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url:./treeAjax?siteMode=prod}

손감묘결(巽坎妙訣)

자료명 손감묘결(巽坎妙訣) 저자 찬자미상(撰者未詳)
자료명(이칭) 선감묘결(選坎妙訣) , 選坎妙訣 저자(이칭) [撰者未詳]
청구기호 K3-427 MF번호 MF35-158, 451
유형분류 고서/기타 주제분류 子部/術數類
수집분류 왕실/고서/한국본 자료제공처 장서각(SJ_JSG)
서지 장서각 디지털아카이브 전자도서관 해제 장서각
원문텍스트 이미지 장서각통합뷰어* 원문이미지 디지털아카이브

· 원문이미지

닫기

· 기본정보 해제 xml

닫기

일반사항

· 사부분류 자부
· 작성시기 간사년미상(刊寫年未詳)
· 청구기호 K3-427
· 마이크로필름 MF35-158, 451
· 소장정보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 가치정보 귀중본

작성주체 - 인물

역할 인명 설명 생몰년 신분
찬자미상(撰者未詳)

형태사항

· 크기(cm) 31.8 X 20.2
· 판본 필사본(筆寫本)
· 장정 선장(線裝)
· 수량 1책(冊)
· 인장 李王家圖書之章

· 상세정보

닫기

내용

정의
북한산 남한 지역에 있는 명당의 위치와 특징을 풍수도와 함께 설명한 책이다.
서지사항
表紙書名은 ‘巽坎妙訣’이다. 본문 상단에는 漢文으로 설명을 하고 하단에는 다양한 형태의 山圖를 그린 것이 대부분이다.
체제 및 내용
巽坎妙訣』은 풍과 수의 妙訣이라는 뜻으로 巽이 風, 坎이 水가 된다. 『巽坎妙訣』의 저자와 저작 연도를 정확히 알 수 없다. 기존 연구에 따르면, 1800년대에 여러 사람에 의해 작성된 것으로 판단된다. 목차 없이 風水圖 한 개에 하나의 설명이 따라붙는 형식으로 총 218개의 명당이 소개되어 있다. 풍수도에는 검정색으로 채색된 부분이 산줄기이고, 점선으로 물줄기를 표시하였다. 산줄기에는 주요 산봉우리의 명칭이 병기되어 있으며, 간혹 풍수 용어로서 水口, 來, 去 등의 표시가 점선의 물줄기를 따라 표기되어 있다. 바위 등을 단선으로 표현하고 石이라는 표시를 하였으며, 田原이라고 하여 밭이 있음을 표현하고 있다. 간혹 방위를 지칭하는 丙, 午 등의 표시가 보이는데, 이는 24방위의 특정 방위를 나타내는 것이다. 풍수도에 지명만 언급하는 것에서 자세한 설명을 덧붙인 것까지 다양한 형식을 보여 주고 있다.
풍수도를 설명하는 문장의 구성은 우선 산줄기의 출신을 따진다. 예를 들면, 坡州右龍出付紺岳山하고, 下一脈蹲蹲起伏更起하다는 것이다. 다음으로 혈을 맺는 과정을 언급하는데, 혈을 맺는 것은 窩中大突穴이라는 것이다. 그 외에 혈자리의 앞쪽으로 펼쳐진 것들을 묘사한다. 예를 들면, 前案一木星하고 印石分明하며, 溪水가 彎環한다는 등의 표현을 하고 있다. 그 외에도 수구 주변의 水口砂에 대한 설명으로 捍門, 笏 등의 용어가 등장하고, 명당임을 입증하기 위하여 중국의 명당으로 알려진 사례를 제시하고, 그에 빗대어 설명을 덧붙이기도 한다.
본 도서에는 소위 풍수형국론적 내용이 풍부하다. 형국론은 사람, 동식물, 물건 등에 비유하여 형국을 설명하는 것을 말한다. 이 책에서 사람에 관련된 형국명은 玉女端粧形, 將軍大坐形, 仙人讀書形, 胡僧禮佛形 등이 있다. 동식물에 관련된 형국명으로는 遊魚弄波形, 飛鳳歸巢形, 金鷄抱卵形, 牧丹形 등이 있다. 물건에 빗댄 것으로는 金盤玉壺形, 風吹羅帶形 등이 있다. 모두 32종 140여 개의 형국을 소개하고 있다.

참고문헌

고제희(역), 『손감묘결』, 다산초당, 2008.
풍수지리총서』, 경인문화사, 1969.

집필자

조인철
범례
  • 인명
  • 관직명
  • 나라명
  • 건물명
  • 관청명
  • 지명
  • 연도
  • 문헌명
  • 기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