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url:./treeAjax?siteMode=prod}

역동선생실기(易東先生實記)

자료명 역동선생실기(易東先生實記) 저자 우종태(禹鍾泰)
자료명(이칭) 易東先生實記 저자(이칭) 禹鍾泰(朝鮮) 等編輯
청구기호 K2-787 MF번호 MF35-1079~1080
유형분류 고서/기타 주제분류 史部/傳記類/別傳/一般
수집분류 왕실/고서/한국본 자료제공처 장서각(SJ_JSG)
서지 장서각 전자도서관 전자도서관 해제 장서각
원문텍스트 이미지 장서각통합뷰어* 원문이미지 PDF

· 원문이미지

닫기

· PDF서비스

닫기

· 기본정보 해제 xml

닫기

일반사항

· 사부분류 사부
· 작성시기 1913
· 청구기호 K2-787
· 마이크로필름 MF35-1079~1080
· 소장정보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작성주체 - 인물

역할 인명 설명 생몰년 신분
우종태(禹鍾泰) 등(等) 편집(編輯)

형태사항

· 크기(cm) 29.7 X 19.4
· 판본 목활자본(木活字本)
· 장정 선장(線裝)
· 수량 11권(卷) 3책(冊)
· 판식 반곽(半郭) 21.9×16.1cm
· 인장 藏書閣印

· 상세정보

닫기

내용

정의
고려 말기 유학자인 易東 禹倬(1263~1342)에 관한 실기이다.
체제 및 내용
우탁에 관한 자료이지만, 그의 아들 赤城君 禹吉生과 손자 養浩堂 禹玄寶(1333~1400)의 자료도 함께 다루고 있으며, 우현보의 5자인 禮安君 禹洪富(?~1414)와 安靖公 禹洪康(1357~1423)에 관한 자료도 부록으로 싣고 있다.
수록 순서에 따라 내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권수에는 1909년 權始淵의 서문, 1906년 21세손 禹鍾泰의 서문이 있고, 이어 종태의 아들 濟永1913년 본 도서를 간행할 때 쓴 識文이 있다. 목록 다음에 世系圖가 있다. 권1은 先系 및 始祖부터 우탁의 부친인 7세 天珪와 그의 玄孫까지의 인적 정보를 설명하였다. 권2에는 逸稿로 「殯月」, 「題暎湖樓」, 「江行」, 「與或人書」 등의 詩文이 수록되어 있다. 권3은 考實로 1290년(충렬왕 16) 登科紅牌와 榜目, 元耘谷拾遺篇, 史乘添載 등이 수록되어 있다. 권4는 附赤城君事實로 우탁의 아들 우길생의 사실인데, 「淸州拱北樓應製詩」, 「送洪進士敏求」 등의 시와 행적을 기록한 「麗史」 등이 수록되어 있다. 권5는 附養浩堂事實로 우탁의 손자 우현보의 사실인데, 「麥薇歌」, 「州拱北樓應製詩」, 「上恭愍王疏」, 「不朝峴言志」, 「不朝峴御製賡詩」, 「不朝峴碑」 등과 행적을 기록한 「傳旨」, 麗史本傳, 元耘谷拾遺篇 등이 수록되어 있다.
권6은 贊述로 「列聖朝褒典」을 비롯하여 易東書院, 丹巖書院, 龜溪書院, 丹山書院의 賜祭文, 奉安文, 常享祝文, 上樑文 및 문묘종사 논의에 관한 글이 수록되어 있다. 권7은 附養浩堂事實로 「列聖朝褒典」을 비롯하여 崧陽書院, 德洞書院, 金谷祠, 大邱鄕校 등의 賜祭文, 奉安文, 常享祝文 등이 있고, 후손 徵泰의 「行狀」, 許穆의 「遺事」, 尹植의 「遺事撰要」, 蔡濟恭의 「遺墟碑陰記」, 留守 尹命圭의 「遺墟碑閣記」, 李用休의 「敬題養浩堂遺錄」 3則, 「養浩堂先生墓祀祝式」, 「養浩堂先生獨塚獨樂堂圖」와 權近의 「獨樂堂記」 및 史乘添載 등이 수록되어 있다.
권8은 記述로 李滉의 「易東書院記」, 趙穆의 「易東書院記實」, 金啓光의 「壝壇告由文」, 「壝壇常享祝文」, 「遺址」, 「墓地」, 1766년(영조 42) 江漢 黃景源의 「敦奬錄序文」, 尹定鉉의 「承述攷序文」, 李象靖의 「尙賢錄序文」 등이 수록되어 있다. 권9는 「門人錄」, 「門人律詩」 3수, 金宗直, 이황, 金是榲, 洪汝河의 「後賢追感律詩」, 「丹山邑誌」 등을 수록하였다. 권10은 附養浩堂事實로 「門人錄」, 「當時諸賢列傳節略」, 「當時諸賢律詩」, 「後賢追感律詩」 등이 수록되었고, 권11은 追附로 「大宗伯禮安君碣陰記」, 「安靖公帳籍」, 「府使公諱龜齡墓碣文」 등이 수록되어 있다. 권말에는 1913년 후손 錫義의 발문, 錫元의 발문, 19세손 珽淳의 발문 등이 있고, 마지막에는 1913년 懷仁, 즉 지금의 충북 보은에서 간행했다는 간기가 있다.
특성 및 가치
우탁을 비롯한 우길생, 우현보에 관한 문헌으로서 규장각 소장의 『易東先生事蹟抄』와 『養浩堂禹先生實記』, 장서각 소장의 『尙賢錄』(B9I 367) 등과 함께 이들의 생애와 사상을 연구하는 데 중요한 자료로 평가된다. 본 도서가 문중 내부에서는 『尙賢錄』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서 간행되었고, 외부적으로는 申賢의 『華海師全』에 자극 받아서 간행되었다는 점에서 19세기 말에서 20세기 초반까지 문중 현양 사업의 성격을 규명하는 데도 참고가 되는 자료다.

집필자

이동인
범례
  • 인명
  • 관직명
  • 나라명
  • 건물명
  • 관청명
  • 지명
  • 연도
  • 문헌명
  • 기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