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url:./treeAjax?siteMode=prod}

악학궤범(樂學軌範)

자료명 악학궤범(樂學軌範) 저자 성현(조선)(成俔(朝鮮)) 등(等) 봉명편(奉命編)
자료명(이칭) 樂學軌範 저자(이칭) [成俔(朝鮮) 等奉命編]
청구기호 K3-588 MF번호 MF35-1727
유형분류 고서/기타 주제분류 子部/藝術類/雜技藝
수집분류 왕실/고서/한국본 자료제공처 장서각(SJ_JSG)
서지 장서각 전자도서관 해제 장서각
원문텍스트 이미지 장서각통합뷰어* 원문이미지 PDF

· 원문이미지

닫기

· PDF서비스

닫기

· 기본정보 해제 xml

닫기

일반사항

· 사부분류 자부
· 작성시기 1610(광해군 2년)
· 청구기호 K3-588
· 마이크로필름 MF35-1727
· 기록시기 1610年(光海君 2) 以後
· 소장정보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 가치정보 귀중본 , 유일본

작성주체 - 인물

역할 인명 설명 생몰년 신분
성현(成俔) 등(等) 봉명편(奉命編)

형태사항

· 크기(cm) 35.8 X 23.6
· 판본 목판본(木板本)
· 장정 선장(線裝)
· 수량 3권(卷)(권4~권6) 1책(冊)
· 판식 반곽(半郭) 26.8×18.6cm

· 상세정보

닫기

내용

정의
1493년(성종 24) 成俔(1439~1504)이 편찬한 음악이론서이나 1610년(광해군 2) 이후에 重刊된 책이다.
서지사항
表紙書名은 ‘樂學軌範’이다. 17세기에 다시 인쇄한 木板本으로, 表紙 裏面에 ‘庚子六月一新備’라는 識記가 있다. 卷首欄外에 ‘院上’이 표기되어 있다. 삽도가 포함되어 있으며, 天·地·人 3冊 가운데 ‘地’만 남아 있다.
체제 및 내용
樂學軌範』은 총 9권 3책으로 雅樂·唐樂·鄕樂의 음악이론, 정재, 악기, 의물, 복식 등 당시의 음악 전반에 대한 내용을 담은 책이다. 본 도서는 권4~권6으로 결본이다. 『樂學軌範』은 호우사문고(蓬左文庫) 임란 이전본, 1610년(광해군 2) 태백산본, 1655년(효종 6)본 등 3종의 판본이 전한다. 장서각에는 2종의 『악학궤범』이 있다. 이중 K3-589 『악학궤범』은 1610년본을 1933년 영인한 것이고, 본 도서는 첫 장에 표시된 ‘庚子 六月日 新備’라는 글귀로 미루어 경자년에 새로 갖춘 다른 판본으로 추정된다. 1610년본과는 권6의 악기 모양 등이 일부 차이가 있고, 악기 和의 제5관이 다르다. 또 1610년본의 제5관은 ‘大’이나 본 도서는 ‘太’인 점 등이 다르다. 1610년 이후의 경자년에 해당하는 시기는 1660년(현종 1), 1720년(숙종 46), 1780년(정조 4), 1840년(헌종 6), 1900년(광무 4)년 등에 해당되나 정확한 시기는 알 수 없다.
본 도서의 내용을 살펴보면, 권4는 성종대 당악정재를 圖儀한 것이고, 권5는 성종대 향악정재를 圖儀한 것이다. 세종 때 鄕唐交奏 형식의 보태평·정대업·봉래의 등 향악정재 춤의 절차를 자세히 기술하였다. 권6은 악기의 모양과 치수, 악기 재료 등을 상세히 기록하였다.
특성 및 가치
樂學軌範』은 제향·조회 연향 때의 주악에 필요한 음악 이론을 정리하고, 정재, 악기, 의물, 복식 등 관복에 이르기까지 조선시대 음악의 면면을 살펴볼 수 있는 자료이다. 동동과 정읍의 가사는 유일본으로 국어국문학에도 중요한 자료를 제공한다.

참고문헌

국립국악원, 『악학궤범』, 국립국악원, 1989.
렴정권 譯註, 『악학궤범』, 평양 국립출판사, 1956.
이혜구 譯註, 『악학궤범』, 민족문화추진회, 1967.
이혜구 譯註, 『신역 악학궤범』, 국립국악원, 2000.

집필자

김인숙
범례
  • 인명
  • 관직명
  • 나라명
  • 건물명
  • 관청명
  • 지명
  • 연도
  • 문헌명
  • 기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