학회, 1996.
최혜영, 「道敎와 民衆論理思想의 硏究 : 『功過新格』에 나타난 倫理意識의 分析」, 한국정신문화연구원 한국학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0.

집필자

장유승
범례
  • 인명
  • 관직명
  • 나라명
  • 건물명
  • 관청명
  • 지명
  • 연도
  • 문헌명
  • 기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