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url:./treeAjax?siteMode=prod}

우암선생연보(尤菴先生年譜)

자료명 우암선생연보(尤菴先生年譜) 저자 송무원(宋婺源)
자료명(이칭) 尤菴先生年譜 , 우암선생년보(尤菴先生年譜) 저자(이칭) 宋무源(朝鮮) 編 , 송무원(宋무源)
청구기호 K2-792 MF번호 MF35-1238
유형분류 고서/기타 주제분류 史部/傳記類/別傳/一般
수집분류 왕실/고서/한국본 자료제공처 장서각(SJ_JSG)
서지 장서각 디지털아카이브 전자도서관 해제 장서각 디지털아카이브
원문텍스트 이미지 장서각통합뷰어* 원문이미지 PDF

· 원문이미지

닫기

· PDF서비스

닫기

· 기본정보 해제 xml

닫기

일반사항

· 사부분류 사부
· 작성시기 1732(영조 8년)
· 청구기호 K2-792
· 마이크로필름 MF35-1238
· 소장정보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작성주체 - 인물

역할 인명 설명 생몰년 신분
송무원(宋婺源) 편(編)

형태사항

· 크기(cm) 30.0 X 19.2
· 판본 금속활자본(金屬活字本)(무신자(戊申字))
· 장정 선장(線裝)
· 수량 5권(卷) 5책(冊)
· 판식 반곽(半郭) 23.5×15.4cm
· 인장 李王家圖書之章

· 상세정보

닫기

내용

정의
17세기 문신이자 학자로 老論의 영수였던 尤庵 宋時烈(1607~1689)의 연보이다.
서지사항
表紙書名은 ‘尤菴年譜’, 版心題는 ‘尤菴先生年譜’이며, 書根題는 없다. 표지가 마멸된 편이라 표지 서명도 지워진 부분이 있다. 표지 서명 하단에는 冊次가 ‘一·二 … …五’로 표기되어 있다. 앞표지 우측 상단에는 편명이 기재되어 있다. 각 책 제1면 우측 상단에는 ‘李王家圖書之章’이 날인되어 있다. 이외에도 관인으로 보이는 인장이 부분적으로 나타나는데 희미하여 판독하기가 어렵다. 서미에 주제어를 기재하거나 판상구에 각 기사에 해당하는 간지를 필사한 부분도 있다.
체제 및 내용
권말에 있는 1732년(영조 8) 가을에 송시열의 증손인 宋婺源이 지은 識文에 따르면 본 연보는 세 단계를 거쳐 완성되었음을 알 수 있다. 첫 번째는 송무원의 仲父이자 송시열의 손자인 宋疇錫(1650~1692)이 정리하였다. 송주석송시열의 遺文을 모으고 己巳年(1689, 숙종 15)까지의 연보를 정리하여 家狀을 절반 정도 撰次하였다. 1692년 5월 權尙夏(1641~1721)가 李喜朝(1655~1724)에게 보낸 편지를 보면 문집 정리 작업과 함께 연보가 5책으로 완성되었던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두 번째는 송주석이 정리한 연보를 토대로 송시열의 문인 권상하艮齋 李公이 첨삭하고 윤문하였다. 권상하가 먼저 첨삭하고 그다음 이공이 최종적으로 정리하였다. 세 번째는 1732년 송무원이 완성하였다. 그의 작업은 주로 기사년 이후의 연보 기사를 정리한 것이다. 그 경위를 살펴보면, 1717년(숙종 43)권상하가 그를 불러서 자신은 늙고 병들었는데 연보의 내용이 아직 충분하지 않으니 직접 연보 작업을 하라고 권유하였고, 이공도 격려하였다는 것이다. 송무원은 감당할 수 없다고 사양하였으나 두 사람이 차례로 사망하여 결국 이공의 정리본을 기초로 公私文籍을 수집하여 기사년 이후의 기사를 정리하였던 것이다. 한편 艮齋가 直齋의 오식으로 본다면, 李公李箕洪(1641~1708)이지만 문집 간행에 주도적으로 참여한 인물로 보면 芝村 이희조이다.
권별 수록 내용은 다음과 같다. 권수에 世系圖가 있다. 권1은 정미(1607, 선조 40)에서 기해(1659, 효종 20)까지, 권2는 경자(1660, 현종 1)에서 기유(1669, 현종 10)까지, 권3은 경술(1670, 현종 11)에서 경신(1680, 숙종 6)까지, 권4는 신유(1681, 숙종 7)에서 갑자(1684, 숙종 10)까지, 권5는 을축(1685, 숙종 11)에서 병오(1726, 영조 2)까지 수록하였고, 5권 말에 송무원의 지문이 있다.
특성 및 가치
송시열의 생애를 연구하는 데 기초 자료가 되며, 연보의 편찬 과정을 이해하는 데도 참고가 되는 자료이다.

집필자

이동인
범례
  • 인명
  • 관직명
  • 나라명
  • 건물명
  • 관청명
  • 지명
  • 연도
  • 문헌명
  • 기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