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url:./treeAjax?siteMode=prod}

우사군안(右司軍案)

자료명 우사군안(右司軍案) 저자 편자미상(編者未詳)
자료명(이칭) 右司軍案 저자(이칭) [編者未詳]
청구기호 K2-574 MF번호 MF35-837
유형분류 고서/기타 주제분류 史部/傳記類/叢傳/官·軍案
수집분류 왕실/고서/한국본 자료제공처 장서각(SJ_JSG)
서지 장서각 디지털아카이브 전자도서관 해제 장서각 디지털아카이브 전자도서관
원문텍스트 디지털아카이브 이미지 장서각통합뷰어* 원문이미지 디지털아카이브 PDF

· 원문이미지

닫기

· PDF서비스

닫기

· 기본정보 해제 xml

닫기

일반사항

· 사부분류 사부
· 작성시기 1879(고종 16년)
· 청구기호 K2-574
· 마이크로필름 MF35-837
· 소장정보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작성주체 - 인물

역할 인명 설명 생몰년 신분
편자미상(編者未詳)

형태사항

· 크기(cm) 45.5 X 29.5
· 판본 필사본(筆寫本)
· 장정 선장(線裝)
· 수량 1책(冊)
· 판식 반곽(半郭) 38.7×23.0cm
· 인장 李王家圖書之章

· 상세정보

닫기

내용

정의
1879년(고종 16)武衛所 右司 소속 군병의 명단을 기록한 책이다.
서지사항
서명은 表紙書名에 따른다. 본문은 木版 墨印札空冊紙에 필사되어 있다. 인찰공책지의 판형은 上下內向二葉花紋魚尾이며, 반복적으로 사용되는 문자인 年, 父, 係, 住, 長, 面, 髥, 力, 疤가 판각되어 있다. 卷頭에 把摠, 哨官을 역임한 인물이 황색 첨지에 순차적으로 부착되어 있다. 본문 가운데 새로 필사한 첨지를 덧붙인 경우가 많이 보인다.
체제 및 내용
본 도서의 첫머리에 “右司把摠 李敎弼 己卯 閏三月十二日 落點 前府使”라 기재되어 있으므로 승정원일기조선왕조실록에서 李敎弼의 이력을 검색해 보면 그가 1870년(고종 7)평안도 창성부사로 제수된 기사와 1880년(고종 17)충청도 수사로 제수된 기사를 확인할 수 있다. 이교필에 대해서 ‘前府使’라 하였으므로 본 도서는 그가 아직 충청수사로 보임되기 이전의 기록이며 기묘년1879년(고종 16)임을 알 수 있다.
수록된 내용은 파총 이교필과 병사 30인, 牌頭 1인, 認旗手 1인, 鼓手 1인, 1~3旗의 병사와 卜馬軍 115인과 書字的 1인, 패두 1인 등 149인과 右哨官 李建九를 비롯하여 우초 소속 1~3旗의 119명을 합하여 총 268명의 인적 사항이다. 각 旗는 3隊로 구성되어 있고 隊마다 隊摠 1인과 병사 9~11인, 卜馬軍 1인이 소속되어 있다.
파총 이교필우초관 이건구는 각각 해당 직임에 낙점된 날짜와 이전의 관직명이 적혀 있고, 다른 병사들은 신분과 성명, 처음 募入하였을 때의 나이와 출생 연도(간지로 표기), 아버지의 이름과 족친의 성명, 세거지, 거주지, 신장, 낯빛과 수염 여부, 근력, 흉터 여부, 모입한 연월 혹은 원 소속 등의 순서로 기재되어 있다. 신장이나 얼굴빛, 근력에 대해서는 일괄적으로 “長四尺 面鐵 髥無 力白斤 疤無”라고 용지에 인쇄되어 있다. 특징의 차이가 크게 중요하지 않거나 최소한의 기준을 통과한 경우에만 선발되었기 때문이라고 추정된다. 군사들은 모두 서울에 거주하였으며, 처음 모입하였을 때의 나이는 15~32세로 기재되어 있다. 입대 방식에 대해 일반 군병은 ‘募入’, 복마군은 ‘卜入’이라 하여 구별하였다.
비슷한 시기에 작성된 장서각 소장 『善騎隊軍案』(K2-549)과 같은 용지, 같은 체제를 취하고 있으나, 書字的이나 牌頭를 일반 병사들의 명단 뒤에 기재한 점이 다르다.

집필자

강석화
범례
  • 인명
  • 관직명
  • 나라명
  • 건물명
  • 관청명
  • 지명
  • 연도
  • 문헌명
  • 기관