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url:./treeAjax?siteMode=prod}

석씨원류(釋氏源流)

자료명 석씨원류(釋氏源流) 저자 헌종(憲宗)
자료명(이칭) 석씨원류(釋氏源流 n4) , 釋氏源流 저자(이칭) 憲宗(明) 命編
청구기호 K3-238 MF번호 MF35-1900
유형분류 고서/기타 주제분류 子部/釋家類
수집분류 왕실/고서/한국본 자료제공처 장서각(SJ_JSG)
서지 장서각 디지털아카이브 전자도서관 해제 장서각 디지털아카이브
원문텍스트 이미지 장서각통합뷰어* 원문이미지 디지털아카이브 PDF

· 원문이미지

닫기

· PDF서비스

닫기

· 기본정보 해제 xml

닫기

일반사항

· 사부분류 자부
· 작성시기 1673(현종 14년)
· 청구기호 K3-238
· 마이크로필름 MF35-1900
· 소장정보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작성주체 - 인물

역할 인명 설명 생몰년 신분
헌종(憲宗)(명(明)) 명편(命編)

형태사항

· 크기(cm) 34.7 X 22.2
· 판본 목판본(木板本)
· 장정 선장(線裝)
· 수량 4권(卷) 4책(冊)
· 판식 반곽(半郭) 27.3×18.0cm
· 인장 李王家圖書之章, 柳承烈印

· 상세정보

닫기

내용

정의
석가여래의 행적과 인도·중국의 불법 전개 과정을 400여 편의 일화와 그림으로 구성한 불교 역사서이다.
서지사항
表紙書名은 ‘佛氏源流’이다. 1486년(성종 17)에 지은 ‘御製釋氏源流序’가 실려 있으나 그 이후의 후쇄본이다. ‘釋迦如來成道應化事蹟記’가 6장이 있다. 上下內向二葉花紋魚尾를 기본으로 하였으나, 三葉花紋이나 ‘朴’과 같은 글자가 새겨진 면도 나타난다. 본문 뒤에 處能1673년(현종 14)에 쓴 釋氏源流後跋이 있고, ‘1631년(인조 9) 에 사신으로 갔던 鄭斗源명나라 승려 大謙으로부터 이 책 한 질을 받아 왔다’고 적혀 있다. 말미에는 ‘1673년(현종 14) 楊洲 佛岩寺에서 開刊한다’는 간기가 있다. ‘柳承烈印’이 날인되어 있다.
체제 및 내용
본 도서 첫머리에는 명나라 헌종1486년(成化 22)에 쓴 御製釋氏源流序가 있고, 이어서 당나라 박사 王勃이 찬술한 「釋迦如來成道應化事蹟記」가 있다. 본문은 권1~4가 100항목씩 전체 400항목으로 구성되었고, 각 항목에는 그림이 삽입되어 있다.
권1은 釋迦垂迹부터 佛化盧志까지, 권2는 貧公見佛부터 師子傳法까지이다. 내용은 석가여래 행적부터 인도에서의 불법 계승을 정리한 것이다. 석가여래의 출생과 출가 인연 및 成道 그리고 최초의 설법까지 61항목, 初轉法輪 이후의 교화 활동을 100항목, 열반의 준비에서 열반과 사리탑 건립까지 27항목, 입적 후 불법의 계승과 호법신을 11항목으로 서술하고 있다.
권3은 諸祖遺芳에서 南派慧能까지, 권4는 詔迎六祖에서 膽巴國師까지이다. 내용은 중국에 불교가 전래된 이후부터 원나라까지의 佛法 계승을 정리한 내용이다. 중국 불교의 전개 과정 부분은 『梁高僧傳』, 『續高僧傳』, 『宋高僧傳』, 『佛祖通記』, 『法苑珠林』 등 24종의 책을 인용하고 있다.
특성 및 가치
본 도서의 佛岩寺 책판은 보물 제591호로 지정되어 있다. 본 도서에 수록된 그림은 조선 후기 佛傳圖 형식에 많은 변화를 주었고, 한국 판화사 연구 자료로도 가치가 있다.

참고문헌

朝鮮後期 『釋氏源流』의 수용과 佛敎界에 미친 영향」, 최연식, 『普照思想』 11, 불일출판사, 1998.KCI

집필자

박해당
범례
  • 인명
  • 관직명
  • 나라명
  • 건물명
  • 관청명
  • 지명
  • 연도
  • 문헌명
  • 기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