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url:./treeAjax?siteMode=prod}

망와선생연보(忘窩先生年譜)

자료명 망와선생연보(忘窩先生年譜) 저자 김종봉(金宗鳳)
자료명(이칭) 忘窩先生年譜 , 망와선생년보(忘窩先生年譜) 저자(이칭) 李世澤(朝鮮) 等撰 , 이세택(조선) 등찬(李世澤(朝鮮) 等撰)
청구기호 K2-730 MF번호 MF35-1343
유형분류 고서/기타 주제분류 史部/傳記類/別傳/一般
수집분류 왕실/고서/한국본 자료제공처 장서각(SJ_JSG)
서지 장서각 디지털아카이브 전자도서관 해제 장서각 디지털아카이브
원문텍스트 이미지 장서각통합뷰어* 원문이미지 PDF

· 원문이미지

닫기

· PDF서비스

닫기

· 기본정보 해제 xml

닫기

일반사항

· 사부분류 사부
· 작성시기 [19세기(世紀) 중반(中半)]
· 청구기호 K2-730
· 마이크로필름 MF35-1343
· 기록시기 [19世紀 中半]
· 소장정보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작성주체 - 인물

역할 인명 설명 생몰년 신분
김종봉(金宗鳳) 등(等) 찬(撰)

형태사항

· 크기(cm) 31.3 X 20.5
· 판본 목판본(木版本)
· 장정 선장(線裝)
· 수량 1책(冊)
· 판식 반곽(半郭) 21.4×15.3cm
· 인장 徐相⊙印, 李王家圖書之章, 達城

· 상세정보

닫기

내용

정의
조선 중기 문신 忘窩 金榮祖(1577~1648)의 연보이다.
서지사항
表紙書名은 ‘忘窩年譜’, 版心題는 ‘忘窩先生年譜’이다. 표지 서명 하단에는 ‘全’으로 표기되어 있다. 제1면 우측 상단에는 ‘李王家圖書之章’이 하단에는 ‘徐相⊙印’이 날인되어 있다.
체제 및 내용
김영조金誠一의 사위로 인조 연간에 활동했던 관료이다. 그의 8형제가 모두 진사시에 합격하고 그중 5명이 문과에 급제하여 ‘八蓮五桂’라 일컬어진다. 망와 연보는 『忘窩集』에 수록되어 함께 간행되었으므로 간행 경위와 간행 시기를 알기 위해서는 『망와집』의 간행에 대해서 살펴볼 필요가 있다. 『망와집』의 간행은 세 차례의 간행 노력으로 이루어졌다. 먼저 5代孫 上舍 金行源(1713~1778)과 宗孫 金宅源(1726~1805)이 산일되고 남은 家藏草稿를 바탕으로 자료를 수집하고 編次한 후, 이세택의 校勘을 거쳐 1차로 편집이 완성된 것으로 보인다. 이것은 1775년(영조 51) 김영조의 외5대손 李世澤(1716~1777)이 지은 「忘窩集序」에서 확인할 수 있다. 두 번째는 7대손 上舍 金宗鳳(1763~1823)에 의해 주도되었다. 김종봉김행원의 손자로 종가에 양자로 가서 김택원의 손자가 된 인물인데, 金㙆(1739~1816)에게 묘지명과 유집의 교정을 부탁하여 간행 준비를 하였다. 그 경위는 김굉이 지은 묘지명에서 확인할 수 있다. 세 번째는 김종봉1823년(순조 23) 사망한 뒤 아들 金重夏(1784~1860)가 19세기 중반에 간행한 것으로 보인다. 그의 문집 『桐巢集』에 수록된 「先考成均生員府君遺事」에 부친이 『망와집』 간행을 위해 노력하였으나 뜻을 이루지 못하였다고 기록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연보는 1577년(선조 10) 한양 壯義洞에서 출생한 기사부터 1648년(인조 26) 72세로 사망하여 豊基에 장례 지낸 것과 현종 10년에 사람들에 의해 鄕賢祠에 봉안된 기사까지 수록되어 있다. 다음은 附錄으로 李世澤이 지은 行狀, 李敏求가 지은 墓碣銘, 김굉이 지은 墓誌銘이 수록되어 있다. 다음으로 輓詞와 賜祭文(1648), 제문 등이 수록되어 있다.

참고문헌

桐巢集
忘窩集

집필자

이동인
범례
  • 인명
  • 관직명
  • 나라명
  • 건물명
  • 관청명
  • 지명
  • 연도
  • 문헌명
  • 기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