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url:./treeAjax?siteMode=prod}

음즐문주해(陰騭文註解)

자료명 음즐문주해(陰騭文註解) 저자 주규(朱珪)
자료명(이칭) 陰즐文註解 , 음즐문주해(陰騭文註解 n1) 저자(이칭) 朱珪(淸) 輯
청구기호 K3-178 MF번호 MF35-1569
유형분류 고서/기타 주제분류 子部/道家類
수집분류 왕실/고서/한국본 자료제공처 장서각(SJ_JSG)
서지 장서각 디지털아카이브 전자도서관 해제 장서각
원문텍스트 이미지 장서각통합뷰어* 원문이미지 디지털아카이브 PDF

· 원문이미지

닫기

· PDF서비스

닫기

· 기본정보 해제 xml

닫기

일반사항

· 사부분류 자부
· 작성시기 1883(고종 20년)
· 청구기호 K3-178
· 마이크로필름 MF35-1569
· 기록시기 1883年(高宗 20) 頃
· 소장정보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작성주체 - 인물

역할 인명 설명 생몰년 신분
주규(朱珪)(청(淸)) 집(輯)

형태사항

· 크기(cm) 31.5 X 20.5
· 판본 금속활자본(金屬活字本)(전사자(全史字))
· 장정 선장(線裝)
· 수량 1책(冊)
· 판식 반곽(半郭) 21.5×14.8cm
· 인장 李王家圖書之章

· 상세정보

닫기

내용

정의
음덕을 강조하는 勸善書의 일종인 『陰騭文』을 청나라 朱珪(1732~1806)가 註解한 책인데 無相壇 道士 張旭이 국내로 가져와 1883년(고종 20) 무렵에 재간행된 민간 도교 경전이다.
서지사항
色紙에 인쇄한 題簽을 사용하였으며 版心題는 ‘陰騭文’이다.
체제 및 내용
음즐문』은 文昌帝君의 말을 기록한 經文으로 학문과 인간의 길흉화복을 관장하는 신으로 숭배하는 문창제군 신앙을 宣揚하는 勸善書의 일종이다. 본 도서의 체제는 圖像, 陰騭文 本文, 本文註解, 跋文 순서로 되어 있다.
고종 대 민간 도교 조직인 무상단 도사 劉雲이 발문에서 밝혔듯이 1883년(고종 20) 무상단 도사 장욱청나라 주규의 『陰騭文註解』를 구해서 조선에서 간행한 것으로 기술되어 있다. 그러나 1881년(고종 18)徐珽의 주도로 간행된 장서각 소장 『桂宮誌』(K3-167) 권1의 文昌帝君像이 『음즐문주해』의 圖像과 동일한 것이고, 『桂宮誌』 권3에 실린 陰騭文註解의 내용은 본 도서와 같다. 굳이 다른 점이 있다면 『음즐문주해』에서는 저자 주규가 명기된 반면에 『계궁지』에서는 원저자의 이름이 생략된 점이다.
유운은 이보다 앞서 1877년(고종 14)에 『계궁지』 발문을 쓴 사실이 있고, 『계궁지』에 같은 내용의 『음즐문주해』가 게재되었던 점으로 미루어 그가 『陰騭文註解』 발문에서 밝힌 바의 1883년장욱주규의 『음즐문주해』를 입수했다는 기록은 신뢰할 수 없다. 하지만 1883년 이후에 『음즐문주해』이 간행되었다는 사실은 분명하다.
참고로 장서각본 『음즐문주해』의 底本은 嘉慶 연간의 名儒 주규가 편찬한 『文昌帝君陰騭文注』로 알려져 있으며 『道藏輯要』에는 『陰騭文註』란 이름으로 실려 있다.
특성 및 가치
가경 연간의 『음즐문』 관련 주석서가 19세기 후반에 국내 流轉했던 사실을 증명하는 자료이다.

참고문헌

朝鮮道敎史」, 이능화, 『影印韓國學資料叢書』 5, 영신아카데미한국학연구소, 1977
丁培仁, 『增注新修道藏目錄』, 巴蜀書社, 2008.

집필자

안동준
범례
  • 인명
  • 관직명
  • 나라명
  • 건물명
  • 관청명
  • 지명
  • 연도
  • 문헌명
  • 기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