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url:./treeAjax?siteMode=prod}

증정경신록(增訂敬信錄)

자료명 증정경신록(增訂敬信錄) 저자 주정신(周鼎臣)
자료명(이칭) 증정경신록(增訂敬信錄 n1) , 增訂敬信錄 저자(이칭) 미상(編者未詳) , [編者未詳]
청구기호 K3-183 MF번호 MF35-6638
유형분류 고서/기타 주제분류 子部/道家類
수집분류 왕실/고서/한국본 자료제공처 장서각(SJ_JSG)
서지 장서각 디지털아카이브 전자도서관 해제 장서각
원문텍스트 이미지 장서각통합뷰어* 원문이미지 디지털아카이브 PDF

· 원문이미지

닫기

· PDF서비스

닫기

· 기본정보 해제 xml

닫기

일반사항

· 사부분류 자부
· 작성시기 1880(고종 17년)
· 청구기호 K3-183
· 마이크로필름 MF35-6638
· 소장정보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작성주체 - 인물

역할 인명 설명 생몰년 신분
주정신(周鼎臣)(청(淸)) 편(編)

형태사항

· 크기(cm) 32.0 X 22.7
· 판본 목판본(木板本)
· 장정 선장(線裝)
· 수량 2권(券) 1책(冊)
· 판식 반곽(半郭) 22.3×17.7cm
· 인장 李王家圖書之章

· 상세정보

닫기

내용

정의
善惡報應의 가르침을 경건하게 믿게 할 목적으로 권선징악의 경문을 엮어서 1880년(고종 17)에 간행한 민간 도교 경전이다.
서지사항
表紙書名은 ‘敬信錄’이며 목판으로 인쇄된 종이 題籤을 사용하였으나 현재는 떨어져 있다. 編題面의 중앙에는 ‘統天隆運肇極敦倫主上殿下命印’, 우측에는 ‘化被草木’, 좌측에는 ‘賴及萬方’이라고 되어 있다. 권말에 ‘庚辰季春刊印’이라는 刊記가 있어 1880년(고종 17)에 인쇄하였음을 알 수 있다. 장서각에 표지서명이 동일한 『증정경신록』(K3-166)이 있다.
체제 및 내용
1838년(道光 18) 청나라에서 간행된 周鼎臣의 『增訂敬信錄』의 模本이다. 민간 도교 신앙을 바탕으로 형성된 각종 勸善書와 함께 질병에 대한 각종 처방을 기록하였다. 책머리에는 大字勸善이란 항목으로 권선징악과 함께 淫亂을 경계하고 孝誠을 강조하는 내용을 담은 四言八句의 큰 글씨가 있고, 그 뒤에는 약간 작은 글씨로 간행 목적을 밝히고 있다.
체제는 상하 2권으로 나누어져 있다. 상권에는 太上感應篇을 먼저 게재하고, 이어서 文昌帝君本願眞經, 文昌帝君聖願, 斗姥勸世文, 玄天上帝金科玉律, 關聖帝君寶訓, 魏元君勸世文, 蓮池大師放生文, 文昌帝君序文, 太微仙君功過格 등의 순서로 민간 도교 경전을 소개하였다. 태상감응편의 ‘感應篇讀法纂要’ 항목은 본 도서와 같은 해(1880)에 간행된 崔瑆煥의 『太上感應篇圖說』에 있는 ‘感應篇讀法纂要’ 항목과 내용이 동일하다. 하권에는 感應篇靈驗, 陰騭文靈驗, 損子墮胎異報, 救急五絶良方, 胎産良方, 豫防疾病要訣, 保身立命要訣, 附勸戒食牛犬文, 續附印送應驗 등의 내용으로 태상감응편과 음즐문에 대한 영험과 질병에 대한 처방을 다루고 있다.
내용은 몸과 마음을 바로잡아 선행을 베풀고 나라에 충성하고 부모에 효도하며 백성을 사랑하고 만물을 아끼는 등의 윤리적인 덕목을 근간으로 구성되어 있다.
특성 및 가치
권선징악과 길흉화복을 민간신앙의 관점에서 강조하면서, 하권에는 救急五絶良方, 胎産良方, 豫防疾病要訣의 항목을 따로 설정하여 응급처치법과 전염병 예방법 등을 근대적인 시각에서 다루고 있어 주목된다.

참고문헌

敬信錄諺釋硏究」, 남광우, 『국어국문학』 49·50호, 국어국문학회, 1970
朝鮮道敎史」, 이능화, 『影印韓國學資料叢書』 5, 영신아카데미한국학연구소, 1977.

집필자

안동준
범례
  • 인명
  • 관직명
  • 나라명
  • 건물명
  • 관청명
  • 지명
  • 연도
  • 문헌명
  • 기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