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url:./treeAjax?siteMode=prod}

경신록언석(경신록언셕(敬信錄諺釋))

자료명 경신록언석(경신록언셕(敬信錄諺釋)) 저자 편역자미상(編譯者未詳)
자료명(이칭) 저자(이칭)
청구기호 K3-166 MF번호 MF35-1543
유형분류 고서/기타 주제분류 子部/道家類
수집분류 왕실/고서/한국본 자료제공처 장서각(SJ_JSG)
서지 장서각 디지털아카이브 전자도서관 해제 장서각
원문텍스트 이미지 장서각통합뷰어* 원문이미지 디지털아카이브 PDF

· 원문이미지

닫기

· PDF서비스

닫기

· 기본정보 해제 xml

닫기

일반사항

· 사부분류 자부
· 작성시기 1796(정조 20년)
· 청구기호 K3-166
· 마이크로필름 MF35-1543
· 소장정보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작성주체 - 인물

역할 인명 설명 생몰년 신분
편역자미상(編譯者未詳)

형태사항

· 크기(cm) 33.3 X 24.8
· 판본 목판본(木板本)
· 장정 선장(線裝)
· 수량 1책(冊)
· 판식 반곽(半郭) 24.2×18.3cm
· 인장 藏書閣印

· 상세정보

닫기

내용

정의
敬信錄』을 한글로 번역한 것으로서 善惡報應의 가르침을 공경하고 믿게 할 목적으로 1796년(정조 20) 경기도 楊卅 佛巖寺에서 간행된 책이다.
서지사항
表紙書名은 ‘敬信錄’이며, 版心題는 ‘敬信錄諺釋’이다. 일반 서적보다 가로가 좀 더 긴 형태이다. 版心題와 각 편명을 제외한 내용은 모두 한글로 작성되었다. 본문은 84장이며, 본문이 끝나는 지점에 ‘병진즁츄법셩산무심무운신지형관슈근지’ 기록이 있고, 이어 ‘경신록언셕목’가 있는데 그 아래 ‘양쥬텬보산불암장판’이라고 되어 있다. 마지막 장에 ‘上之二十(嘉慶 丙辰)仲秋開刊楊洲天寶山佛巖寺藏板 南陽洪泰運書’라고 되어 있다. 장서각에 동일한 표지서명의 책 『增訂敬信錄』(K2-183)이 있다.
체제 및 내용
도교에서는 사람이 스스로 禍福을 불러오는 것이며, 여러 신들이 인간의 선악을 옥황상제에게 보고하여 그 판단에 따라 화복을 내린다고 한다. 이러한 사상을 담은 각종 민간 도교 경전을 集錄하고 언해한 책이 『경신록언셕』이다. 본 도서 말미에는 王家의 장수를 비는 염원문과 국가의 안녕과 태평을 기원하는 글이 실려 있다.
체제는 태샹감응편, 문챵뎨군음즐문, 문챵뎨군권효문, 문챵뎨군구겁보쟝, 경조편, 문챵뎨군권경지문, 동악대뎨회보훈, 원료범션립명편, 유졍의 공우조신긔, 감응편치복령험, 음즐문령험, 인시경신록령험, 보신립명요결, 불비젼공덕례, 공과격찬요 순서로 구성되어 있다. 본 도서는 청나라 乾隆 14년(1749)에 간행된 『增訂敬信錄』을 底本으로 모아 諺解하였다. 별도의 漢文 原本은 전하지 않는다. 참고로 1749년의 『증정경신록』은 1880년(고종 17)에 간행된 『증정경신록』과는 다른 계열의 판본이다.
특성 및 가치
경신록언셕』의 서체는 『註解千字文』을 남긴 조선 후기 명필 洪泰運의 글씨이고, 한글로 표기한 내용은 18세기 한문 번역문의 특징을 잘 드러내고 있어 국어 표기법 연구에 중요한 자료이다.
국어학 해제
18세기 말의 국어 현상을 그대로 반영하고 있다. 내용 중 일부인 ‘太上感應篇’ 등이 다른 언해서보다 직역에 가깝게 언해한 것을 볼 수 있다. 어두 경음의 표기는 ‘ᄡ’을 제외하면 ‘ㅅ’계 합용병서만 사용되었다. 또, 어말자음군 중 ‘ㄺ’과 ‘ㄼ’만 분철 표기하였다는 점이 특징으로 지적될 수 있다. 한편 ‘치, 드러내지, 적당치’ 등과 같이 일부 단어와 부사형어미 ‘-지’ 등이 ‘ㄷ’구개음화 현상을 겪었음을 볼 수 있다. 그러나 치찰음 아래에서의 ‘이’ 前部高母音化가 보이지 않는 점도 지적될 수 있다. 이 밖에 ‘즐’과 같이 이전 시기에 말음이 ‘ㄷ’이었던 어형이 ‘ㅈ’으로 나타나기도 한다.

참고문헌

敬信錄諺釋硏究」, 남광우, 『국어국문학』 49·50호, 국어국문학회, 1970
朝鮮道敎史」, 이능화, 『影印韓國學資料叢書』 5, 영신아카데미한국학연구소, 1977.

집필자

안동준
범례
  • 인명
  • 관직명
  • 나라명
  • 건물명
  • 관청명
  • 지명
  • 연도
  • 문헌명
  • 기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