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url:./treeAjax?siteMode=prod}

약산호고종방촬요(若山好古腫方撮要)

자료명 약산호고종방촬요(若山好古腫方撮要) 저자 강이오(姜彛五)
자료명(이칭) 若山好古腫方撮要 , 약산호고종방촬요(若山好古腫方撮要) 저자(이칭) 강이오(조선)편(姜彛五(朝鮮)編) , 姜彛五(朝鮮) 編
청구기호 K3-359 MF번호 MF35-173, 451
유형분류 고서/기타 주제분류 子部/醫家類
수집분류 왕실/고서/한국본 자료제공처 장서각(SJ_JSG)
서지 장서각 디지털아카이브 전자도서관 해제 장서각 전자도서관
원문텍스트 이미지 장서각통합뷰어* 원문이미지 디지털아카이브

· 원문이미지

닫기

· 기본정보 해제 xml

닫기

일반사항

· 사부분류 자부
· 작성시기 1850
· 청구기호 K3-359
· 마이크로필름 MF35-173, 451
· 기록시기 1850~1863年( 哲宗年間)
· 소장정보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 가치정보 귀중본

작성주체 - 인물

역할 인명 설명 생몰년 신분
강이오(姜彛五) 편(編)

형태사항

· 크기(cm) 26.8 X 18.6
· 판본 필사본(筆寫本)
· 장정 선장(線裝)
· 수량 1책(冊)
· 판식 반곽(半郭) 19.3×14.0cm
· 인장 李王家圖書之章

· 상세정보

닫기

내용

정의
姜彛五(1788~?)가 종기 치료법을 전문적으로 다룬 외과 전문 의서이다.
서지사항
장황은 황색지에 斜格卍字 연결문양이 찍힌 線裝本이다. 본문은 四周雙邊의 필사된 空冊紙를 사용하였다. 약재명을 大字로 쓰고 그 아래 사용 방법을 쌍행의 小字로 적었다. 書眉에 각 인체 부위와 피부 질환 등을 적었고, 아울러 版心에도 같은 글자가 있어 색인의 역할을 하게 하였다. 뒷부분에 承文院提調, 冬至使가 咨文의 일로 丁巳 10월(1857), 戊午 9월(1858), 戊午 10월(1858), 己未 2월(1859), 己未 10월(1859), 庚申 4월(1860), 庚申 윤4월(1860), 甲子 10월(1864)에 보낸 내용의 초서가 있는데, 본 도서의 내용과는 무관한 것으로 보인다.
체제 및 내용
본문의 내용은 먼저 사람의 몸을 위에서 아래로 頭, 面, 耳, 顔, 口, 脣, 舌, 齒, 咽喉, 眉, 腦, 腮, 鬚髮, 髮際, 對口, 乳, 臂, 手足, 腰脚, 骨, 麻木, 腎, 陰囊, 疝, 下部, 痔 등으로 항목을 나누어 인체 부위에 따라 발생하는 피부과 병증[종기]을 기술하였다. 다음으로 癰疽, 發背, 附骨, 石癰, 瘭疽, 腫毒, 惡瘡, 浸淫濕瘡, 漏瘡, 瘰癧, 痰核, 懸癰, 便毒, 丁瘡, 臁瘡, 癬瘡, 疥, 暑疿, 風疹, 杖瘡, 漆瘡, 丹毒, 䗏尿, 諸傷, 中毒, 金瘡, 諸硬 등 대표적인 피부 질환을 나열하였다. 각 항목에는 대표적인 단방 약물과 치료 방법을 기술하였다. 다음으로 320여 약재에 관한 藥性歌가 있고 뒤에 『醫學入門』에 나와 있는 臟腑總論의 내용 일부가 부록되어 있다.
특성 및 가치
조선 후기에 저술된 외과 전문 의서로서 종기 치료법에 대해 전문적으로 다루고 있다. 여기에 사용된 약재와 치료 처방은 대개 단방 약물 위주로 되어 있어서 일반인들도 쉽게 활용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참고문헌

김신근 編, 『한국의학대계』, 여강출판사, 1992.
김남일 外, 『한의학통사』, 대성의학사, 2006.

집필자

차웅석
범례
  • 인명
  • 관직명
  • 나라명
  • 건물명
  • 관청명
  • 지명
  • 연도
  • 문헌명
  • 기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