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url:./treeAjax?siteMode=prod}

오봉선생실기(五峯先生實記)

자료명 오봉선생실기(五峯先生實記) 저자 채명오(蔡命五), 채시정(蔡時楨)
자료명(이칭) 五峰先生實記 저자(이칭) 蔡命五(朝鮮) 編;
청구기호 K2-789 MF번호 MF35-1066
유형분류 고서/기타 주제분류 史部/傳記類/別傳/一般
수집분류 왕실/고서/한국본 자료제공처 장서각(SJ_JSG)
서지 장서각 전자도서관 해제 장서각
원문텍스트 이미지 장서각통합뷰어* 원문이미지 PDF

· 원문이미지

닫기

· PDF서비스

닫기

· 기본정보 해제 xml

닫기

일반사항

· 사부분류 사부
· 작성시기 1867(고종 4년)
· 청구기호 K2-789
· 마이크로필름 MF35-1066
· 소장정보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작성주체 - 인물

역할 인명 설명 생몰년 신분
채명오(蔡命五) 편(編)

형태사항

· 크기(cm) 33.5 X 22.2
· 판본 목활자본(木活字本)
· 장정 선장(線裝)
· 수량 3권(卷) 1책(冊)
· 판식 반곽(半郭) 22.1×16.4cm
· 인장 金寅秀印, 延安世家, 李王家圖書之章

· 상세정보

닫기

내용

정의
병자호란 때 斥和臣으로 알려진 五峰 蔡以恒(1596~1666)에 관한 실기이다.
서지사항
表紙書名은 ‘五峰集’, 版心題는 ‘五峰先生實記’이다. 표지 서명의 아래에는 ‘全’이 표기되어 있다. 書根에는 書根題 ‘五峰實記’와 ‘全’이 기재되어 있다. 제1면 우측 상단에는 ‘李王家圖書之章’이, 권수제면 우측 하단에는 ‘金寅秀印’이, 권말 우측 하단에는 ‘延安世家’가 날인되어 있다.
체제 및 내용
채이항은 三學士 및 金尙憲, 曺漢英 등과 함께 병자호란 이후 척화신의 행보를 보인 인물로서 증손 命五의 上言으로 그의 斥和 행적이 알려져 증직 및 증시가 이루어졌다. 1764년(영조 40) 權震應의 발문에 따르면 본서는 채명오에 의해 편집이 이루어졌고, 1867년(고종 4) 7대손 채시정의 발문을 수록하여 간행되었다.
권수에는 1761년(영조 36) 朴聖源의 서문, 1767년(영조 43) 鄭宲(1701~ 1776)의 서문, 같은 해 宋明欽의 서문 등이 있다. 권1은 遺文으로 「斥和兼陣修攘疏」(1637), 「論復讐雪恥疏」(1640), 「入藩時謝賜耳掩等物疏」, 김상헌이 작성한 「附到灣上聯名疏」(1642), 「東歸疏」(1643) 등이 수록되어 있다.
권2는 附錄으로 再從叔인 崇禎處士 蔡得沂趙又新의 「朋友贈遺詩」, 蔡夢井, 許苾 申震望, 蔡以復, 蔡之溟, 蔡之沔 등의 「五奉精舍題詠」이 있고, 輓誄로 洪柱元 등 29명의 「輓詞」가 있고, 尹世任 등 3인의 글 「祭文」이 있다. 遺事로는 1694년(숙종 2) 曺世鵬의 「行狀」이 있고, 이어 2년 뒤 1696년(숙종 22)에 추가 작성한 지문이 부록되어 있는데, 증손 명오의 上言으로 채이항이 척화소를 올린 것이 알려진 지 60주년을 기념하여 賜祭한 경위를 정리한 것이다. 1675년(숙종 1) 金壽恒이 지은 「墓碣銘」과 1787년(정조 11) 金履安(1722~1791)의 지문이 추록되어 있다. 1764년(영조 40) 金元行(1702~1772)이 지은 「墓誌銘」 등이 수록되어 있다.
권3은 贈褒事實로 「筵說」, 1781년(정조 5) 金鍾秀(1728~1799)가 지은 「諡狀」, 「致祭文」(1756), 曺世鵬의 「焚黃祝文」(1756), 증손 命千의 「致祭日志感詩」 및 대사헌 尹鳳九 등 50명의 차운시가 있다. 「致祭文」(1819), 洪直弼의 「栗峯祠奉安文」(1846), 「常享祝文」 등과 발문이 수록되어 있다. 발문은 세 편이 있는데, 먼저 1764년(영조 40) 權震應의 발문에 의하면, 증손 명오가 자료를 모으고 권진응에게 발문을 부탁하였다. 다음은 증손 명천의 부탁으로 1759년(영조 35) 족손 復休가 지은 발문, 1867년(고종 4) 7대손 시정의 발문 등이 있다.

집필자

이동인
범례
  • 인명
  • 관직명
  • 나라명
  • 건물명
  • 관청명
  • 지명
  • 연도
  • 문헌명
  • 기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