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url:./treeAjax?siteMode=prod}

보소당인존(寶蘇堂印存)

자료명 보소당인존(寶蘇堂印存) 저자 편자미상(編者未詳)
자료명(이칭) 저자(이칭) [홍두산방(紅豆山房) 간(刊)]
청구기호 K3-562-1 MF번호 MF35-126~127
유형분류 고서/기타 주제분류 子部/藝術類/篆刻
수집분류 왕실/고서/한국본 자료제공처 장서각(SJ_JSG)
서지 장서각 전자도서관 해제 장서각 전자도서관
원문텍스트 이미지 장서각통합뷰어* 원문이미지

· 원문이미지

닫기

· 기본정보 해제 xml

닫기

일반사항

· 사부분류 자부
· 작성시기 1904(광무 8년)
· 청구기호 K3-562-1
· 마이크로필름 MF35-126~127
· 소장정보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 가치정보 귀중본

작성주체 - 인물

역할 인명 설명 생몰년 신분
편자미상(編者未詳)

형태사항

· 크기(cm) 20.7 X 13.1
· 판본 검인본(鈐印本)
· 장정 선장(線裝)
· 수량 불분권(不分卷) 14책(冊)
· 인장 藏書閣印

· 상세정보

닫기

내용

정의
고종대에 개수된 『보소당인존』의 여러 이본 중 한 질이다.
서지사항
562-1, 562-2, 563-3 세 본이 있다. 表紙書名은 모두 ‘寶蘇堂印存’으로, 종이 題簽에 목판으로 인쇄하고, 모두 包匣이 있다. 제첨 내부 하단에는 ‘紅豆山房’이라는 印文의 인장이 날인되어 있다. 四針眼 線裝에 비단으로 장황되어 있고 書背 모서리는 脚包로 감쌌으며, 編題面은 붉은 종이에 인출하였다. 네 모서리가 둥글고 ‘寶蘇堂印存’이라는 版心題가 篆書體로 적힌 石印 印札紙 안에 인장을 날인하고 그 하단에 단정한 楷書로 印文을 필사하였다. 562-1본에는 藏書閣印이, 562-2본에는 ‘李王家圖書之章’이 날인되어 있다. 562-3본에는 장서인이 없다.
체제 및 내용
본 도서는 1904년(광무 8) 궁궐 화재사건 이후의 모각인장으로 만들어진 여러 개수본 가운데 한 종인데 14冊으로 구성되었다. 총 776顆의 印影이 실려 있어 장서각 소장 『보소당인존』 중에서 가장 많은 양의 인영을 수록하였다. 각 책에 수록된 인영의 수는 다음과 같다. 1책(40), 2책(60), 3책(66), 4책(54), 5책(64), 6책(57), 7책(74), 8책(69), 9책(75), 10책(61), 11책(68), 12책(56), 13책(30), 14책(2). 제첨의 글씨는 『보소당인존』(K3-561-1)과 같은 서체로 인쇄하여 오려붙였다. 다만 세로 4㎜, 가로 1.5㎜가 작다. 각권의 제첨 아래에는 紅豆山房이라 새긴 ‘長方形白文印(4.4×2.2cm)’을 찍어 이 책의 소장자를 밝혀놓았다.
특성 및 가치
조선시대 왕실에서 인장의 수장과 향유의 모습을 볼 수 있고, 고종 대 모각본 『보소당인존』의 여러 이본 가운데 하나의 전형을 확인할 수 있다.

참고문헌

韓國 印章의 歷史」, 김양동, 『韓國의 印章』, 국립민속박물관, 1987.
「『寶蘇堂印存』의 내용과 이본의 제작시기」, 성인근, 『장서각』 14, 한국학중앙연구원, 2005.KCI
이성미 외, 『조선왕실의 미술문화』, 대원사, 2005.
국립고궁박물관, 『조선왕실의 인장』, 국립고궁박물관, 2006.
王崇人, 『中國書畵藝術辭典·篆刻卷』, 陜西人民美術出版社. 2002.
韓天衡, 『中國篆刻大辭典』, 上海辭書出版社, 2003.

집필자

성인근
범례
  • 인명
  • 관직명
  • 나라명
  • 건물명
  • 관청명
  • 지명
  • 연도
  • 문헌명
  • 기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