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url:./treeAjax?siteMode=prod}

농은선생실기(農隱先生實紀)

자료명 농은선생실기(農隱先生實紀) 저자 민백은(閔百誾)
자료명(이칭) 農隱先生實記 , 농은선생실기(農隱先生實記) 저자(이칭) 閔百誾(朝鮮) 編 , 민백은(조선) 편(閔百誾(朝鮮) 編)
청구기호 K2-719 MF번호 MF35-1869
유형분류 고서/기타 주제분류 史部/傳記類/別傳/一般
수집분류 왕실/고서/한국본 자료제공처 장서각(SJ_JSG)
서지 장서각 디지털아카이브 전자도서관 해제 장서각 디지털아카이브
원문텍스트 이미지 장서각통합뷰어* 원문이미지 PDF

· 원문이미지

닫기

· PDF서비스

닫기

· 기본정보 해제 xml

닫기

일반사항

· 사부분류 사부
· 작성시기 1924
· 청구기호 K2-719
· 마이크로필름 MF35-1869
· 소장정보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작성주체 - 인물

역할 인명 설명 생몰년 신분
민백은(閔百誾) 편(編)

형태사항

· 크기(cm) 31.1 X 20.7
· 판본 목활자본(木活字本)
· 장정 선장(線裝)
· 수량 4권(卷) 1책(冊)
· 판식 반곽(半郭) 21.3×26.2cm
· 인장 藏書閣印

· 상세정보

닫기

내용

정의
閔百誾이 자신의 선조이자 고려 말 杜門洞 72현 중의 한 명인 농은 閔安富의 실기를 편찬한 책이다.
서지사항
表紙書名은 ‘農隱先生集’, 版心題는 ‘農隱實錄’이며, 書根題는 없다. 표지 서명 하단에는 ‘單’으로 표기되어 있다. 卷末의 1864년(고종 1)에 지은 跋을 통해 본 도서가 1864년에 간행되었음을 알 수 있다.
체제 및 내용
후손 민백은이 전승되는 글 가운데 유명한 것을 모아 간행을 시도하였으나 성사되지 못하였다. 족손 閔致永이 계승하여 1828년(순조 28) 金履陽(1755~1845)에게 서문을 받고, 후손 在南1831년(순조 31) 지평을 지낸 李若烈(1765~1836)에게 서문을 받고, 1830년(순조 30) 후손 上舍 宜洙宋煥箕의 손자 宋欽大(1770~?)에게 발문을 받아 1831년 초간본을 간행한 것으로 보인다. 그 뒤 다시 편차를 다듬고 번쇄한 부분을 정리하여 1924년 후손 閔致亮(1844~?)의 重刊跋을 추가하여 간행하였다.
권1에는 詩와 書로 이루어져 있는데, 述懷, 滿月臺聯句 및 附諸賢詩 4首의 시와 答魯岳隱書 및 附原書, 그리고 言志가 수록되어 있다. 권2에는 부록으로 黃景源(1709~1787)이 지은 行狀, 金鍾秀(1728~1799)가 지은 墓表, 1913년 奇宇萬(1846~1916)이 지은 神道碑銘, 崇節祠奉安文, 常享祝文, 祭文, 呈禮曹文, 如雲樓上樑文, 表節祠追享告由文, 奉安文, 常享祝文, 宣額望, 御製不朝峴碑, 碑陰記, 御製不朝峴聯句, 御製杜門洞碑, 碑陰記, 碑閣上樑文, 開成留守照禮曹文, 致祭文, 致祭祭物圖式, 禮曹回關, 傳敎, 書筵達辭, 高麗名臣傳, 海東忠義錄, 麗史補遺, 松都誌, 高麗忠臣逸事傳, 杜門洞祠典識, 掛冠峴記 등이 수록되어 있다. 권3에도 부록으로 遺事略, 嶺儒呈開成留守文, 館學與四道儒狀, 館學通文, 四道儒狀, 館學儒狀, 開城儒狀, 狀啓, 禮曹回啓, 政府獻議, 禮曹關文 등이 수록되어 있다. 권4에도 부록으로 奎章閣忠義錄, 勝國名賢標榜錄, 杜門洞贊詠, 志感, 次志感, 感次述懷詩, 滿月臺聯句序 등이 수록되어 있다. 그다음은 민안부의 아들 의 문집 『雪川遺稿』를 첨부한 것으로 李得烈(1776~?)의 지문이 있고, 志感 3수, 詩贈, 次韻感詠 등의 시가 수록되어 있다.
특성 및 가치
민안부의 생애를 이해할 수 있는 기초적인 전기 자료이다. 또한 조선 후기에 고려 말 두문동 72현의 충의가 강조되는 사회상을 보여주는 자료이다.

집필자

이동인
범례
  • 인명
  • 관직명
  • 나라명
  • 건물명
  • 관청명
  • 지명
  • 연도
  • 문헌명
  • 기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